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제국 황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6번째 줄: 66번째 줄:
* 다음 내용은 [[대경제국 황족법]]과 [[대경제국 신분법]], [[대경제국 칙령]], [[대경제국 헌법]]의 내용들을 참고했습니다.
* 다음 내용은 [[대경제국 황족법]]과 [[대경제국 신분법]], [[대경제국 칙령]], [[대경제국 헌법]]의 내용들을 참고했습니다.
===내정황족===
===내정황족===
내정황족은 황실의 구성원중 현임 황제와 9촌 미만인 구성원을 내정황족이라 부른다. 내정황족은 보통 친왕, 내친왕, 정군, 정녀의 작위를 부여받으며 이외 봉작을 수여받는다.[* 이외에는 황태자, 황태손도 있다] 내정황족은 현재 42명으로 집계된다. 내정황족의 교육은 [[대경제국 황립 아카데미|황립 아카데미]]가 있고 내정황족중 친왕부나 황태자부에 속하는 [[대경제국 황실후계 시강원|시강원]]내정황족중 제위계승서열 3위 안에 드는 황족을 특별이 교육하는 교육기관이 존재한다.  
내정황족은 황실의 구성원중 현임 황제와 9촌 미만인 구성원을 내정황족이라 부른다. 내정황족은 보통 친왕, 내친왕, 정군, 정녀의 작위를 부여받으며 이외 봉작을 수여받는다.[* 이외에는 황태자, 황태손도 있다] 내정황족은 현재 42명으로 집계된다. 내정황족의 교육은 [[대경제국 황립 아카데미|황립 아카데미]]가 있고 내정황족중 친왕부나 황태자부에 속하는 [[대경제국 황실후계 시강원|시강원]]이라는 내정황족중 제위계승서열 3위 안에 드는 황족을 특별이 교육하는 교육기관이 존재한다.  
===방계황족===
===방계황족===
====궁가황족====
====궁가황족====

2019년 10월 8일 (화) 23:46 판

대경제국의 헌법기관
황실 대경제국 황제, 대경제국 황실, 대경제국 국무원
의정원 대경제국 의정원, 대경제국 귀족원, 대경제국 국민원, 대경제국 감사원
내각 대경제국 총리대신
대경제국 각의, 대경제국 내각, 대경제국 각료, 대경제국 정무대신, 대경제국 행정원, 총리자문회의, 국민경제자문회의
사법 대경제국 대법원, 대경제국 대법원장, 대경제국 대법관, 대경제국 대법관회의
대경제국 각급 법원, 대경제국 법관
대경제국 헌법재판소, 대경제국 헌법재판소장, 대경제국 헌법재판소 재판관
선거 관리 대경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경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대경제국 중앙선거관리위원, 대경제국 각급 선거관리위원회
지방 행정 지방자치단체, 지방의회
대경제국 황실
大敬帝國 皇室
Royal Family of Korean Empire
대경제국 황실 문장
대경제국 황실 문장
국가 대경제국
작위 황제, 공작, 백작, 자작, 남작
설립자 안종 태황제
현재 수장 전황제 이원
건립일 1890년
민족 경국인
본가 대경제국 황실
분가 경인궁 이씨
정영궁 이씨
성경궁 이씨
상평궁 이씨
헌경궁 이씨
수희궁 이씨
이영궁 이씨

            

       

개요

대경제국의 황실 가문이다.

대경제국의 황실 가문의 성씨는 전주 이씨(李氏)이며 전주 이씨도 대경제국의 국성이다.

상징

대경제국 황실의 상징중 가화(家花)는 '오얏나무 꽃'이고 가목(家木)은 '자두나무'다. 가조(家鳥)는 '까치'다.

오얏나무 꽃.jpg
가화
오얏나무 꽃
자두나무.jpg
가목
자두나무
까치(대경제국).jpg
가조
까치

문장

이화문(대경제국)문서를 참조하시오.

