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태그: 수동 되돌리기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tablebordercolor=#93C1FF><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bgcolor=#93C1FF><-4><:>{{{#white '''{{{+1 니셜 공화국}}}<br/>Republic of Nisyeol'''}}}|| | |||
||<-2><width=50%> [[파일:니셜 공화국 국기.jpg|150px]] ||<width=50%> [[파일:니셜 공화국 국장.png|150px]] || | |||
||<:><-2><#93C1FF>'''{{{#white 국기}}}''' ||<:><#93C1FF>'''{{{#white 국장}}}''' || | |||
| | ||<:><-3><bgcolor=#ffffff> {{{#93C1FF <small>'''Nisyeol! Nisyeol! Nisyeol! You are so precious and noble!'''</small> <br> '''니셜! 니셜! 니셜! 존귀하시며 고귀하시네!'''}}}|| | ||
| | ||<bgcolor=#93C1FF><-3><:>{{{#white '''상징'''}}}|| | ||
||<width=25%><bgcolor=#004ea1><:>{{{#white '''국가'''}}}||<-2> {{{'''[[니셜 공화국은 아름답다]]'''}}} || | |||
|- | ||<bgcolor=#004ea1><:>{{{#white '''국목'''}}}||<-2> {{{'''야자수'''}}} || | ||
||<bgcolor=#004ea1><:>{{{#white '''국화'''}}}||<-2> {{{'''재스민'''}}} || | |||
! | ||<bgcolor=#004ea1><:>{{{#white '''국수'''}}}||<-2> {{{'''범고래'''}}} || | ||
| | ||<bgcolor=#004ea1><:>{{{#white '''국조'''}}}||<-2> {{{'''하온'''}}} || | ||
||<bgcolor=#93C1FF><-3><:>{{{#white '''역사'''}}}|| | |||
||<-3><:> 국가사회주의 니셜 노동자당 창당 1933년 1월 30일 <br> 독제 니셜 총리 취임 1933년 3월 23일 <br> 독니셜 퓌러 취임 1934년 8월 2일 <br> 독니셜 제국 선언 1936년 3월 7일 <br> 한미 - 트롤 전쟁 참전 1937년 7월 7일 <br> 아시아 정벌 1938년 3월 12일 <br> 유도랑 제국 참전 1938년 9월 30일 <br> 제1차 평화 조약 거부 1939년 9월 1일 <br> 제2차 평화 조약 거부 1941년 12월 7일 <br> 유도랑 - 독니셜 전쟁 1945년 4월 30일 <br> 전국토 원자폭탄 투하 1945년 5월 2일 <br> 럭셔리 제도 병합 1945년 5월 8일 <br> 망명정부 수립 1945년 9월 2일 <br> 영국령 럭셔리 제도 건국 1946년 8월 16일 <br> 구국운동 1984년 12월 19일 <br> 독립운동 1985년 5월 27일 <br> 광복 1997년 7월 1일 <br> 미군정 수립 1999년 12월 20일 <br> 독립선언문 반포 2019년 11월 17일 <br> 독립 2023년 9월 10일 17시 49분 <br> 박씨 군사반란 2023년 9월 10일 17시 55분 <br> 니카의 난 2024년 4월 9일 23시 22분 <br> 니카 반란 2024년 4월 9일 23시 30분 <br> 니카 - 한대 분열 2024년 4월 9일 22시 35분|| | |||
|- | ||<bgcolor=#93C1FF><-3><:>{{{#white '''지리'''}}}|| | ||
||<bgcolor=#004ea1><-2><:>{{{#white '''수도│최대 도시'''}}}|| 베를린<small>( ~ 1945년)</small>, <br> 이스트 시스터<small>(1946년 ~ )</small>|| | |||
| | ||<bgcolor=#004ea1><:><|2>{{{#white '''면적'''}}}||<bgcolor=#004ea1><:>{{{#white '''헌법상'''}}}|| 357,022㎢|| | ||
| | ||<bgcolor=#004ea1><:>{{{#white '''실효 지배'''}}}|| 0.008264㎢|| | ||
| | ||<bgcolor=#93C1FF><-3><:>{{{#white '''인문 환경'''}}}|| | ||
| | ||<bgcolor=#004ea1><:><|6>{{{#white '''인구'''}}}||<bgcolor=#004ea1><:>{{{#white '''총인구'''}}}|| 10명|| | ||
