광명의 제국/스토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Project Z 배경/광명}} {{보일제목:<span style="background:linear-gradient(#000,#000) padding-box,linear-gradient(to right,#0ff,#0ff) border-box;border:3px solid transparent;border-radius:10px;padding:8px 10px 3px 10px;color:#0ff;box-shadow:0 0 5px #0ff;">'''<big>광명의 제국</big> #스토리'''</span>}} {{틀:PC 열람 권장}}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0ff;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dth: 100%; box-shadow:0 0 1em #0ff; font-weight...)
 
편집 요약 없음
 
49번째 줄: 49번째 줄:
|-
|-
|}
|}
{{Project Z 저작권/광명}}<span style="display: block; margin: 1.5rem 0;"></span>{{이음 공식문서}}
[[분류:광명의 제국]]

2025년 5월 6일 (화) 23:06 기준 최신판


Liberty is the sure possession of those alone who have the courage to defend it.
자유는 용기 있는 자만이 지킬 수 있다.
– 윈스턴 처칠, 1940
광명의 제국우리 시대의 종말
Made by Aurora


Mobile-screen-button-solid.svg Right-long-solid.svg Display-solid.svg
모바일 열람이 감지되었습니다.
PC 환경에서의 열람을 권장합니다.


광명의 제국 로고.png
광명의 제국의 스토리를 진행한다.
광명의 제국 세로 독일 국기.png
광명의 제국 세로 한국 국기.png
광명의 제국 세로 미국 국기.png
광명의 제국 세로 이탈리아 국기.png
Großgermanisches Reich대게르만국 大韓國대한국 United States of America미합중국 Impero Italiano이탈리아 제국
광명의 제국 세로 독일 국기.png
대게르만국
은 2차 세계대전의 승리로 절정기를 맞이하여 유럽 대륙을 실질적으로 통합하며, 게르만 정신과 질서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문명을 구축해냈다. 그러나 총통의 건강이 악화되며 권력의 중추가 흔들리기 시작했고, 전후 질서를 이끌던 수뇌부 간의 암투는 더욱 노골화되었다. 알프레드 슈페어는 산업기술의 정점을 통해 체제 유지를 주장하고, 마르틴 보어만은 당의 절대권을 내세우며 정치적 정통성을 강조하며, 헤르만 괴링은 군사적 우위를 앞세워 제국의 재구성을 노리고 있었다. 그 사이, 피로에 찬 국민들은 각자의 이념과 진영으로 흩어지며 게르만 민족 내부의 균열은 점차 커져만 갔다. 대게르만국은 지금, 과거의 영광과 새로운 몰락의 경계에 서 있다. 이 거대한 제국은 과연 스스로의 붕괴를 막아낼 수 있을 것인가?

우리 게르만 민족의 재건을 위하여.
광명의 제국 세로 한국 국기.png
대한국
은 1차 대아전쟁의 승전 이후, 중화민국 잔여 정부를 무력으로 해산시키고, 북방과 중원 지역에 흩어져 있던 군벌 세력을 흡수하여 새로운 중화민국를 설치하였다. 이는 명목상 대한국 황제의 직할령이었으나, 실질적으로는 과거 중화민국 관료 출신과 일부 온건 군벌들이 주도하는 자치적 행정기구로 기능하게 되었다. 시간이 흐르며 이 총독부는 대한국 본토의 중앙 지시를 형식적으로만 따를 뿐, 실질적으로는 중화문명권을 대표하는 또 하나의 구심점으로 자리잡았다. 이에 따라 옛 중화 대륙의 각지에서 군벌 잔당들이 이 중화민국을 중심으로 다시금 결속하기 시작했고, 대한국 내 황실의 통제력은 점차 이완되기 시작하였다. 통일 제국을 상징하던 중화민국의 유산이 오히려 대한국의 균열을 부추기는 그림자가 되어가고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중화민국은 다시 대한국에 의해 지배될 것이다.
광명의 제국 세로 미국 국기.png
미합중국
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붕괴한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수습하기 위하여, 세계 각지의 자유 진영 잔존 세력을 규합하여 콩코드 협상국을 창설하였다. 북미 대륙의 안정된 생산 기반과 기술 우위, 그리고 전시 산업 인프라를 바탕으로, 미국은 군사적 중심이자 정치적 중추로서 연합을 주도하였다. 한편, 본국이 함락된 영국의 유산은 브리튼 재건위원회라는 이름으로 인도 대륙에서 망명 정권의 형태로 존속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미합중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유럽 본토로의 복귀를 꾀하고 있었다. 콩코드 연합은 자유, 인권, 민주주의라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으나, 그 이면에는 전략적 영향권 경쟁과 핵 위협을 동반한 새로운 냉전 질서가 도사리고 있다. 미합중국은 스스로를 ‘자유세계의 마지막 보루’라 자처하고 있으며, 이 거대한 이념 전쟁의 대리자이자 설계자로서 냉전의 한 축을 굳건히 지켜내고 있다.

미합중국은 세계의 질서를 다시 재건할 것이다. 대게르만국이 그랬던 것처럼!
광명의 제국 세로 이탈리아 국기.png
이탈리아 제국
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남유럽과 북아프리카를 중심으로 확장할 수 있었지만, 정작 대게르만국에게 보상은 제대로 받지 못하며 대게르만국과 관계가 악화되고 있었다. 대게르만국의 아인하이츠팍트 세력 창설과 범유럽 패권을 거머쥐려는 태도는 이탈리아의 총리에게 충분히 안하무인한 태도로 받아들여졌다. 대게르만국의 횡포와 태도에 지친 여러 남유럽 국가들은 메리디아 조약기구를 창설하며 대게르만국에 대적하기 시작했다. (아직 다 못씀)

그간 대게르만국이 보여준 태도는 안하무인하고 후안무치한 태도였다. 대게르만국 패권의 붕괴를 위하여!


광명의 제국 프로젝트 팀.png
본 문서는 광명의 제국 공식 문서입니다.
각 문서는 CC BY-NC-ND 라이선스에 따라 보호되며, 각 문서에 관한 반달은 금합니다.

문화재단 이음 글자.png 본 문서는 문화재단 이음이 함께합니다.
문서에 대한 반달행위 및 기타 무례한 행위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