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로마제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1번째 줄: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bgcolor=#F7D358><-4><:>{{{#000000 {{{+1 '''신성로마제국'''}}}[br]{{{+1 '''Holy Roman Reich'''}}}[br]{{{+1 '''Holy Roman Empire'''}}}}}}||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bgcolor=#F7D358><-4><:>{{{#000000 {{{+1 '''신성로마제국'''}}}[br]{{{+1 '''Heiliges Römisches Reich'''}}}[br]{{{+1 '''Holy Roman Empire'''}}}}}}||
 
||<:><-4>[[파일:신성로마제국국기.png|width=200]]||
 
||<:><-4>[[파일:신성로마제국국기.png|width=200]]||
 
||<-4><:><#F7D358>'''{{{#000000 국기}}}''' ||
 
||<-4><:><#F7D358>'''{{{#000000 국기}}}''' ||
||<:><-4>[[파일:국장.png|width=200]] ||
+
||<:><-4>[[파일:신성로마제국국장.png|width=200]] ||
 
||<-4><:><#F7D358>'''{{{#000000 국장}}}''' ||
 
||<-4><:><#F7D358>'''{{{#000000 국장}}}''' ||
||||<width=35%><bgcolor=#F7D358><:>{{{#000000 '''국호'''}}}||<-2><width=65%> 신성로마제국 [br] Holy Roman Reich ||
+
||||<width=35%><bgcolor=#F7D358><:>{{{#000000 '''국호'''}}}||<-2><width=65%> 신성로마제국 [br] Heiliges Römisches Reich ||
 
||<bgcolor=#F7D358><|4><:>{{{#000000 '''상징'''}}}||<width=25%><bgcolor=#F7D358><:>{{{#000000 '''국가'''}}}||<-2> [[황제의 노래]] ||
 
||<bgcolor=#F7D358><|4><:>{{{#000000 '''상징'''}}}||<width=25%><bgcolor=#F7D358><:>{{{#000000 '''국가'''}}}||<-2> [[황제의 노래]] ||
 
||<bgcolor=#F7D358><:>{{{#000000 '''국화'''}}}||<-2> 매 황제마다 다름 ||
 
||<bgcolor=#F7D358><:>{{{#000000 '''국화'''}}}||<-2> 매 황제마다 다름 ||
31번째 줄: 31번째 줄:
 
독일 서부 일부와 벨기에, 프랑스 일부를 포함하는 제국이다. 서기 7, 8세기부터 이어져 왔으며, 국가 표어는 ‘Heiliges Rom, Schutzpatron des Katholizismus‘ 이다.
 
독일 서부 일부와 벨기에, 프랑스 일부를 포함하는 제국이다. 서기 7, 8세기부터 이어져 왔으며, 국가 표어는 ‘Heiliges Rom, Schutzpatron des Katholizismus‘ 이다.
  
== 신성로마제국 역사 ==
+
== '''가톨릭의 수호자 신성로마제국''' ==
 +
신성 로마 제국에게 있어서 가톨릭은 단순히 국교 '따위'의 레벨이 아니며 동로마의 정교회처럼 국가 정체성의 한 축을 이루는 핵심 요소다. 오히려 동로마의 경우 나라의 중심이 되는 국교라는 입장일 뿐이지만, 신성 로마 제국은 애초에 나라의 시작부터가 교황이 (서)로마 황제관을 준 것이 계기이며, 심지어 이 당시 정통성을 주장하기 위해 사용했던 문서가 위조임이 발각되었기에 교황이 없으면 신성 로마 제국이 더 이상 정당한 로마 제국의 후예로 인정받을 수 없는 상황이었기에, 가톨릭과 신성 로마 제국의 관계는 가톨릭이 우위인 관계였다. 현대인의 시각이야 어떻든, 당시 서유럽인의 인식 속에서 신성 로마 제국은 서로마의 후계자이며, 동방의 정교회 제국인 동로마 제국과 대비되는 서방의 가톨릭 제국이었다. 그리고 개신교가 출현하여 제국의 신앙이 분열되는 순간, 제국은 급격한 쇠락의 길을 걸었다.
 +
 
 +
이렇듯 신성로마제국에게 가톨릭이라는 것은 다시 말해서, '''제국 그 자체''' 인 것이다.

2019년 7월 8일 (월) 16:31 판

신성로마제국
Heiliges Römisches Reich
Holy Roman Empire
신성로마제국국기.png
국기
신성로마제국국장.png
국장
국호신성로마제국
Heiliges Römisches Reich
상징국가황제의 노래
국화매 황제마다 다름
국조쌍두독수리
표어Heiliges Rom, Schutzpatron des Katholizismus(신성 로마이자, 가톨릭의 수호자)
자연환경면적(영토)000 km²
인문환경인구1002만명
인구밀도인구밀도
공용 언어독일어
정치국체선출군주제
정부형태내각책임제
황제Leopold oldenbrug
총리공석
경제GDP$850억
1인당 GDP$0000
GDP(PPP)$850억
1인당 GDP(PPP)$0000
공식 화폐마르크화
단위
법정연호서력기원
시간대예) UTC +1

개요

독일 서부 일부와 벨기에, 프랑스 일부를 포함하는 제국이다. 서기 7, 8세기부터 이어져 왔으며, 국가 표어는 ‘Heiliges Rom, Schutzpatron des Katholizismus‘ 이다.

가톨릭의 수호자 신성로마제국

신성 로마 제국에게 있어서 가톨릭은 단순히 국교 '따위'의 레벨이 아니며 동로마의 정교회처럼 국가 정체성의 한 축을 이루는 핵심 요소다. 오히려 동로마의 경우 나라의 중심이 되는 국교라는 입장일 뿐이지만, 신성 로마 제국은 애초에 나라의 시작부터가 교황이 (서)로마 황제관을 준 것이 계기이며, 심지어 이 당시 정통성을 주장하기 위해 사용했던 문서가 위조임이 발각되었기에 교황이 없으면 신성 로마 제국이 더 이상 정당한 로마 제국의 후예로 인정받을 수 없는 상황이었기에, 가톨릭과 신성 로마 제국의 관계는 가톨릭이 우위인 관계였다. 현대인의 시각이야 어떻든, 당시 서유럽인의 인식 속에서 신성 로마 제국은 서로마의 후계자이며, 동방의 정교회 제국인 동로마 제국과 대비되는 서방의 가톨릭 제국이었다. 그리고 개신교가 출현하여 제국의 신앙이 분열되는 순간, 제국은 급격한 쇠락의 길을 걸었다.

이렇듯 신성로마제국에게 가톨릭이라는 것은 다시 말해서, 제국 그 자체 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