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정부 기관 정보 |이름 = 대경제국 승정원 |현지어 이름 = 大敬帝國 承政院 / Korea Empire Royal Secretariat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 |
편집 요약 없음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 | }} | ||
==개요== | ==개요== | ||
승정원은 [[대경제국 제1제국]]의 궁무부 기관들을 감찰하는 기관이었다. | |||
==역사== | |||
[[의종 (대경제국 제1제국)|의종]]이 궁무부 기관들을 감찰할 목적으로 이전에 폐지됐던 승정원을 기능만 바꾸며 복설시키는게 승정원의 시작이었다. 복설된 승정원은 의종의 예상대로 철저히 감찰 기구로서의 역할을 하며 [[대경제국 제1제국 추밀원|추밀원]][* 하지만 이미 조직이 와해되고 있었고 실질적으로 궁내부가 다시 궁무부 조직을 장악한 상태였다.]과 [[대경제국 제1제국 궁내부|궁내부]]를 압박한다. 허나 승정원 내부에서 감찰권을 놓고 승정원장[* 감찰을 기획하고 지시하는 업무를 맡는다.] 중심의 좌파[* 승정원장의 공관이 승정원 청사의 왼쪽에 있어서 이러한 명칭이 붙었다.]와 감찰경[* 감찰 실무를 맡는다.] 중심의 우파[* 감찰경의 공관이 승정원 청사의 오른쪽에 있어서 이러한 명칭이 붙었다.]가 서로 분쟁을 하다가 1954년에 좌파가 우파를 흡수하면서[* 감찰경직을 승정원장이 겸직해버린 것이 화근이었다.] 승정원 내부 파벌이 통일된다. 그리고 승정원은 통일된 역량을 궁내부 견제에 쏟아붇기 시작한다. 그러나 얼마 안되어 의명 26년, [[1961년]]에 제정이 폐지되면서 강제 해산당한다. 승정원의 관료들은 [[대경제국 복벽파]]로 활동하다가 이후 제정이 복고되자 [[대경제국 승정원]]의 관료로 다시 채용되기도 하였다. | |||
==구성== | |||
===조직=== | |||
===승정원장=== | |||
==업무== | |||
==[[대경국 승정원]]과의 차이== | |||
==기타== | ==기타== | ||
==관련문서== | ==관련문서== |
2020년 5월 15일 (금) 21:38 판
![]() 大敬帝國 承政院 / Korea Empire Royal Secretariat | |
설립일 | 의명 원년, 1936년 4월 3일 |
---|---|
설립 근거 | 대경제국 제1제국 헌법 |
전신 | 대경국 삼사 홍문관 제외, 그리고 승정원은 삼사를 승정원의 전신이라 규정한 바는 없음. |
해산일 | 의명 26년, 1961년 5월 17일 |
후신 | 대경제국 승정원 |
직원 수 | 1,350명 |
승정원장 | 4대 신이춘 |
개요
승정원은 대경제국 제1제국의 궁무부 기관들을 감찰하는 기관이었다.
역사
의종이 궁무부 기관들을 감찰할 목적으로 이전에 폐지됐던 승정원을 기능만 바꾸며 복설시키는게 승정원의 시작이었다. 복설된 승정원은 의종의 예상대로 철저히 감찰 기구로서의 역할을 하며 추밀원 하지만 이미 조직이 와해되고 있었고 실질적으로 궁내부가 다시 궁무부 조직을 장악한 상태였다.과 궁내부를 압박한다. 허나 승정원 내부에서 감찰권을 놓고 승정원장 감찰을 기획하고 지시하는 업무를 맡는다. 중심의 좌파 승정원장의 공관이 승정원 청사의 왼쪽에 있어서 이러한 명칭이 붙었다.와 감찰경 감찰 실무를 맡는다. 중심의 우파 감찰경의 공관이 승정원 청사의 오른쪽에 있어서 이러한 명칭이 붙었다.가 서로 분쟁을 하다가 1954년에 좌파가 우파를 흡수하면서 감찰경직을 승정원장이 겸직해버린 것이 화근이었다. 승정원 내부 파벌이 통일된다. 그리고 승정원은 통일된 역량을 궁내부 견제에 쏟아붇기 시작한다. 그러나 얼마 안되어 의명 26년, 1961년에 제정이 폐지되면서 강제 해산당한다. 승정원의 관료들은 대경제국 복벽파로 활동하다가 이후 제정이 복고되자 대경제국 승정원의 관료로 다시 채용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