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레옹의 유산/개변된 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47번째 줄: 47번째 줄:


1848년 9월 20일, 프랑스가 여름 혁명과 함께 그동안 준비해오던 재무장을 선언하고 승전국이었던 독일•오스트리아•러시아에서 혁명이 발생하며 결국 4년에 포츠담-페트로그라드 체제는 종말했다.
1848년 9월 20일, 프랑스가 여름 혁명과 함께 그동안 준비해오던 재무장을 선언하고 승전국이었던 독일•오스트리아•러시아에서 혁명이 발생하며 결국 4년에 포츠담-페트로그라드 체제는 종말했다.
===그리스 독립 전쟁===
1844년 3월 13일,그리스가 독립을 선포하였고,오스만 제국은 이에 반발,그리스에 전쟁 및 지하드를 선포하였다.(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안티오키아,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가 그리스 교회를 파문했다-- )
오스만 제국이 부분 동원령을 선포하고,그리스에 대한 공세를 실시하며 빠르게 결판이 나는 것 **같았으나**..


===인도 독립 선포===
===인도 독립 선포===

2025년 8월 17일 (일) 02:01 판

개요

1836년 이전

1805년 10월 21일 : 트라팔가르 해전 서, 프랑스 해군의 승리. 지브롤터 점령

1805년 12월 05일 : 아우스터리츠 전투 서, 프랑스군의 승리. 오스트리아 정전 협정 체결

1806년 01월 13일 : 제4차 대프랑스 동맹 체결

1805년 10월 14일 : 아우어슈테트 전투 서, 프랑스군의 승리

1805년 10월 19일 : 틸지트 조약 체결. 프랑스 러시아 프로이센 간 평화 합의

1805년 11월 21일 : 대륙 봉쇄령 발령

1812년 06월 15일 : 비토리아 전투 서, 프랑스군의 승리. 에스파냐의 항복

1812년 09월 07일 : 대러시아 원정 실시. 차르 알렉산드르 생포

1812년 11월 06일 : 보르디노 조약 체결. 러시아의 프랑스 영향권 귀속

1813년 04월 01일 : 파리 조약 체결. 프랑스 영국 간 평화 합의

1813년 05월 17일 : 프랑스 라인동맹 프로이센 등 11개국이 파리 체제 조인

1823년 06월 10일 : 나폴레옹 1세 서거. 나폴레옹 2세 승계

1830년 08월 11일 : 오스만 파리 동맹 전쟁 발발 (속칭 보스니아 전쟁)

1831년 02월 10일 : 사라예보 전투서, 프랑스군의 승리

1831년 10월 30일 : 몰다비아 조약 체결. 프랑스에 알제 할양

1834년 06월 15일 : 러시아, 파리 동맹 전격 탈퇴. 독자 노선 선포

1835년 11월 30일 : 프로이센서, 반프랑스 혁명 발생

1835년 12월 04일 : 작센, 그라우이치의 라인 동맹 탈퇴. 라인연방 존폐 위기

팍스 프랑시아

파리 함락, 프랑스 패배

1844년 12월 26일, 프랑스 파리가 반프랑스 동맹군에 의해 함락되며 프랑스가 패배한 사건, 팍스 프랑시아 체제 붕괴의 기점이다.

포츠담-페트로그라드 체제

1844년 1월 5일, 프랑스 제국이 대프랑스 전쟁과의 전쟁에서 수조를 함락 당하고 패전했으며, 포츠담 회담에서 승전국들이 프랑스의 식민지와 군대를 양분하고 천문학적인 배상금을 물리며 시작된 체제이다.

1848년 9월 20일, 프랑스가 여름 혁명과 함께 그동안 준비해오던 재무장을 선언하고 승전국이었던 독일•오스트리아•러시아에서 혁명이 발생하며 결국 4년에 포츠담-페트로그라드 체제는 종말했다.

그리스 독립 전쟁

1844년 3월 13일,그리스가 독립을 선포하였고,오스만 제국은 이에 반발,그리스에 전쟁 및 지하드를 선포하였다.(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안티오키아,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가 그리스 교회를 파문했다 ) 오스만 제국이 부분 동원령을 선포하고,그리스에 대한 공세를 실시하며 빠르게 결판이 나는 것 **같았으나**..


인도 독립 선포

1845년 1월 16일, 프랑스 공화국이 파리 함락으로 인해 대프랑스 동맹과의 전쟁에서 패배하자 프랑스에서 피난 온 고위층, 자본가들의 망명을 받아준 후 독립을 선포한 사건이다.

하지만, 이는 엄연히 포츠담 회담에서의 식민지 관련 협의와 반대되는 행동이었기에 결국 영국, 러시아 연합군이 인도를 침공하는 계기가 된다.

반 공화국 봉기

1845년 12월 21일, 인도 중앙 정부가 옛 번 완국의 국왕 및 수뇌들을 숙청하자 반공화국 주의자들은 음지에서 반정부조직을 창설하고 카라치와 같은 대도시에서 무장봉기를 벌이는 등 대규모 봉기를 조직하게 된다.

이들은 각 지역•도시의 청사•무기고•산업단지 등을 점령하는 든의 조직적인 행동을 보였으며 결정적으로 이들이 영국-인도 전쟁에서도 영국과 연합하여 인도에 대한 사보타주를 이어나가 결국 인도가 패망하는데 일조를 했다.

영국-인도 전쟁

결국 1846년 4월 25일, 러크나우가 함락되며 인도는 항복하였으며, 영국에게 전 국토를 내어주고 영국의 식민지 체제에 들어가게 된다.

오만-네지드 전쟁

1845년 8월 10일, 오만 제국이 네지드 토후국에 대한 선전포고 후, 덴마크-노르웨이와 함께 네지드 토후국에 대한 공세를 개시했으며 오만•덴마크-노르웨이 연합군은 쿠웨이트를 이용해 네지드군의 방어 병력이 없는 동부 해안가 일대를 대부분 점령한 후 수도 리야드에 대한 공세를 개시했다.

하지만 네지드군이 오아시스들을 거점으로 방어함과 동시에 게릴라 공격, 군대를 육군과 신속군으로 나눠 기병 중심의 신속군으로 오만•덴마크-노르웨이 연합군의 측면 및 후방을 공격하여 큰 피해를 주고 네지드군은 리야드를 방어하는데에 성공했다.

또한 네지드군은 룹알할리 사막이라는 자연의 방패를 지니고 있어 오만 본토에 있는 오만군이 동부로 진격하지 못하는 것을 이용해 예멘 현지의 전 바이다 술탄국의 술탄이었던 왕족들과 현지 주민들과 협력하여 봉기를 일으켜 혼란이 발생하는 등 연이은 패배가 지속되자 급기야 덴마크-노르웨이군은 네지드 토후국과의 협정 이후 아라비아 반도에서 철수하는데에 이르렀다.

결국 1847년, 오만 제국은 네지드 토후국과의 협상 끝에 쿠웨이트, 이라크 남부 지역, 바레인을 네지드 토후국에 인도하고 평화 협정을 맺으며 오만-네지드 전쟁은 막을 내린다.

무제

포츠담-페트로그라드 체제가 4년만에 붕괴되자 시작된 새로운 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