{ | ||<bgcolor=#004ea1><:>{{{#white '''민족 구성'''}}}|| 니셜 민족 30.0%, 유챗 민족 20.0%, 기타 민족 50.0%|| | ||
| | ||<bgcolor=#004ea1><:>{{{#white '''인구밀도'''}}}|| 1159.5/㎢(2025년)|| | ||
||<bgcolor=#004ea1><:>{{{#white '''출생아 수'''}}}|| 0명^^(2025년)^^|| | |||
|- | ||<bgcolor=#004ea1><:>{{{#white '''출산율'''}}}|| 0명^^(2025년)^^|| | ||
||<bgcolor=#004ea1><:>{{{#white '''기대 수명'''}}}|| 16.8세^^(2025년)^^|| | |||
| | ||<bgcolor=#004ea1><:><-2>{{{#white '''공용 언어'''}}}|| 한국어, 한국 수어|| | ||
||<bgcolor=#004ea1><:><-2>{{{#white '''공용 문자'''}}}|| 한글, 한글 점자, 한자<small>(보조)</small>|| | |||
|- | ||<bgcolor=#004ea1><:><|2>{{{#white '''종교'''}}}||<bgcolor=#004ea1><:>{{{#white '''국교'''}}}|| 없음(정교분리)|| | ||
||<bgcolor=#004ea1><:>{{{#white '''분포'''}}}|| 이스교 42.9%, 무종교 57.1%<small>(2025년)</small>|| | |||
| | ||<bgcolor=#004ea1><:><-2>{{{#white '''군대'''}}}|| [[니셜 수호단]]|| | ||
| | ||<bgcolor=#004ea1><:><-2>{{{#white '''인간개발지수'''}}}|| 0.625<small>(2025년)</small>|| | ||
|- | ||<bgcolor=#93C1FF><-3><:>{{{#white '''정치'''}}}|| | ||
||<bgcolor=#004ea1><:><-2>{{{#white '''정치체제'''}}}|| 대통령제, 의원내각제, 단일국가|| | |||
| | ||<bgcolor=#004ea1><:><|4>{{{#white '''국가요인'''}}}||<bgcolor=#004ea1><:>{{{#white '''대통령 <br> <small>(국가원수)</small> <br> <small>(정부 수반)</small>'''}}}|| [[카니셜]]|| | ||
| | ||<bgcolor=#004ea1><:>{{{#white '''총리'''}}}|| [[니카]]|| | ||
|- | ||<bgcolor=#004ea1><:>{{{#white '''제1 부총리'''}}}|| [[컨트리어스]]|| | ||
||<bgcolor=#004ea1><:>{{{#white '''제2 부총리'''}}}|| [[언티빈]]|| | |||
||<bgcolor=#004ea1><:><-2>{{{#white '''여당'''}}}|| [[니셜민주당]]|| | |||
||<bgcolor=#93C1FF><-3><:>{{{#white '''경제'''}}}|| | |||
||<bgcolor=#004ea1><:><-2>{{{#white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bgcolor=#004ea1><:><|2>{{{#white '''명목 GDP'''}}}||<bgcolor=#004ea1><:>{{{#white '''전체'''}}}|| $1600만<small>(2025년)</small>|| | |||
||<bgcolor=#004ea1><:>{{{#white '''1인당'''}}}|| $7960<small>(2025년)</small>|| | |||
||<bgcolor=#004ea1><:><|2>{{{#white '''명목 GDP <br> (PPP)'''}}}||<bgcolor=#004ea1><:>{{{#white '''전체'''}}}|| $3328만<small>(2025년)</small>|| | |||
| | ||<bgcolor=#004ea1><:>{{{#white '''국부'''}}}|| $1486만<small>(2025년)</small>|| | ||
| | ||<bgcolor=#004ea1><:><|2>{{{#white '''수출입액'''}}}||<bgcolor=#004ea1><:>{{{#white '''수출'''}}}|| $1364만<small>(2025년)</small>|| | ||
| | ||<bgcolor=#004ea1><:>{{{#white '''수입'''}}}|| $1450만<small>(2025년)</small>|| | ||
| | ||<bgcolor=#004ea1><:><-2>{{{#white '''외환보유액'''}}}|| $458만<small>(2025년)</small>|| | ||
| | ||<bgcolor=#004ea1><:><-2>{{{#white '''통화'''}}}|| 니셜 달러(N̷)|| | ||
