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내전: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8번째 줄:
|교전국1=[[대경제국]]<br />[[제국 정치-행정 연합 통합군 사령부|제국 정치-행정 연합 연합군]]<br/>[[혜정관주 자유동맹군]]
|교전국1=[[대경제국]]<br />[[제국 정치-행정 연합 통합군 사령부|제국 정치-행정 연합 연합군]]<br/>[[혜정관주 자유동맹군]]
|교전국2=[[대경 사회주의 공화국]]<br />[[공산 민병대(대경제국)|공산 민병대]]<br/>[[국군 보좌대]]<br/>[[노동쟁군]]<br/>[[강북 인민동맹]]
|교전국2=[[대경 사회주의 공화국]]<br />[[공산 민병대(대경제국)|공산 민병대]]<br/>[[국군 보좌대]]<br/>[[노동쟁군]]<br/>[[강북 인민동맹]]
|지휘관1=[[의종]] 대황제<br/>[[이승만(대경제국)|이승만]] 총리<br />[[신성모]] 국방부 대신-><br/>[[박성수]] 국방부 대신-><br/>[[신성모]] 국방부 대신<br />[[김석]]<br />[[백선엽]] †<br />[[이원경]] [[대경제국 제1제국 원수부|원수부]] 총수<br />[[송호성]] 해군 원수  
|지휘관1=[[의종]] 대황제<br/>[[이승만(대경제국)|이승만]] 총리<br />[[신성모]] 국방부 대신-><br/>[[박성수]] 국방부 대신-><br/>[[신성모]] 국방부 대신<br />[[김석]]<br />[[백선엽]] †<br />[[이원경]] [[대경제국 제1제국 원수부|원수부]] 총수<br />[[송호성]] 해군 원수<br />[[이기붕]] 청경 자유시 시장 †
|지휘관2=[[김성주]]<br />[[박헌영]]<br />[[김원봉]]<br />[[두양]]<br />[[박간철]]<br />[[김책]]<br />[[김두봉]]
|지휘관2=[[김성주]]<br />[[박헌영]]<br />[[김원봉]]<br />[[두양]]<br />[[박간철]]<br />[[김책]]<br />[[김두봉]]
|병력1= 대경제국: 120만 5600명<br />제국 정치-행정 연합 연합군: 47만 7921명
|병력1= 대경제국: 120만 5600명<br />제국 정치-행정 연합 연합군: 47만 7921명

2019년 9월 30일 (월) 22:59 판

6.25 내전
대경제국 6.25 내전 장면.jpg
교전국
대경제국
제국 정치-행정 연합 연합군
혜정관주 자유동맹군
대경 사회주의 공화국
공산 민병대
국군 보좌대
노동쟁군
강북 인민동맹
지휘관
의종 대황제
이승만 총리
신성모 국방부 대신->
박성수 국방부 대신->
신성모 국방부 대신
김석
백선엽
이원경 원수부 총수
송호성 해군 원수
이기붕 청경 자유시 시장 †
김성주
박헌영
김원봉
두양
박간철
김책
김두봉
병력
대경제국: 120만 5600명
제국 정치-행정 연합 연합군: 47만 7921명
대경 노동자군: 89만 8810명
비정규군: 약 30만 5000명
공산주의 의용군: 5만 2500명
피해 규모
대경제국: 30만 9000명
제국 정치-행정 연합 연합군: 8만 9903명
대경제국 노동자군: 약 45만명
비정규군: 20만 9800명
공산주의 의용군: 1만 5069명

개요

배경

당시 대경제국은 (제작중)

난징 회담

냉전의 고착화

좌파 세력의 총선 패배

뚜껑을 열어보니 30석만 얻었다.

소련의 지원

협상의 체결, 근데?

원인

===당시 의 대결과 옵저버

요충지 확보설

왕정국가들의 개입설

미국 개입설과 소련 개입설

자유당-사회민주당 좌우합작 내각의 계획설

과정

결과

주요 전투 목록

역사적 갤러리

기타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