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미넴: 두 판 사이의 차이

74번째 줄: 74번째 줄:
에미넴은 자신이 [[라킴]], 에샴, 쿨 지 랩, 마스타 에이스, [[빅 대디 케인]], 뉴클레우스, [[아이스-T]][* 여담으로, 에미넴이 가장 처음 접한 힙합 곡이 아이스-T의 Reckless라고 한다.], 맨트로닉스, [[LL Cool J]][* 에미넴이 가장 좋아하는 래퍼다.], [[비스티 보이즈]], [[런-DMC]], [[레드맨(미국 래퍼)|레드맨]], [[부기 다운 프로덕션]] 등 수많은 래퍼들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에미넴은 자신이 [[라킴]], 에샴, 쿨 지 랩, 마스타 에이스, [[빅 대디 케인]], 뉴클레우스, [[아이스-T]][* 여담으로, 에미넴이 가장 처음 접한 힙합 곡이 아이스-T의 Reckless라고 한다.], 맨트로닉스, [[LL Cool J]][* 에미넴이 가장 좋아하는 래퍼다.], [[비스티 보이즈]], [[런-DMC]], [[레드맨(미국 래퍼)|레드맨]], [[부기 다운 프로덕션]] 등 수많은 래퍼들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에미넴의 랩 테크닉은 다양한 부분에서 최고점에 있는데, 짜임새 있는 라임 체계[* 에미넴은 [[라킴]], [[빅 대디 케인]], [[쿨 지 랩]] 등이 제시한 외부 운율 & 내부 운율을 동시에 맞추는 작사 방식과 여러 음절을 조합하는 다음절 라임의 수준을 극한까지 끌어올렸다고 평가받는다. 대부분의 다른 래퍼와는 다르게, 에미넴의 거의 모든 곡은 치밀한 라임으로 도배되어 있는 편이다.] 발음을 구부려서 만드는 라임, 다음절 라임[* 다음절 라임의 창시자인 [[라킴]]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고, 매우 존경하고 있으며 가사에도 가끔씩 등장한다. 라킴도 에미넴을 괴물같다고 칭찬하며 역대 최고의 래퍼로 [[https://youtube.com/shorts/Ohf77Uz2R8s|언급했다.]]], 수준 높은 펀치라인[* 특히 2010년대 후반부터 워드플레이를 굉장히 많이 이용하며, Alfred's Theme 같은 일부 곡들은 곡 전체가 펀치라인으로 도배된 곡들도 있다. 일반적으로 두개의 의미를 가지는 펀치라인을 넘어 세개 이상의 의미를 가진 펀치라인도 가끔씩 쓴다. 게다가 한두줄의 가사로 구성되는 단순한 펀치라인이 아닌 네다섯줄 이상으로 이어지거나, 아예 텀을 두어서 변칙적으로 연결하는 경우도 많다.], 명확한 딜리버리, 리듬감[* 정확히는 케이던스에 관한 능력인데, [[JAY-Z]]가 이에 대해 칭찬한 적이 있다. MTBMB부터는 목의 피로감을 덜려는 의도인지는 모르겠으나 이러한 케이던스가 차분해진 트랙이 많은데, 여기에 이질감을 느끼는 팬들도 있다.], 다양한 플로우 등이 있다. 활동 기간이 길고 중간중간 공백기도 길었기에 랩 스타일과 목소리 톤이 계속해서 변했지만 짜임새 있는 라임 배치와 펀치라인 등은 여전하고, 더 발전하기도 했다.
에미넴의 랩 테크닉은 다양한 부분에서 최고점에 있는데, 짜임새 있는 라임 체계<ref>에미넴은 [[라킴]], [[빅 대디 케인]], [[쿨 지 랩]] 등이 제시한 외부 운율 & 내부 운율을 동시에 맞추는 작사 방식과 여러 음절을 조합하는 다음절 라임의 수준을 극한까지 끌어올렸다고 평가받는다. 대부분의 다른 래퍼와는 다르게, 에미넴의 거의 모든 곡은 치밀한 라임으로 도배되어 있는 편이다.</ref> 발음을 구부려서 만드는 라임, 다음절 라임<ref>다음절 라임의 창시자인 [[라킴]]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고, 매우 존경하고 있으며 가사에도 가끔씩 등장한다. 라킴도 에미넴을 괴물같다고 칭찬하며 역대 최고의 래퍼로 [[https://youtube.com/shorts/Ohf77Uz2R8s|언급했다.]]</ref>, 수준 높은 펀치라인<ref>특히 2010년대 후반부터 워드플레이를 굉장히 많이 이용하며, Alfred's Theme 같은 일부 곡들은 곡 전체가 펀치라인으로 도배된 곡들도 있다. 일반적으로 두개의 의미를 가지는 펀치라인을 넘어 세개 이상의 의미를 가진 펀치라인도 가끔씩 쓴다. 게다가 한두줄의 가사로 구성되는 단순한 펀치라인이 아닌 네다섯줄 이상으로 이어지거나, 아예 텀을 두어서 변칙적으로 연결하는 경우도 많다.</ref>, 명확한 딜리버리, 리듬감<ref>정확히는 케이던스에 관한 능력인데, [[JAY-Z]]가 이에 대해 칭찬한 적이 있다. MTBMB부터는 목의 피로감을 덜려는 의도인지는 모르겠으나 이러한 케이던스가 차분해진 트랙이 많은데, 여기에 이질감을 느끼는 팬들도 있다.</ref>, 다양한 플로우 등이 있다. 활동 기간이 길고 중간중간 공백기도 길었기에 랩 스타일과 목소리 톤이 계속해서 변했지만 짜임새 있는 라임 배치와 펀치라인 등은 여전하고, 더 발전하기도 했다.
||<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22,#fff><tablebgcolor=#222><youtube>https://youtu.be/fj8_9L2l7ZM?si=ET-bi_bVlRHqDRUP</youtube> ||<nopad> <youtube>https://youtu.be/9fSCepC9FeA?si=81Ju1u2JVqhNqRPx</youtube> ||
||<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22,#fff><tablebgcolor=#222><youtube>https://youtu.be/fj8_9L2l7ZM?si=ET-bi_bVlRHqDRUP</youtube> ||<nopad> <youtube>https://youtu.be/9fSCepC9FeA?si=81Ju1u2JVqhNqRPx</youtube> ||
||<height=38> {{{#fff '''2001년 《Renegade》'''}}}<ref>'''끊임없이 이어지는 다음절 라임, A-B-A-B 라임, 한 문장에 들어간 두운 + 모운 + 각운''' 등 고난이도 라임의 모든 것이 담겨있다.</ref> || {{{#fff '''2002년 《Till I Collapse》'''}}} ||
||<height=38> {{{#fff '''2001년 《Renegade》'''}}}<ref>'''끊임없이 이어지는 다음절 라임, A-B-A-B 라임, 한 문장에 들어간 두운 + 모운 + 각운''' 등 고난이도 라임의 모든 것이 담겨있다.</ref> || {{{#fff '''2002년 《Till I Collapse》'''}}} ||
84번째 줄: 84번째 줄:


가사를 손수 종이에 적는 편이라고 한다. 상자에 공책이나 종이들을 쌓아둔다. 또한 가사를 완성하는 데는 며칠 혹은 일주일이 걸린다고 한다.
가사를 손수 종이에 적는 편이라고 한다. 상자에 공책이나 종이들을 쌓아둔다. 또한 가사를 완성하는 데는 며칠 혹은 일주일이 걸린다고 한다.
== [[/여담|여담]] ==
== [[/여담|여담]] ==
{{본문|에미넴/여담}}
{{본문|에미넴/여담}}

2025년 7월 14일 (월) 19:30 판

에미넴
Eminem
에미넴.webp
본명 마셜 브루스 매더스 3세
Marshall Bruce Mathers III
출생 1972년 10월 17일 (52세)
미주리 주 세인트조지프
거주 미시간 주 로체스터
국적 미국 국기.svg 미국
신체 173cm, 68kg, 왼손잡이, O형
직업 래퍼, 싱어송라이터, 배우, 작가, 프로듀서
서명 에미넴-서명.svg
홈페이지 Elogo.webp EminemShop.webp
플랫폼 .
SNS .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학력 링컨고등학교 (중퇴)
부모 Marshall Bruce Mathers Jr.(父)
마셜 브루스 매더스 주니어
Deborah Nelson Mathers(母)
데보라 넬슨 매더스
종교 개신교 (침례회)
지지정당 민주당
재산 3억 3,000만 달러 추정 (한화 약 4,600억)

개요

에미넴-라이브 1.webp
And just might be the next best thing, but not quite me
나 다음으로 가장 나을 수는 있지만, 내가 될 순 없지

- The Real Slim Shady

미국 디트로이트 출신[1]의 래퍼이자 배우.