| | ||<bgcolor=#004ea1><:><|2>{{{#white '''국가 예산'''}}}||<bgcolor=#004ea1><:>{{{#white '''1년 세입'''}}}|| N̷1599만<small>(2025년)</small>|| | ||
||<bgcolor=#004ea1><:>{{{#white '''1년 세출'''}}}|| N̷1086만<small>(2025년)</small>|| | |||
||<bgcolor=#004ea1><:><-2>{{{#white '''지니 계수'''}}}|| 0.677<small>(2025년)</small>|| | |||
| | ||<bgcolor=#93C1FF><-3><:>{{{#white '''단위'''}}}|| | ||
| | ||<bgcolor=#004ea1><:><-2>{{{#white '''법정 연호'''}}}|| 서력기원|| | ||
| | ||<bgcolor=#004ea1><:><-2>{{{#white '''시간대'''}}}|| UTC +1|| | ||
| | ||<bgcolor=#004ea1><:><-2>{{{#white '''도량형'''}}}|| 미터법|| | ||
| | ||<bgcolor=#004ea1><:><-2>{{{#white '''날짜 형식'''}}}|| yyyy년 m월 d일 <br> yyyy. m. d. (CE)|| | ||
| | ||<bgcolor=#004ea1><:><-2>{{{#white '''~~운전석 <br> (통행방향)~~'''}}}|| ~~왼쪽(우측통행)~~|| | ||
| | ||<bgcolor=#93C1FF><-3><:>{{{#white '''외교'''}}}|| | ||
||<bgcolor=#004ea1><:><-2>{{{#white '''가국계 연합 가입'''}}}|| 미가입|| | |||
||<bgcolor=#004ea1><:><-2>{{{#white '''가국계 승인 여부'''}}}|| 알 수 없음|| | |||
| | ||<bgcolor=#004ea1><:><-2>{{{#white '''수교국'''}}}|| 가국 7+α개국|| | ||
||<bgcolor=#93C1FF><-3><:>{{{#white '''ccTLD'''}}}|| | |||
||<bgcolor=#ffffff><-3><:> {{{'''.ns, .니셜'''}}} || | |||
| | ||<bgcolor=#93C1FF><-3><:>{{{#white '''국가 코드'''}}}|| | ||
| | ||<bgcolor=#ffffff><-3><:> {{{'''NIS, NS'''}}} || | ||
| | ||<bgcolor=#93C1FF><-3><:>{{{#white '''국제 전화 코드'''}}}|| | ||
| | ||<bgcolor=#ffffff><-3><:> {{{'''+10'''}}} || | ||
||<bgcolor=#93C1FF><-3><:>{{{#white '''커뮤니티'''}}}|| | |||
||<bgcolor=#fff><-2><:>{{{#white '''[[파일:카카오톡 아이콘.png|20px|link=https://open.kakao.com/o/giWKJkGf]]'''}}}||<bgcolor=#fff><-2><:>{{{#white '''[[파일:밴드 아이콘.png|20px|link=https://band.us/page/92342439]]'''}}}|| | |||
| | |||
| | ||<tablebordercolor=#93C1FF><table align=left><table width=400><bgcolor=#93C1FF><-4><:>{{{#white '''위치'''}}}|| | ||
| | ||<-2><width=50%> [[파일:니셜 공화국 국토.jp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목차}} | {{목차}} | ||
==개요== | ==개요== | ||
유럽 그리스 | 니셜 공화국은 유럽 발칸 반도에 위치한 그리스 지중해의 럭셔리 제도로 구성된 [[가상국가]]다. | ||
니셜 공화국은 구국운동을 계기로 2019년 11월 17일 선포된 니셜 공화국 독립선언문을 바탕으로 2023년 9월 10일 니셜 정부가 수립되었다. | |||
== | ==상징== | ||
===국호=== | |||
공식 국호는 니셜 공화국이며 약칭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 | |||
공식 영문국호는 Republic of Nisyeol이다. 영문 약칭 및 통칭으로는 Nisyeol. 국가코드로는 NS, NIS가 사용된다. | |||
===국기=== | |||
||<tablebordercolor=#93C1FF><table align=center><table width=400><bgcolor=#93C1FF><-4><:>{{{#white '''{{{+1 니셜기}}}<br/>Nisyeol Flag'''}}}|| | |||
||<-2><width=50%> [[파일:니셜 공화국 국기.jpg|500px]] || | |||
