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제국 궁내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6번째 줄: 36번째 줄:
*** 황태자비부
*** 황태자비부
*** 황실정리원
*** 황실정리원
*** 내장원
*** 태의원
*** 태의원
*** 시종비서감
*** 예식원
*** 봉상시
*** 외벽시
* 2정무차관
* 2정무차관
** 사무차관
** 사무차관
*** 시종비서감
*** 공회교원
*** 공회교원
*** 내관부
*** 내관부
*** 홍문관
*** 홍문관
*** 내장원
*** 탁지원
*** 탁지원
*** 황궁 경위국
*** 황궁 경위국
* 3정무차관(현직 황후가 겸직) (독주직)
* 3정무차관(현직 황후가 겸직) (독주직)
** 사무차관
** 사무차관
*** 내명부  
*** [[대경제국 내명부|내명부]]
* 4정무차관
* 4정무차관
** 사무차관
** 사무차관
56번째 줄: 59번째 줄:
*** 영희서
*** 영희서
*** 규장각
*** 규장각
*** 봉상시
*** 외벽시
*** 궁궐서
*** 궁궐서
*** 묘전관
*** 묘전관
64번째 줄: 65번째 줄:
*** 오국궁 사제서
*** 오국궁 사제서
==업무==
==업무==
업무는 3명의 정무차관에 따라 3개의 대분류로 나눌 수 있다.[* 4명의 정무차관인데 왜 3명이냐면 그 중 1명인 3정무차관은 현직 황후가 겸임하는 독주직이고 자세한 것을 알려면 내명부 문서를 방문하는 것이 좋다.]
* 황실 시종
** 친왕부 -  황위 계승 서열 1위인 친왕에 시종 사무를 담당하는 부서로 현 황위 계승 서열 1위에 이정친왕 [[이후]]가 정식 황태자 책봉을 받으면 황태자부로 승격된다.
** 황태자비부 - 황태자비의 시종 사무를 담당하는 부서로 원래는 친왕비부로 불려야 하지만 황태자비라는 부서명으로 설치된 이유는 알 수 없다. 시종하는 황태자비가 황후가 되면 황태자비부의 부서원들과 나인들은 내명부로 직책이 이전된다.
** 황실정리원 - 내정황족과 방계황족의 시종 사무를 담당하는 부서다.
** 태의원 - 황제와 황후의 의무(醫務)를 담당하는 부서로 휘하에 [[경복 황립병원]]을 두며[* 태의원 태의가 경복 황립병원 원장을 겸직한다.] 의녀국을 외청으로 두고 있다.
** 예식원 - 황실 행사와 제례 관리, 황실 제사와 궁중내의 음식·잔치의 기구 보관 사무를 관장하는 부서이며 예식원경이 봉상시와 외벽시 시윤을 겸임한다.
** 봉상시 - 악공·시의를 관장하는 부서로 사실상 예식원의 휘하 부서다.
** 외벽시 - [[대경제국 의장대]]가 의전을 담당하는거 '''같지만''' 사실 모든 의전 사무의 최고 집행권과 기획은 외벽시가 가진다. --의장대는 그저 거들 뿐..-- 외벽시도 봉상시와 비슷하게 사실상 예식원 휘하의 부서이다.
* 궁내부 사무와 고위 직무
