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FFFFFF; background: #C9020D; vertical-align:middle;" {{!}} 공용 언어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FFFFFF; background: #C9020D; vertical-align:middle;" {{!}} 공용 언어 | ||
| colspan=2 align=center | | | colspan=2 align=center | 베네토어,라틴어,이탈리아어 | ||
|- | |-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FFFFFF; background: #C9020D; vertical-align:middle;" {{!}} 지역 언어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FFFFFF; background: #C9020D; vertical-align:middle;" {{!}} 지역 언어 | ||
54번째 줄: | 54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FFFFFF; background: #C9020D;" colspan="3"{{!}}<big>역사 정보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FFFFFF; background: #C9020D;" colspan="3"{{!}}<big>역사 정보 | ||
|- | |- | ||
| colspan="3" style="background:#FFFFFF; color:#000000;" | '''<span style="color:red;">알릭세오스 1세</span>으로부터 자치'''(1082 年) | | colspan="3" style="background:#FFFFFF; color:#000000;" | '''<span style="color:red;">알릭세오스 1세</span>으로부터 자치 선포'''(1082 年) | ||
|- | |- | ||
| style="text-align: left; color: #FFFFFF; background: #C9020D;" colspan=3 | '''도시 설립''' │697年<br>''' 알렉시오스 1세''' │ 1082年<br>'''제4차 십자군 전쟁''' │ 1202年 ~ 1204年<br>'''레판토 해전''' │ 1571年 <br>'''레오벤 조약''' │ 1797年 <br>'''캄포포르미오 조약''' │ 1797年 <br>'''제1차 세계대전''' │ 1914年 ~ 1918年 <br>'''제2차 세계대전''' │ 1939年 ~ 1945年 | | style="text-align: left; color: #FFFFFF; background: #C9020D;" colspan=3 | '''도시 설립''' │697年<br>''' 알렉시오스 1세''' │ 1082年<br>'''제4차 십자군 전쟁''' │ 1202年 ~ 1204年<br>'''레판토 해전''' │ 1571年 <br>'''레오벤 조약''' │ 1797年 <br>'''캄포포르미오 조약''' │ 1797年 <br>'''제1차 세계대전''' │ 1914年 ~ 1918年 <br>'''제2차 세계대전''' │ 1939年 ~ 1945年 | ||
65번째 줄: | 65번째 줄: |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FFFFFF; background: #C9020D; vertical-align:middle;" {{!}} 도제 | ! style="text-align: center; color: #FFFFFF; background: #C9020D; vertical-align:middle;" {{!}} 도제 |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베네치아 도제장.png|100px]] [br] [[Enrico di Venezia]] | | colspan="1"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베네치아 도제장.png|100px]] [br] [[Enrico di Venezia]] | ||
| colspan="1" style="background:#E2E2E2; color:#FFFFFF; vertical-align:middle;" | {{BgAndBorder|'''도제'''|#E2E2E2|#FFFFFF|rgba(0,0,0,0.3)}} | | colspan="1" style="background:#E2E2E2; color:#FFFFFF; vertical-align:middle;" | {{BgAndBorder|'''도제<ref>도제는 한자의 "帝<small>임금 제</small>"를 사용하는것이 아닌 베네토어 발음 금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Doxe de Venexia 도제 데 베네샤[ˈdɔze de veˈnɛsja] 이며 한글로 번역하면 "총독" "통령" 정도로 번역된다, 실제로는 발음 그대로 도제라고 하며, 도제의 베네치아어인 "Doxe"는 이탈리아어의 "Doge"와 똑같은 의미이며, 일맥상통한다. 그 뜻은 "두체"로 신체의 중심 축이자 명령을 내리는 최대 신체 기관을 통치자에 비유한것이다. </ref>'''|#E2E2E2|#FFFFFF|rgba(0,0,0,0.3)}} | ||
|- | |- | ||
| rowspan="5" colspan="1" style="background:#C9020D; color:#FFFFFF; vertical-align:middle;" | '''정부요인''' | | rowspan="5" colspan="1" style="background:#C9020D; color:#FFFFFF; vertical-align:middle;" | '''정부요인''' |
2020년 8월 28일 (금) 12:22 판
베네치아 공화국 가장 고귀한 베네치아 공화국 Serenìsima Respùblica de Venexia | ||
---|---|---|
국기 | 국장 | |
![]() | ||
국가 상징 | ||
국가 | 관습 국가 | 성 마르코의 찬송가 Inno di San Marco |
연합 찬가 | 헤르메스 연합찬가 | |
수도 | 베네치아의 수도 | 베네치아 |
국화 | ||
국수 | 성 마르코의 사자 | |
표어 | Pax tibi Marce, evangelista meus[1] | |
인문 환경 | ||
인구 | 28,442,12명(1789어림) | |
인구밀도 | 640 명/km2 (2020어림) | |
공용 언어 | 베네토어,라틴어,이탈리아어 | |
지역 언어 | 독일어,프랑스어,동슬라브어 | |
군대 | ![]() 베네치아 성군[2] | |
국교 | 로마 가톨릭 교회 | |
역사 정보 | ||
알릭세오스 1세으로부터 자치 선포(1082 年) | ||
도시 설립 │697年 알렉시오스 1세 │ 1082年 제4차 십자군 전쟁 │ 1202年 ~ 1204年 레판토 해전 │ 1571年 레오벤 조약 │ 1797年 캄포포르미오 조약 │ 1797年 제1차 세계대전 │ 1914年 ~ 1918年 제2차 세계대전 │ 1939年 ~ 1945年 | ||
정치 정보 | ||
정치 체제 | 상업 공화국 의원내각제 | |
도제 | ![]() Enrico di Venezia |
도제[3] |
정부요인 | ![]() |
대공회의 의장(무소속) |
![]() |
10인 위원회 위원장(무소속) | |
![]() |
원로원장(무소속) | |
![]() |
시뇨리아의 총독(무소속) | |
![]() |
자문위원장(무소속) | |
경제 정보 | ||
경제 체제 | 자유주의적 시장자본주의 | |
GDP(명목) | 전체 GDP | $ |
1인당 GDP | $ | |
공식 화폐 | 베네치아 두카트[4] 베네치아 리라 | |
기타 정보 | ||
ccTLD | .vn | |
국가 코드 | VN,VNR | |
시간대 | CET (UTC+1) CEST (UTC+2) | |
공식 채팅방 | 베네치아 | |
공식 카페 | 베네치아 | |
위치 | ||
![]() |
- ↑ 라틴어, 뜻은 "당신에게 평화가 있기를 바랍니다, 성 마르코이시어."
- ↑ 성군(聖軍)은 성스러운 군대의 약자이다.
- ↑ 도제는 한자의 "帝임금 제"를 사용하는것이 아닌 베네토어 발음 금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Doxe de Venexia 도제 데 베네샤[ˈdɔze de veˈnɛsja] 이며 한글로 번역하면 "총독" "통령" 정도로 번역된다, 실제로는 발음 그대로 도제라고 하며, 도제의 베네치아어인 "Doxe"는 이탈리아어의 "Doge"와 똑같은 의미이며, 일맥상통한다. 그 뜻은 "두체"로 신체의 중심 축이자 명령을 내리는 최대 신체 기관을 통치자에 비유한것이다.
- ↑ 순도 98%의 금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