||<width=25%><bgcolor=#004ea1><:>{{{#white '''지위'''}}}||<-2> '''공식 국기'''|| | |||
||<bgcolor=#004ea1><:>{{{#white '''최초 사용'''}}}||<-2> 1933년 1월 30일|| | |||
||<bgcolor=#004ea1><:>{{{#white '''채택'''}}}||<-2> [[독니셜 제국]]<small>(1933년 1월 30일)</small> <br> [[니셜 망명정부]]<small>(1945년 9월 2일)</small> <br> [[니셔르 공화국]]<small>(1952년 7월 22일)</small> <br> [[니셜 공화국]]<small>(2023년 9월 10일)</small>|| | |||
||<width=25%><bgcolor=#004ea1><:>{{{#white '''근거법령'''}}}||<-2> '''없음'''|| | |||
||<bgcolor=#004ea1><:>{{{#white '''제작자'''}}}||<-2> [[카니셜]]<small>(2023년 1월 16일)</small> <br> [[레고]]<small>(2023년 9월 10일)</small>|| | |||
흰색은 밝음과 순수했던 건국 당시의 카니셜의 모습을 나타내며 하늘색은 청소년을 뜻한다. | |||
===국장=== | |||
||<tablebordercolor=#93C1FF><table align=center><table width=400><bgcolor=#93C1FF><-4><:>{{{#white '''{{{+1 니셜문장}}}<br/>Nisyeol Emblem'''}}}|| | |||
||<-2><width=50%> [[파일:니셜 공화국 국장.png|200px]] || | |||
||<width=25%><bgcolor=#004ea1><:>{{{#white '''지위'''}}}||<-2> '''공식 국장'''|| | |||
||<bgcolor=#004ea1><:>{{{#white '''제정 시기'''}}}||<-2> 2024년 9월 9일|| | |||
||<width=25%><bgcolor=#004ea1><:>{{{#white '''근거법령'''}}}||<-2> '''없음'''|| | |||
===국가=== | |||
||<tablebordercolor=#93C1FF><table align=center><table width=400><bgcolor=#93C1FF><-4><:>{{{#white '''{{{+1 니셜 공화국은 아름답다}}}<br/>The Republic of Nisyeol is beautiful'''}}}|| | |||
||<-2><width=50%> [[파일:추천 국가 목록.png|500px]] || | |||
||<width=25%><bgcolor=#004ea1><:>{{{#white '''지위'''}}}||<-2> '''법정 국가'''|| | |||
||<bgcolor=#004ea1><:>{{{#white '''제정 시기'''}}}||<-2> 니셜 정부<small>(2023년 9월 10일)</small>|| | |||
||<width=25%><bgcolor=#004ea1><:>{{{#white '''근거법령'''}}}||<-2> '''없음'''|| | |||
||<width=25%><bgcolor=#004ea1><:>{{{#white '''작사가'''}}}||<-2> '''[[컨트리어스]]^^(예정됌)^^'''|| | |||
||<width=25%><bgcolor=#004ea1><:>{{{#white '''저작권자'''}}}||<-2> '''[[레고]], [[컨트리어스]] 공동 저작권자 <br> <small>(2023년 9월 10일)</small>'''|| | |||
법으로 정해진 국가로, 호빵 월드컵 같은 국제적인 행사에서 니셜 공화국을 상징하는 음악으로 국가 연주된다. | |||
===국화=== | |||
||<tablebordercolor=#93C1FF><table align=center><table width=400><bgcolor=#93C1FF><-4><:>{{{#white '''{{{+1 재스민}}}<br/>Jasmine'''}}}|| | |||
||<-2><width=50%> [[파일:재스민.webp|500px]] || | |||
법적으로 등재된 국화다. <br> 흰 재스민 보다는 푸른 재스민을 국화로 지정해두고 있는 편이다. | |||
===국새=== | |||
||<table align=center><-2><width=50%> [[파일:니셜 공화국 용인.png|250px]] ||<width=50%> [[파일:니셜 공화국 국새.png|250px]] || | |||
||<:><-3><bgcolor=#ffffff> {{{#000 '''현행 니셜 공화국 제1대 국새의 하온과 인영'''}}}|| | |||