** 시종비서감 - 2정무차관 예하 사무차관이 시종비서경[* 시종비서감의 기관장]을 겸임하고 2정무차관 휘하 궁내부 부서의 모든 사무를 조율하고 통할한다.
** 공회교원 - 궁내부는 별도의 방식으로 궁내부에서 일하는 공무원을 선임할 수 있게끔 인사권이 국무원과 일반 공무원 선출과 분리되있는데 궁내부에서 일하는 공무원, 즉 궁인(宮人)의 인사권과 선출 과정을 감독하고 지휘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가 이 공회교원이다.
** 내관부 - --고자--[[내관]]들로 구성된 부서로 관례로 내관부의 우두머리인 '상선'들은 고참내관[* 내관으로 30년 재직한 인물--고인물--]들이 임명되고 업무로는 왕궁에서 쓰이는 음식물의 감독, 황명 출납 및 구휼을 담당한다. 내관부 하급기관은 많이 있는데 황명 출납을 담당하는 출납국, 식찰국(食察局), 혜노사(惠老事), 정영청(政影廳), 구휼서(求恤署), 상선보부(尙膳補府), 액정국(掖庭局), 사포서(司圃署), 경산서(卿算署)를 두고 있다.
** 홍문관 - 황제의 경연과 이외 황족들의 --탱자탱자 노는걸 방지하고자-- 종학을 담당하였으며 시강원의 주요 수뇌가 모두 홍문관 요직에 있는 이들이 겸하며 시강원을 사실상 하급기관으로 두고 있다.
** 내장원 - 황실 내탕금과 스위스 계좌를 관리하고 있으며 재정과 회계 출납 업무는 탁지원과 공동으로 하고 있으나 이 쪽은 주로 탁지원에 전권이 위임되는 경우가 많다. 내장원경은 탁지원경이 겸임하는 경우가 많지만 현재 재직중인 [[김성신]]은 탁지원경이 아니고 "앞으로 탁지원경이 내장원경을 겸하는 일이 없을 것."이라는 발언이 있어 앞으로 내장원경은 별직이 될 가능성이 높다.
** 탁지원 - 사실상 황실의 재정, 회계 출납 업무를 도맡으며 황실의 부동산 관리[* 이 쪽은 궁궐서와 기타 황실 토지를 관리하는 부서들과 협업중]를 담당한다. 이외 황립 기관들의 재정 관리도 이 쪽이 통할하는 중.
** 황궁 경위국 - 휘하에 [[대경제국 근위대]]와 [[대경제국 시위대]]를 두고 있는 궁궐 치안과 황실 보안 업무를 맡고 있다.
** 규장각 - 황실의 과거 문헌과 이외 문서들을 보관하는 사무를 맡으며 '황실 사이버 도서관'의 업무도 맡는다.
* 토지 관련 업무
** 환구단 사제서 - 환구단의 사무를 맡는 부서
*** 죵묘서 - 황실의 능원, 그 일대의 정자각과 종묘, 능침 보호 업무를 맡는 부서이다.
*** 사직단 - 사직단 관련 사무와 그 토담의 청소를 담당한다.   
*** 영희서 - 청경에 위치한 태조, 세종, 성종, 숙종, 영종, 순종의 영정을 봉안하고 있는 영희전의 사무를 담당하는 부서다.
*** 궁궐서 - 청경내 5대 궁궐인 경복궁, 창덕궁, 경희궁, 영희궁, 덕수궁의 사무와 청소를 담당한다.
*** 묘전관 - 황실이 소유하는 사당을 관리하는 부서다.
*** 단묘관 - 제단과 황족들의 무덤을 관리하는 부서다.
*** 능원관 - 대경국 역대 국왕, 대경제국 역대 황제들이나 왕비의 무덤인 능과 세자와 그 배우자인 세자빈과 역대 대원군들과 배우자들의 무덤인 능을 공동으로 관리하는 부서다.
*** 오국궁 사제서 - 과거 존재했던 조선, 고구려, 신라, 백제, 고려의 도읍지에 있는 궁궐의 사무와 청소를 담당하는 부서다.
==근무 환경==
==근무 환경==
===궁내부 노조===
사실 황실이 인사권을 가지고 관장하는 [[대경제국 국무원|정]][[대경제국 황립 아카데미|부]][[대경제국 승정원|기]][[대경제국 춘추관|관]]중 최초로 노조 설립이 허가됐다. 현재 노조 위원장에는 [[진여정]], [[김수평]] 투톱 체체로 운영되고 있다. 자세한건 [[궁내부 노조]] 문서를 방문하시오.
==기타==
==기타==
==각주==
==각주==
{{주석}}
{{주석}}
[[분류:킹덤 오브 킹덤 세계관]]
[[분류:킹덤 오브 킹덤 세계관]]