칭호

  • 황제의 이름을 말하려면 황제의 존호인 '황호(皇號)'까지 껴서 말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의종 대황제의 이름인 '이강'을 부르려면 황제의 황호인 '강황제'까지 붙여서 '강황제 이강'폐하라고 불러야 한다. 고로 현황제(現皇帝)인 전황제 이원도 이에 따라 황호인 '전황제'를 붙여서 '전황제 이원 폐하'로 부르는 것이다. 황제의 경칭은 '폐하'다.
  • 황후는 존호가 없기에 그냥 황후라 부른다. 허나 황태후로 승격할 경우 부여되는 존호를 붙여서 '(존호) 황태후 폐하'로 부르며 이는 태황태후가 되었을 경우에도 똑같다. 황후와 태황후, 태황태후의 경칭은 '폐하'다.
  • 황태자와 친왕, 내친왕은 부여되는 존호를 붙여 태자호(황태자), 친호(친왕), 내친호(내친왕)을 붙여서 '(존호) 황태자(태자)/친왕/내친왕 전하'라 부른다. 황태자와 친왕, 내친왕의 경칭은 '전하'다. 황태손은 경칭은 '전하'를 사용하며 존호는 따로 올리지는 않는데 어차비 책봉되었더라도 곧바로 황태자로 책봉되는 절차를 밣기에 존호를 부여하지 않는다.
  • 친왕비, 내친왕서, 황태자비, 황태손비는 황태자비를 제외하고는 존호가 안부여된다. 황태자비를 부를때에는 '(존호) 황태자비 전하'라고 하며 경칭은 '전하'다.
  • 친왕자, 내친왕자, 친왕자비, 내친왕자비는 존호가 안부여되며 경칭은 '마마'다.
  • 황족이 혼인하여 출궁을 하면 기존 존호를 황실이 인수하고 이후 입궁하면 존호를 환원하며 경칭은 유지하되 '(이름) (경칭)'으로 부른다.
  • 주로 존호를 받는 황족이 사망할 경우 받은 존호가 시호로 올려지는데 존호를 시호로 안올리는 경우는 황제가 있으며 황후가 황태후나 태황태후로 올라간 상태에서 사망할 경우 그때 받은 존호를 붙여 '(존호)황후'로 불린다. 친왕이 사망하면 시호로 '(받은 존호)대군'으로 올라가며 친왕자이 사망하면 시호를 '(XX)군'이 된다. 친왕녀가 사망하면 시호는 '(XX)옹주'가 된다. 내친왕이 사망하면 시호로 '(받은 존호)공주'가 되며 내친왕자는 친왕자가 시호의 형식이 똑같고 내친왕녀도 친왕녀의 형식과 똑같다. 친왕손, 내친왕손이 죽으면 시호는 '(XX)정녀(正女)'(女), '(XX)정군(正君)'(男)으로 올린다.

대경제국 황제

대경제국 황제문서를 참조하시오.

권한

대경제국 황제의 권한

대경제국 황제문서를 참조하시오.

대경제국 황족의 권한

황족 구성원

내정황족

내정황족은 황실의 구성원중 현임 황제와 9촌 미만인 구성원을 내정황족이라 부른다. 내정황족은 보통 친왕, 내친왕, 정군, 정녀의 작위를 부여받으며 이외 봉작을 수여받는다. 이외에는 황태자, 황태손도 있다 내정황족은 현재 42명으로 집계된다. 내정황족의 교육은 황립 아카데미가 있고 내정황족중 친왕부나 황태자부에 속하는 시강원이라는 내정황족중 제위계승서열 3위 안에 드는 황족을 특별이 교육하는 교육기관이 존재한다.

방계황족

궁가황족

무궁황족

제명황족

궁가(궁관)

역사

대경제국 황실 역사문서를 참조하시오.

스캔들

비판

기타

  • 황실을 왕실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공식적으로는 황실(皇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