니셜 공화국의 국새는 '니셜도장'이라고도 하며, 국가의 권력과 정통성을 상징하고, 공문서에 날인함으로써 니셜 정부에 의한 행정권의 발동을 표상적으로 나타내는 도장이다. 국새는 총리가 관리한다. | |||
국새는 '니셜 공화국'의 다섯 글자를 인문으로 새기며, 한글로 새겨야 한다. 글자가 새겨져 있는 부분인 '인면'이 10.4센티미터의 정방형이어야 하며, 재질은 금을 주성분으로 은ㆍ구리ㆍ아연 및 이리듐의 합금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 |||
==역사== | |||
{{본문|니셜 공화국/역사}} | |||
==정치== | ==정치== | ||
{{본문|니셜 공화국/정치}} | |||
===내각 구성=== | ===내각 구성=== |
2025년 6월 29일 (일) 13:31 판
니셜 공화국 Republic of Nisyeol | |||
![]() | ![]() | ||
국기 | 국장 | ||
Nisyeol! Nisyeol! Nisyeol! You are so precious and noble! 니셜! 니셜! 니셜! 존귀하시며 고귀하시네! | |||
상징 | |||
국가 | |||
국목 | |||
국화 | |||
국수 | |||
국조 | |||
역사 | |||
국가사회주의 니셜 노동자당 창당 1933년 1월 30일 독제 니셜 총리 취임 1933년 3월 23일 독니셜 퓌러 취임 1934년 8월 2일 독니셜 제국 선언 1936년 3월 7일 한미 - 트롤 전쟁 참전 1937년 7월 7일 아시아 정벌 1938년 3월 12일 유도랑 제국 참전 1938년 9월 30일 제1차 평화 조약 거부 1939년 9월 1일 제2차 평화 조약 거부 1941년 12월 7일 유도랑 - 독니셜 전쟁 1945년 4월 30일 전국토 원자폭탄 투하 1945년 5월 2일 럭셔리 제도 병합 1945년 5월 8일 망명정부 수립 1945년 9월 2일 영국령 럭셔리 제도 건국 1946년 8월 16일 구국운동 1984년 12월 19일 독립운동 1985년 5월 27일 광복 1997년 7월 1일 미군정 수립 1999년 12월 20일 독립선언문 반포 2019년 11월 17일 독립 2023년 9월 10일 17시 49분 박씨 군사반란 2023년 9월 10일 17시 55분 니카의 난 2024년 4월 9일 23시 22분 니카 반란 2024년 4월 9일 23시 30분 니카 - 한대 분열 2024년 4월 9일 22시 35분 | |||
지리 | |||
수도│최대 도시 | 베를린( ~ 1945년), 이스트 시스터(1946년 ~ ) | ||
면적 | 헌법상 | 357,022㎢ | |
실효 지배 | 0.008264㎢ | ||
인문 환경 | |||
인구 | 총인구 | 10명 | |
민족 구성 | 니셜 민족 30.0%, 유챗 민족 20.0%, 기타 민족 50.0% | ||
인구밀도 | 1159.5/㎢(2025년) | ||
출생아 수 | 0명(2025년) | ||
출산율 | 0명(2025년) | ||
기대 수명 | 16.8세(2025년) | ||
공용 언어 | 한국어, 한국 수어 | ||
공용 문자 | 한글, 한글 점자, 한자(보조) | ||
종교 | 국교 | 없음(정교분리) | |
분포 | 이스교 42.9%, 무종교 57.1%(2025년) | ||
군대 | 니셜 수호단 | ||
인간개발지수 | 0.625(2025년) | ||
정치 | |||
정치체제 | 대통령제, 의원내각제, 단일국가 | ||
국가요인 | 대통령 (국가원수) (정부 수반) | 카니셜 | |
총리 | 니카 | ||
제1 부총리 | 컨트리어스 | ||
제2 부총리 | 언티빈 | ||
여당 | 니셜민주당 | ||
경제 |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
명목 GDP | 전체 | $1600만(2025년) | |
1인당 | $7960(2025년) | ||
명목 GDP (PPP) | 전체 | $3328만(2025년) | |
국부 | $1486만(2025년) | ||
수출입액 | 수출 | $1364만(2025년) | |
수입 | $1450만(2025년) | ||
외환보유액 | $458만(2025년) | ||
통화 | 니셜 달러(N̷) | ||
국가 예산 | 1년 세입 | N̷1599만(2025년) | |
1년 세출 | N̷1086만(2025년) | ||
지니 계수 | 0.677(2025년) | ||
단위 | |||
법정 연호 | 서력기원 | ||
시간대 | UTC +1 | ||
도량형 | 미터법 | ||
날짜 형식 | yyyy년 m월 d일 yyyy. m. d. (CE) | ||
(통행방향) | |||
외교 | |||
가국계 연합 가입 | 미가입 | ||
가국계 승인 여부 | 알 수 없음 | ||
수교국 | 가국 7+α개국 | ||
ccTLD | |||
국가 코드 | |||
국제 전화 코드 | |||
커뮤니티 | |||
![]() | ![]() |
위치 | |||
![]() |
개요
니셜 공화국은 유럽 발칸 반도에 위치한 그리스 지중해의 럭셔리 제도로 구성된 가상국가다.
