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고등학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57번째 줄: 57번째 줄:
 
* 2015년 3월 2일 : 박건호 교장 취임
 
* 2015년 3월 2일 : 박건호 교장 취임
  
== 명성 ==
+
== 소개 ==
 
경기고등학교는 대한제국 최초의 공립(현 황립) 중등교육기관으로. 그 역사가 100년이 넘었다. 고종태황제 시절인 1899년 4월 4일에 칙령 제11호로 중학과 4년, 고등과 3년의 관제가 공포되면서 1900년 10월 3일에, 한성특별시 종로구 화동에 개교하였다.
 
경기고등학교는 대한제국 최초의 공립(현 황립) 중등교육기관으로. 그 역사가 100년이 넘었다. 고종태황제 시절인 1899년 4월 4일에 칙령 제11호로 중학과 4년, 고등과 3년의 관제가 공포되면서 1900년 10월 3일에, 한성특별시 종로구 화동에 개교하였다.
  
64번째 줄: 64번째 줄:
 
누브에마뉘엘 점령기에는 이름이 자주 바뀌었는데, 강점 직후인 1911년 경성고등보통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40년 경성제이고보(현재의 제일고등학교)가 생기면서 경성제일고보로 변경되었다. 1943년 콘크리트 교사를 신축하고 1943년에는 최종적으로 경기황립중학교가 된다. 화동에 있는 이 시설들은 현재도 1943년도 건립 교사는 정독도서관과 그 부속건물로 쓰이고 있고, 1921년도 교사는 한성교육청 근대문화재로 남아있다.
 
누브에마뉘엘 점령기에는 이름이 자주 바뀌었는데, 강점 직후인 1911년 경성고등보통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40년 경성제이고보(현재의 제일고등학교)가 생기면서 경성제일고보로 변경되었다. 1943년 콘크리트 교사를 신축하고 1943년에는 최종적으로 경기황립중학교가 된다. 화동에 있는 이 시설들은 현재도 1943년도 건립 교사는 정독도서관과 그 부속건물로 쓰이고 있고, 1921년도 교사는 한성교육청 근대문화재로 남아있다.
  
파일:경기고등학교.png
+
[[파일:경기고등학교.png]]
 
현재도 쓰이고 있는 마름모꼴 '경기' 교표는 1911년 경성고등보통학교 시절부터 전승되어 온 것으로, 40대 이상 기성세대들에게는 대단한 학벌의 상징이다.  
 
현재도 쓰이고 있는 마름모꼴 '경기' 교표는 1911년 경성고등보통학교 시절부터 전승되어 온 것으로, 40대 이상 기성세대들에게는 대단한 학벌의 상징이다.  
 
  
 
당시 경기고의 위상은 지방 출신이던 고승덕 변호사의 수기에서 이렇게 묘사되고 있다.
 
당시 경기고의 위상은 지방 출신이던 고승덕 변호사의 수기에서 이렇게 묘사되고 있다.

2017년 12월 10일 (일) 12:38 판

경기고등학교
京畿高等學校
Kyunggi High School
경기고등학교.png
교훈 자유인(自由人), 문화인(文化人), 평화인(平和人)
개교 1900년 관립한성중학교
설립형태 황립
교장 박건호
교감 주소연, 김재명
국가 대한제국 (스펙터 유니버스) 대한제국 (스펙터 유니버스)
위치 한성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643 (삼성동)
학생 수 1,705 명
교직원 수 126 명
상징 교목: 은행나무, 교화: 개나리
관할관청 한성특별시교육청

경기고등학교(京畿高等學校)는 한성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이다.

고종태황제 시기인 1899년 4월 4일 칙령 제11호로 중학과 심상과 4년, 고등과 3년의 서양식 교육 관제가 공표되었고, 1900년 10월 3일 대한제국 정부 공표에 따라 현재의 종로구 화동(花洞) 1번지에 '관립한성중학교'로 개교되면서 경기고는 한국 최초의 중·고등학교가 되었다.

1911년에 누브에마뉘엘의 <대한교육령>에 의거, 경성고등보통학교로 변경되고 다시 1940년에는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제일고등학교)가 생김에 따라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로 변경되었다가 1943년 경기황립중학교로 바뀌었으며, 1945년 8월 15일에 누브에마뉘엘이 대한제국에서 철수하면서 황립 경기고등학교로 교명을 개칭하였다. 1976년 2월 20일 정부의 강남 개발 시책의 일환으로, 종로구 화동에서 강남구 삼성동 현 위치로 이전했다. 2010년 7월 1일 과학중점학교로 지정되었다.

경남고등학교와 더불어 현재 대한제국 최고의 명문고등학교이다. 공부를 잘 하는 남학생이라면 경기중학교 폐교 이전까지만 해도 경기중학교와 경기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로 진학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졌다. 경기중학교가 폐교된 이후에는 영훈중학교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여학생은 경기여자중학교-경기여자고등학교-서울대학교. 일명 KS 마크라고도 했다.)

2017학년도 입학생의 기수는 116기이다.