2019년 10월 22일 (화) 21:20 판

대경제국 국무원기.png
대경제국 국무원
대경제국 황립 아카데미대경제국 승정원대경제국 춘추관
대경제국 궁내부대경제국 원로원국무 감찰국
Pictogram infobox palace.png
대경제국 궁내부
大敬帝國 宮內閣 / Empire Household Ministry
대경제국 궁내부기.png
설립일 1987년 10월 2일
설립 근거 대경제국 헌법, 대경제국 국무원법, 대경제국 궁내부법
전신 대경제국 제1제국기 궁내부
소재지 청경 특별자유시 종로구 명동 세종대로 136
직원 수 21,592명
예산 936억 681만 4000원
궁내부 대신 5대 김영봉
상급기관 대경제국 국무원(외청 지위)

개요

역사

구성

  • 대신
    • 대변인
    • 대신정책보좌관
  • 1정무차관
    • 사무차관
      • 친왕부
      • 황태자비부
      • 황실정리원
      • 태의원
      • 예식원
      • 봉상시
      • 외벽시
  • 2정무차관
    • 사무차관
      • 시종비서감
      • 공회교원
      • 내관부
      • 홍문관
      • 내장원
      • 탁지원
      • 황궁 경위국
  • 3정무차관(현직 황후가 겸직) (독주직)
  • 4정무차관
    • 사무차관
      • 환구단 사제서
      • 죵묘서
      • 사직단
      • 영희서
      • 규장각
      • 궁궐서
      • 묘전관
      • 단묘관
      • 능원관
      • 오국궁 사제서

업무

업무는 3명의 정무차관에 따라 3개의 대분류로 나눌 수 있다. 4명의 정무차관인데 왜 3명이냐면 그 중 1명인 3정무차관은 현직 황후가 겸임하는 독주직이고 자세한 것을 알려면 내명부 문서를 방문하는 것이 좋다.