니셜 공화국은 구국운동을 계기로 2019년 11월 17일 선포된 니셜 공화국 독립선언문을 바탕으로 2023년 9월 10일 니셜 정부가 수립되었다.
상징
국호
공식 국호는 니셜 공화국이며 약칭은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
공식 영문국호는 Republic of Nisyeol이다. 영문 약칭 및 통칭으로는 Nisyeol. 국가코드로는 NS, NIS가 사용된다.
국기
니셜기 Nisyeol Flag | |||
![]() | |||
지위 | 공식 국기 | ||
최초 사용 | 1933년 1월 30일 | ||
채택 | 독니셜 제국(1933년 1월 30일) 니셜 망명정부(1945년 9월 2일) 니셔르 공화국(1952년 7월 22일) 니셜 공화국(2023년 9월 10일) | ||
근거법령 | 없음 | ||
제작자 | 카니셜(2023년 1월 16일) 레고(2023년 9월 10일) |
흰색은 밝음과 순수했던 건국 당시의 카니셜의 모습을 나타내며 하늘색은 청소년을 뜻한다.
국장
니셜문장 Nisyeol Emblem | |||
![]() | |||
지위 | 공식 국장 | ||
제정 시기 | 2024년 9월 9일 | ||
근거법령 | 없음 |
국가
니셜 공화국은 아름답다 The Republic of Nisyeol is beautiful | |||
![]() | |||
지위 | 법정 국가 | ||
제정 시기 | 니셜 정부(2023년 9월 10일) | ||
근거법령 | 없음 | ||
작사가 | 컨트리어스(예정됌) | ||
저작권자 | 레고, 컨트리어스 공동 저작권자 (2023년 9월 10일) |
법으로 정해진 국가로, 호빵 월드컵 같은 국제적인 행사에서 니셜 공화국을 상징하는 음악으로 국가 연주된다.
국화
재스민 Jasmine | |||
![]() |
법적으로 등재된 국화다.
흰 재스민 보다는 푸른 재스민을 국화로 지정해두고 있는 편이다.
국새
![]() | ![]() | |
현행 니셜 공화국 제1대 국새의 하온과 인영 |
니셜 공화국의 국새는 '니셜도장'이라고도 하며, 국가의 권력과 정통성을 상징하고, 공문서에 날인함으로써 니셜 정부에 의한 행정권의 발동을 표상적으로 나타내는 도장이다. 국새는 총리가 관리한다.
국새는 '니셜 공화국'의 다섯 글자를 인문으로 새기며, 한글로 새겨야 한다. 글자가 새겨져 있는 부분인 '인면'이 10.4센티미터의 정방형이어야 하며, 재질은 금을 주성분으로 은ㆍ구리ㆍ아연 및 이리듐의 합금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역사

정치

내각 구성
![]() | |||
대통령 | |||
카니셜 | |||
총리 | |||
니카 | |||
제1부총리 | 제2부총리 | ||
컨트리어스 | 언티빈 |
역대 대통령
순서 | 이름 | 재임 |
1대 | 카니셜 | 2023년 9월 10일 ~ 현 |
역대 총리
순서 | 이름 | 재임 |
1대 | 꽃게 아일랜드 | 2023년 9월 10일 ~ 2023년 11월 15일 |
2대 | 레고 | 2023년 11월 15일 ~ 2024년 1월 18일 |
3대 | 레고 | 2023년 1월 18일 ~ 2024년 4월 19일 |
4대 | 순오리 | 2024년 4월 19일 ~ 2024년 10월 19일 |
5대 | 컨볼 팬슬 | 2024년 10월 19일 ~ 2025년 1월 19일 |
6대 | 오헝 | 2025년 1월 19일 ~ 2025년 4월 19일 |
7대 | 니카 | 2025년 4월 19일 ~ 현 |
경제
외교
프랑스에 컨트리어스 외교관과 니카 관광객 홍보대사 이자 교통부장관이 파견되어 있다.
군사
치안
스포츠
관광
여담
- 미스터 비스트와 그의 친구들이 럭셔리 섬을 방문한적이 있다. [1] 4분 8초 부분부터는 럭셔리 섬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