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영국의 정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2번째 줄: 12번째 줄:
  
 
== 휘영의 정당 ==
 
== 휘영의 정당 ==
대체적으로 양당제의 성향을 띈다.
+
대체적으로 양당제의 성향을 띈다. [[민주당]]과 [[보수당]]이 약 10년을 주기로 번갈아 정권을 잡는다. 민주당은 중도진보, 보수당은 중도보수 성향을 보이지만 민주당에도 극좌가 있고 보수당에도 극우가 있다. 두 거대양당은 폭넓은 스펙트럼을 보이는 편. 현재 [[평화당]]이 강한 상승세를 타며 중도 제3지대 정당으로 가능성을 보이고 있지만 아직은 양당제라고 분석한다. 영국의 예를 들여와 영국의 용어를 사용한다.
 +
 
 +
=== 국왕 폐하의 정부 (여당) ===
 +
||<tablealign=center> [[파일:휘영 민주당 로고.png]] ||
 +
|| [[민주당]] (2016년 집권) ||
 +
 
 +
=== 국왕 폐하의 야당 ===
 +
||<tablealign=center> [[파일:휘영 보수당 로고.png]] ||
 +
|| [[보수당]] ||
 +
 
 +
=== 신임과 보완 ===
 +
||<tablealign=center> [[파일:휘영 평화당 로고.png]] ||
 +
|| [[평화당]] (20016년 연정 합의) ||
 +
 
 +
2석에 불과한 평화당과 단독 과반인 민주당이 연정을 이룬 이유는 민주당의 정책에서 시민운동계의 지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평화당의 주 지지층이 시민운동가들이기 때문에 시민운동가와 정부의 중간 교두보 역할을 기대한 것이다,
 +
 
 +
=== 기타 야당 ===
 +
'''[[근왕당]]'''
 +
왕실의 권한 확대와 친왕실 성향을 보이는 정당으로, 8석의 작은 정당이다. 이마저도 지역구는 약 2석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죄다 비례의석.
  
 
== 지역별 성향 ==
 
== 지역별 성향 ==

2019년 7월 23일 (화) 00:20 판

이 문서는 휘영국정치에 대해서 다룬다.

개요

  • 국가원수 : 국왕
  • 행정부 수반 : 총리
  • 정체 : 의원내각제 입헌군주제
  • 민주주의지수 :
  • 부패인식지수 :
  • 언론자유도지수 :

휘영국은 의원내각제를 채택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남북으로 땅이 넓어 남과 북의 전체적인 성향이 갈리는 편이다. 한편 휘영국은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민주주의지수를 수년간 유지하고 있다. 옆나라 일본과 대만 등 선진국들을 제친 결과. 현재 총리는 문재인 총리로 영의정을 겸직한다. 총리는 역사적으로 보수계 정당에서 많이 배출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휘영의 정당

대체적으로 양당제의 성향을 띈다. 민주당보수당이 약 10년을 주기로 번갈아 정권을 잡는다. 민주당은 중도진보, 보수당은 중도보수 성향을 보이지만 민주당에도 극좌가 있고 보수당에도 극우가 있다. 두 거대양당은 폭넓은 스펙트럼을 보이는 편. 현재 평화당이 강한 상승세를 타며 중도 제3지대 정당으로 가능성을 보이고 있지만 아직은 양당제라고 분석한다. 영국의 예를 들여와 영국의 용어를 사용한다.

국왕 폐하의 정부 (여당)

파일:휘영 민주당 로고.png
민주당 (2016년 집권)

국왕 폐하의 야당

파일:휘영 보수당 로고.png
보수당

신임과 보완

파일:휘영 평화당 로고.png
평화당 (20016년 연정 합의)

2석에 불과한 평화당과 단독 과반인 민주당이 연정을 이룬 이유는 민주당의 정책에서 시민운동계의 지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평화당의 주 지지층이 시민운동가들이기 때문에 시민운동가와 정부의 중간 교두보 역할을 기대한 것이다,

기타 야당

근왕당
왕실의 권한 확대와 친왕실 성향을 보이는 정당으로, 8석의 작은 정당이다. 이마저도 지역구는 약 2석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죄다 비례의석.

지역별 성향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제주권

관북권

관서권

해서권

지역갈등

정치적 특징

전체적 우경화

각주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