  • 황실 시종
    • 친왕부 - 황위 계승 서열 1위인 친왕에 시종 사무를 담당하는 부서로 현 황위 계승 서열 1위에 이정친왕 이후가 정식 황태자 책봉을 받으면 황태자부로 승격된다.
    • 황태자비부 - 황태자비의 시종 사무를 담당하는 부서로 원래는 친왕비부로 불려야 하지만 황태자비라는 부서명으로 설치된 이유는 알 수 없다. 시종하는 황태자비가 황후가 되면 황태자비부의 부서원들과 나인들은 내명부로 직책이 이전된다.
    • 황실정리원 - 내정황족과 방계황족의 시종 사무를 담당하는 부서다.
    • 태의원 - 황제와 황후의 의무(醫務)를 담당하는 부서로 휘하에 경복 황립병원을 두며 태의원 태의가 경복 황립병원 원장을 겸직한다. 의녀국을 외청으로 두고 있다.
    • 예식원 - 황실 행사와 제례 관리, 황실 제사와 궁중내의 음식·잔치의 기구 보관 사무를 관장하는 부서이며 예식원경이 봉상시와 외벽시 시윤을 겸임한다.
    • 봉상시 - 악공·시의를 관장하는 부서로 사실상 예식원의 휘하 부서다.
    • 외벽시 - 대경제국 의장대가 의전을 담당하는거 같지만 사실 모든 의전 사무의 최고 집행권과 기획은 외벽시가 가진다. 의장대는 그저 거들 뿐.. 외벽시도 봉상시와 비슷하게 사실상 예식원 휘하의 부서이다.
  • 궁내부 사무와 고위 직무
    • 시종비서감 - 2정무차관 예하 사무차관이 시종비서경 시종비서감의 기관장을 겸임하고 2정무차관 휘하 궁내부 부서의 모든 사무를 조율하고 통할한다.
    • 공회교원 - 궁내부는 별도의 방식으로 궁내부에서 일하는 공무원을 선임할 수 있게끔 인사권이 국무원과 일반 공무원 선출과 분리되있는데 궁내부에서 일하는 공무원, 즉 궁인(宮人)의 인사권과 선출 과정을 감독하고 지휘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부서가 이 공회교원이다.
    • 내관부 - 고자내관들로 구성된 부서로 관례로 내관부의 우두머리인 '상선'들은 고참내관 내관으로 30년 재직한 인물고인물들이 임명되고 업무로는 왕궁에서 쓰이는 음식물의 감독, 황명 출납 및 구휼을 담당한다. 내관부 하급기관은 많이 있는데 황명 출납을 담당하는 출납국, 식찰국(食察局), 혜노사(惠老事), 정영청(政影廳), 구휼서(求恤署), 상선보부(尙膳補府), 액정국(掖庭局), 사포서(司圃署), 경산서(卿算署)를 두고 있다.
    • 홍문관 - 황제의 경연과 이외 황족들의 탱자탱자 노는걸 방지하고자 종학을 담당하였으며 시강원의 주요 수뇌가 모두 홍문관 요직에 있는 이들이 겸하며 시강원을 사실상 하급기관으로 두고 있다.
    • 내장원 - 황실 내탕금과 스위스 계좌를 관리하고 있으며 재정과 회계 출납 업무는 탁지원과 공동으로 하고 있으나 이 쪽은 주로 탁지원에 전권이 위임되는 경우가 많다. 내장원경은 탁지원경이 겸임하는 경우가 많지만 현재 재직중인 김성신은 탁지원경이 아니고 "앞으로 탁지원경이 내장원경을 겸하는 일이 없을 것."이라는 발언이 있어 앞으로 내장원경은 별직이 될 가능성이 높다.
    • 탁지원 - 사실상 황실의 재정, 회계 출납 업무를 도맡으며 황실의 부동산 관리 이 쪽은 궁궐서와 기타 황실 토지를 관리하는 부서들과 협업중를 담당한다. 이외 황립 기관들의 재정 관리도 이 쪽이 통할하는 중.
    • 황궁 경위국 - 휘하에 대경제국 근위대대경제국 시위대를 두고 있는 궁궐 치안과 황실 보안 업무를 맡고 있다.
    • 규장각 - 황실의 과거 문헌과 이외 문서들을 보관하는 사무를 맡으며 '황실 사이버 도서관'의 업무도 맡는다.
  • 토지 관련 업무
    • 환구단 사제서 - 환구단의 사무를 맡는 부서
      • 죵묘서 - 황실의 능원, 그 일대의 정자각과 종묘, 능침 보호 업무를 맡는 부서이다.
      • 사직단 - 사직단 관련 사무와 그 토담의 청소를 담당한다.
      • 영희서 - 청경에 위치한 태조, 세종, 성종, 숙종, 영종, 순종의 영정을 봉안하고 있는 영희전의 사무를 담당하는 부서다.
      • 궁궐서 - 청경내 5대 궁궐인 경복궁, 창덕궁, 경희궁, 영희궁, 덕수궁의 사무와 청소를 담당한다.
      • 묘전관 - 황실이 소유하는 사당을 관리하는 부서다.
      • 단묘관 - 제단과 황족들의 무덤을 관리하는 부서다.
      • 능원관 - 대경국 역대 국왕, 대경제국 역대 황제들이나 왕비의 무덤인 능과 세자와 그 배우자인 세자빈과 역대 대원군들과 배우자들의 무덤인 능을 공동으로 관리하는 부서다.
      • 오국궁 사제서 - 과거 존재했던 조선, 고구려, 신라, 백제, 고려의 도읍지에 있는 궁궐의 사무와 청소를 담당하는 부서다.

근무 환경

기타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