예명의 유래

본명은 마셜 브루스 매더스 3세(Marshall Bruce Mathers III)이며 이니셜인 M&M의 음독 엠엔엠→에메넴→에미넴을 예명으로 지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를 상징하는 글자는 좌우가 뒤집어진 E자(Ǝ)이고, 그의 앨범 자켓이든 콘서트든 E의 한 글자 만큼은 항상 뒤집어져 있다.[2]

에미넴 2.webp

또 다른 이름인 슬림 셰이디(Slim Shady)는 일부 앨범에서 표현되는 그의 얼터 에고를 이른다.

래퍼로서의 특징

에미넴은 자신이 라킴, 에샴, 쿨 지 랩, 마스타 에이스, 빅 대디 케인, 뉴클레우스, 아이스-T 여담으로, 에미넴이 가장 처음 접한 힙합 곡이 아이스-T의 Reckless라고 한다., 맨트로닉스, LL Cool J 에미넴이 가장 좋아하는 래퍼다., 비스티 보이즈, 런-DMC, 레드맨, 부기 다운 프로덕션 등 수많은 래퍼들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에미넴의 랩 테크닉은 다양한 부분에서 최고점에 있는데, 짜임새 있는 라임 체계[3] 발음을 구부려서 만드는 라임, 다음절 라임[4], 수준 높은 펀치라인[5], 명확한 딜리버리, 리듬감[6], 다양한 플로우 등이 있다. 활동 기간이 길고 중간중간 공백기도 길었기에 랩 스타일과 목소리 톤이 계속해서 변했지만 짜임새 있는 라임 배치와 펀치라인 등은 여전하고, 더 발전하기도 했다.

2001년 《Renegade》[7]2002년 《Till I Collapse》
2009년 《Stay Wide Awake》[8]2013년 《Groundhog Day》[9]
2020년 《Book of Rhymes》2024년 《Habits》

2010년대 후반부터는 무명시절에 자주 했던 빠른 속사포 랩을 자주 선보인다. 라임 배치가 타이트하고 텅 트위스팅의 수준이 높아 듣는데 만족감이 높지만, 최근에는 속사포 파트를 자주 넣는 감이 있기에 이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가사를 손수 종이에 적는 편이라고 한다. 상자에 공책이나 종이들을 쌓아둔다. 또한 가사를 완성하는 데는 며칠 혹은 일주일이 걸린다고 한다.

여담

각주

  1. 출생 지역은 세인트조지프이나, 유년기 시절에 디트로이트로 이주한 뒤 성장하였다. 에미넴은 성장기를 디트로이트에서 보냈기에 디트로이트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은 디트로이트 출신이라고 언급한 적도 많다. 미국 내에서는 디트로이트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로 꼽힌다.
  2. Elogo.webp
  3. 에미넴은 라킴, 빅 대디 케인, 쿨 지 랩 등이 제시한 외부 운율 & 내부 운율을 동시에 맞추는 작사 방식과 여러 음절을 조합하는 다음절 라임의 수준을 극한까지 끌어올렸다고 평가받는다. 대부분의 다른 래퍼와는 다르게, 에미넴의 거의 모든 곡은 치밀한 라임으로 도배되어 있는 편이다.
  4. 다음절 라임의 창시자인 라킴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고, 매우 존경하고 있으며 가사에도 가끔씩 등장한다. 라킴도 에미넴을 괴물같다고 칭찬하며 역대 최고의 래퍼로 언급했다.
  5. 특히 2010년대 후반부터 워드플레이를 굉장히 많이 이용하며, Alfred's Theme 같은 일부 곡들은 곡 전체가 펀치라인으로 도배된 곡들도 있다. 일반적으로 두개의 의미를 가지는 펀치라인을 넘어 세개 이상의 의미를 가진 펀치라인도 가끔씩 쓴다. 게다가 한두줄의 가사로 구성되는 단순한 펀치라인이 아닌 네다섯줄 이상으로 이어지거나, 아예 텀을 두어서 변칙적으로 연결하는 경우도 많다.
  6. 정확히는 케이던스에 관한 능력인데, JAY-Z가 이에 대해 칭찬한 적이 있다. MTBMB부터는 목의 피로감을 덜려는 의도인지는 모르겠으나 이러한 케이던스가 차분해진 트랙이 많은데, 여기에 이질감을 느끼는 팬들도 있다.
  7. 끊임없이 이어지는 다음절 라임, A-B-A-B 라임, 한 문장에 들어간 두운 + 모운 + 각운 등 고난이도 라임의 모든 것이 담겨있다.
  8. 한 벌스 전체의 모든 문장 대부분을 라임으로 맞췄다.
  9. 곡 시작부터 2분 17초 동안 문장 끝부분에 4음절 라임을 끊임없이 이어가고, 그 이후에는 또다른 타이트한 라임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