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스테딕 공화국 제33대 대통령 선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39번째 줄: 139번째 줄:
=== 곡례 (카톡) ===
=== 곡례 (카톡) ===
=== 양해 (디코) ===
=== 양해 (디코) ===
무소속 한위 후보가 승리를 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ref>한위 후보가 익스테딕 디스코드 지부의 대표적 거물급 정치인이기 때문으로 보인다.</ref>
=== 영평 (카페/부재자) ===
=== 영평 (카페/부재자) ===



2025년 7월 3일 (목) 13:09 기준 최신판


링크= 익스테딕 4공화국의 공식 문서입니다.
본 문서를 관계자의 허용 없이 무단 편집할 시, 처벌 받을 수 있으니 편집 요청은 관계자에게 문의하십시오.
링크= 위키파티협회의 공식 문서입니다.
위키파티협회의 모든 문서는 위키파티협회의 허가 없는 비상업적・상업적 사용, 배포를 금지합니다.

해당 문서는 위키파티협회의 문서입니다. 위키파티협회 관계자 외 수정을 금지합니다.
익스테딕 공화국 제33대 대통령 선거
2025년 3월 19일 ~ 2025년 3월 21일
제32대 대선
2025년 4월 19일 ~ 2025년 4월 20일
제33대 대선
2025년 5월 21일 ~ 2025년 5월 23일
제34대 대선
투표율
52.31%
선거결과
아멘할렐루야
14.71% / 100% (10)
이혁
27.94% / 100% (19)
탈랄빈후세인
7.35% / 100% (5)
웅바오
7.35% / 100% (5)
강태공
7.35% / 100% (5)
황제
2.94% / 100% (2)
초수
25.00% / 100% (17)
한위
7.35% / 100% (5)
당선인
이혁 프로필.jpg
늘푸른민주당
이혁

개요

익스테딕 공화국의 제33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선거로, 2025년 4월 19일부터 4월 20일까지 34시간 동안 실시되었다.

선거의 성격

2.7 내란 이후 익스테딕이 밴드로 본진을 옮기고 난 뒤 치뤄지는 세 번째 대선이다.

• 결선 투표제가 다시 없어진 이후 치뤄지는 두 번째 대선이다.

• 정치가 다시 활발해지기 시작하게 되며 엄청난 후보간 치열한 선거운동 양상을 보여주게 되었다.

선거 일정

후보 등록 : 2025 / 4 / 11 ~ 2025 / 4 / 19 (낮 12:00 이전 까지)

선거 운동 : 2025 / 4 / 11 ~ 선거 시작 1시간 전 (4 / 19 낮 12:00) 까지

선거 진행 : 2025 / 4 / 19 낮 12:00 ~ 2025 / 4 / 20 오후 18:00

타임라인

후보

여론조사

• 평천 EBC 여론조사
종려나무당 - 아멘할렐루야 3표 [1위]
늘푸른민주당 - 이혁 2표 [2위]
공화연대 - 천사 2표 [2위][1]
익스테딕 공산당 - 웅바오 2표 [2위]
미래민중당 - 탈랄빈후세인 1표 [5위]
자유민주당 - 강태공 1표 [5위]
무소속 - 초수 1표 [5위]
무쇠전선 - 행정부 0표 [8위][2]
은하제국 - 황제 0표 [8위]

변수

• 초수 후보는 31대 대통령 임기동안 긍정적인 평가를 얻으며 지지층이 많아진 상태이며, 이혁 후보도 본래 콘크리트 지지층이 존재하기에 이 두 후보의 중도층 흡수가 변수가 되었다.
• 종려나무당이 총선에서 승리하며 대선에서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변수가 존재한다. [3]
• 이번에도 다자구도로 예상되는 상황 속에서, 이혁-초수의 2파전일지, 아멘할렐루야-이혁-초수의 3파전일지가 주요 관건이 되었다.

출구조사

2.7 내란 이후 익스테딕이 밴드로 본진을 옮기고 난 뒤부터는 출구조사를 대체적으로 시행하지 않는 분위기로 바뀌게 되며 출구조사를 어느 방송사에서도 실시하지 않았다.

투표율

총 유권자 130명 중 68명이 참여하며 투표율 52.31%를 기록했다.

개표 결과

합계

1 - 종려나무당 - 아멘할렐루야 | 10표 (14.71%) - 3위
2 - 늘푸른민주당 - 이혁 | 19표 (27.94%) - 당선
3 - 공화연대 - 천사 | 사퇴
4 - 미래민중당 - 탈랄빈후세인 | 5표 (7.35%) - 4위
5 - 무쇠전선 - 행정부 | 사퇴
7 - 익스테딕 공산당 - 웅바오 | 5표 (7.35%) - 4위
8 - 자유민주당 - 강태공 | 5표 (7.35%) - 4위
10 - 은하제국 - 황제[4] | 2표 (2.94%) - 8위
11 - 무소속 - 초수 | 17표 (25.00%) - 2위
12 - 무소속 - 한위 | 5표 (7.35%) - 4위

지역별

평천 (밴드)

곡례 (카톡)

양해 (디코)

무소속 한위 후보가 승리를 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5]

영평 (카페/부재자)

여담

각주

  1. 이후 사퇴.
  2. 이후 사퇴.
  3. 결과적으로는 3위를 했지만, 차후 대선에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평이다.
  4. 인류제국의 그 황제가 아니다.
  5. 한위 후보가 익스테딕 디스코드 지부의 대표적 거물급 정치인이기 때문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