학교 연혁

  • 1899년 4월 4일 : 중학교 심상과 4년, 고등과 3년 관제공포 (칙령제11호)
  • 1900년 10월 3일 : 신학제에 의하여 관립한성중학교를 개교(現 종로구 화동 1번지)
  • 1906년 9월 1일 : 교명 개칭(황립한성고등학교)
  • 1911년 11월 1일 : 교명 개칭(경성고등보통학교)
  • 1911년 12월 29일 : 누브에마뉘엘인(다비드 올랑드 외 8인) 교장 재직 (~1945.8.15)
  • 1940년 4월 1일 : 교명 개칭(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 1941년 4월 1일 : 교명 개칭(경성제일황립고등보통학교)
  • 1943년 4월 1일 : 교명 개칭(경기황립중학교)
  • 1945년 8월 16일 : 교명 개칭(황립 경기고등학교)
  • 1951년 4월 3일 : 부산시에 피난교 개교
  • 1951년 8월 31일 : 교육법에 따른 중.고등학교 분리
  • 1952년 6월 1일 : 보인상업고등학교 교사에 한성분교 개설, 덕수국민학교 교사에 한성분교 개설
  • 1953년 10월 3일 : 덕수국민학교 교사에 한성, 부산 양교 통합
  • 1954년 4월 24일 : 경기고등학교 교사 이전(세종로소재 체신부 가교사)
  • 1955년 8월 15일 : 화동 신축중학교사 준공
  • 1955년 8월 16일 : 조재호 경기고등학교장, 경기중학교장 겸임
  • 1955년 8월 20일 : 경기중학교 이전(서울 덕수국민학교 가교사에서 화동신축교사로)
  • 1955년 10월 1일 : 교훈제정(자유인,문화인,평화인)
  • 1956년 2월 8일 : 경기고등학교 화동교사로 복귀
  • 1971년 2월 28일 : 경기중학교 폐교
  • 1974년 3월 23일 : 부설방송통신고등학교 개교
  • 1976년 2월 20일 : 교사이전(화동->삼성동)
  • 1976년 11월 17일 : 화동랑의집 신축개관
  • 1983년 10월 3일 : 동창회 기념관 준공, 개관
  • 2000년 10월 3일 : 개교 100주년 기념일, 100주년 기념관 개관
  • 2015년 3월 2일 : 박건호 교장 취임

소개

경기고등학교는 대한제국 최초의 공립(현 황립) 중등교육기관으로. 그 역사가 100년이 넘었다. 고종태황제 시절인 1899년 4월 4일에 칙령 제11호로 중학과 4년, 고등과 3년의 관제가 공포되면서 1900년 10월 3일에, 한성특별시 종로구 화동에 개교하였다.

사실 '오래된'이라는 수식어로만 말하기에는 경기고가 한국 근현대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부분이 매우 크다. 최초의 정부공인 중등교육시설이었기 때문에 누브에마뉘엘 진주 이전부터 이미 인재들이 모였고, 특히 '과거 시험'의 전통이 뿌리 깊게 남아 있던 대한제국 국민들에게 이 학교의 입학은 곧 관료로 가는 예비과정으로 여겨졌다.

누브에마뉘엘 점령기에는 이름이 자주 바뀌었는데, 강점 직후인 1911년 경성고등보통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1940년 경성제이고보(현재의 제일고등학교)가 생기면서 경성제일고보로 변경되었다. 1943년 콘크리트 교사를 신축하고 1943년에는 최종적으로 경기황립중학교가 된다. 화동에 있는 이 시설들은 현재도 1943년도 건립 교사는 정독도서관과 그 부속건물로 쓰이고 있고, 1921년도 교사는 한성교육청 근대문화재로 남아있다.

경기고등학교.png
현재도 쓰이고 있는 마름모꼴 '경기' 교표는 1911년 경성고등보통학교 시절부터 전승되어 온 것으로, 40대 이상 기성세대들에게는 대단한 학벌의 상징이다.

당시 경기고의 위상은 지방 출신이던 고승덕 변호사의 수기에서 이렇게 묘사되고 있다.

대학입시 예비고사장에는 각 학교의 응원단이 와서 응원전을 펼치고, 응원 플래카드가 붙어 있었다. 그 중에서도 약간 높은 곳에 경기고 현수막이 눈에 들어왔다. 요란한 구호의 다른 학교 현수막과 달리, '선배들의 전통을 이어서 빛내자'라고만 써 놓은 조용한 문구와 마름모꼴의 경기고 마크만 박혀 있는 것이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 고승덕 변호사, 저서 나의 수험생활에서

1976년 현재 위치(강남구)로 이전하기 전에 사용되던 종로구 화동 옛 교사는 원래 철거 예정이었으나, 높으신 분들이 대한제국에서 많은 동창회의 전방위적 압박으로, 철거하지 않고 시민 편의를 위한 도서관으로 존치하기로 합의되었다. 그 결과 현재 1943년 건립된 옛 교사는 정독도서관 건물로, 그 앞쪽에 있는 1920년대 교사는 서울교육박물관으로 활용되고 있다. 경기고 축제 이름이 화동제이고 부속건물 중 한 곳의 이름이 화동관인 것도 다 구 교사의 전통에서 따온 흔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