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리치아-로도메리아 공화국/역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1번째 줄:
1918년 제1차 세계대전 종전
+
1918년 11월 1일 동부 갈리치아만을 가지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독립, 폴란드를 상대로 갈리치아 독립전쟁 시작
  
 
 
  
1920년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제1공화국) 독립 선포, 루카스 슈비버거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 (이후 그 외 여러 대통령들 재임)
+
1919년 5월 갈리치아군의 크라카우 점령
  
 
 
  
제2차 세계대전 중 추축국, 독일 항복 이후 소련에 합병
+
1919년 7월 18일 바르샤바 조약 체결, 갈리치아 전체에 대한 영유권 인정받음
  
 
 
  
1946년 9월 5일 인민공화국 수립, 토비아스 트러플와퍼 장군 초대 서기장으로 취임
+
1920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에서 중립선언
 +
 
 +
 +
 
 +
1920년 10월 18일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종전
 +
 
 +
 +
 
 +
1921년 9월 5일 갈리치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공식적인 소련에의 합병, 루카스 슈비버거 장군 초대 서기장으로 취임
 +
 
 +
 +
 
 +
1941년 6월 독소전쟁 발발, 수 개월 만에 전 국토 함락
 +
 
 +
 +
 
 +
1945년 1월 전 국토 수복
 +
 
 +
 +
 
 +
1945년 4월 8일 루카스 슈비버거 초대 서기장 서거, 제2대 서기장 토비아스 트러플와퍼 취임
  
 
 
27번째 줄: 47번째 줄:
 
 
  
1973년 1월 24일 토비아스 트러플와퍼 초대 서기장 서거, 제2대 서기장 엠 자타르모 취임
+
1973년 1월 24일 토비아스 트러플와퍼 2대 서기장 서거, 제3대 서기장 엠 자타르모 취임
  
 
 
39번째 줄: 59번째 줄:
 
 
  
1992년 7월 24일 엠 자타르모 제2대 서기장 서거, 안나 마일리 제3대 서기장 취임 (여성 최초)
+
1992년 7월 24일 엠 자타르모 제3대 서기장 서거, 안나 마일리 제4대 서기장 취임 (여성 최초)
  
 
 
67번째 줄: 87번째 줄:
 
 
  
1998년 5월 3일 안나 마일리 제3대 서기장 결혼을 사유로 퇴임, 라인하르트 빌헬름 제4대 서기장 취임
+
1998년 5월 3일 안나 마일리 제4대 서기장 결혼을 사유로 퇴임, 라인하르트 빌헬름 제5대 서기장 취임
  
 
 
84번째 줄: 104번째 줄:
  
 
2005년 5월 5일 제1회 실물 끝말잇기 대회 개최
 
2005년 5월 5일 제1회 실물 끝말잇기 대회 개최
 +
 +
 +
 +
2009년 8월 4일 라인하르트 빌헬름 제5대 서기장 고령을 사유로 퇴임, 톰 누크 제6대 서기장 취임
  
 
 

2020년 12월 2일 (수) 19:09 판

1918년 11월 1일 동부 갈리치아만을 가지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독립, 폴란드를 상대로 갈리치아 독립전쟁 시작

1919년 5월 갈리치아군의 크라카우 점령

1919년 7월 18일 바르샤바 조약 체결, 갈리치아 전체에 대한 영유권 인정받음

1920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에서 중립선언

1920년 10월 18일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종전

1921년 9월 5일 갈리치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공식적인 소련에의 합병, 루카스 슈비버거 장군 초대 서기장으로 취임

1941년 6월 독소전쟁 발발, 수 개월 만에 전 국토 함락

1945년 1월 전 국토 수복

1945년 4월 8일 루카스 슈비버거 초대 서기장 서거, 제2대 서기장 토비아스 트러플와퍼 취임

1951년 라디오 보급 운동 전개

1968년 텔레비전 보급 운동 전개

1972년 11월 21일 타르누프 가스 폭발 사고 발생, 570명 사망

1973년 1월 24일 토비아스 트러플와퍼 2대 서기장 서거, 제3대 서기장 엠 자타르모 취임

1990년 9월 1일 프로축구 90-91 시즌 개막 (전쟁 이후 최초)

1991년 12월 25일 소련 해체, 갈리치아-로도메리아 독립하나 공산체제 유지

1992년 7월 24일 엠 자타르모 제3대 서기장 서거, 안나 마일리 제4대 서기장 취임 (여성 최초)

1994년 능력주의 경제개혁 운동 전개

1996년 1월 1일 근로기간에 따른 자동승진 폐지

1997년 1월 1일 해고제도 재도입

1997년 3월 순수 공산주의 추종자들의 전국적 파업과 시위 발생

1997년 7월 10일 안나 마일리 서기장이 파업세력을 반동으로 규정, 시위대에 무차별 발포 및 노조자산의 압류 지시

1997년 9월 4일 마지막 노조조직이 정부에 투항, 파업 사태 마무리

1998년 5월 3일 안나 마일리 제4대 서기장 결혼을 사유로 퇴임, 라인하르트 빌헬름 제5대 서기장 취임

1999년 1월 1일 국영언론 보도시점 다각화 조치, 국가소유이긴 하나 자율적 운영이 보장되는 3개 언론사로 개편

2000년 1월 1일 반정부 발언에 대한 처벌을 규정했던 '정부품위보호법' 폐지, 예술분야 검열 완화

2002년 9월 1일 프로축구 2부리그 창설, 승강제 도입

2005년 5월 5일 제1회 실물 끝말잇기 대회 개최

2009년 8월 4일 라인하르트 빌헬름 제5대 서기장 고령을 사유로 퇴임, 톰 누크 제6대 서기장 취임

2010년 6월 기록적인 홍수로 17명 사망 및 수천 명의 이재민 발생

2011년 크라카우 아레나 착공

2012년 1월 1일 전자신분증 발급 시작, 현금 회수 및 전산화 작업 시작

2014년 12월 31일 마지막 현금 거래를 끝으로 모든 경제적 거래 전산화

2014년 3월 7일 크라카우 아레나 완공

2016년 9월 1일 크라카우 돔 착공

2020년 11월 13일 크라카우 돔 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