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ginbeom (토론 | 기여) (→개요) |
Kanginbeom (토론 | 기여) 잔글 (Kanginbeom님이 태왕 행진곡 문서를 애국가(메이플스토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세계관 범) |
(차이 없음)
|
2020년 12월 3일 (목) 18:22 판
고구려의 국가 | |
사용 국가 | ![]() |
작사 | 존 뉴턴 |
작곡 | 요제프 하이든 |
사용 시기 | 1797년 3월 2일 ~ |
개요
1797년인 고구려 정종 21년, 정종은 국가(國歌)의 존재 필요성이 느껴졌다. 그래서 지금 현재 국악보다는 다른 나라처럼 퀄리티가 있게 느끼기 위해 영국에 사신을 보내서 존 뉴턴을 고구려에 방문하도록 했고 이번에는 오스트리아로 사신을 보내 요제프 하이든을 고구려에 방문하도록 했다. 영국 하노버 왕조의 초대 국왕인 조지 4세는 정종의 응답에 수락했고 존 뉴턴이 고구려에 방문을 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2대 황제이자 마지막 황제인 카를 1세 역시 정종의 응답에 수락하여 요제프 하이든이 고구려에 방문했다.
정종은 존 뉴턴과 요제프 하이든을 맞이하고 고구려의 국가를 작사, 작곡하기 시작했다. 존 뉴턴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쓰였던 황제 찬가를 가사만 고구려식으로 바꿔보는게 어떻냐고 묻자 정종은 흔퀘히 수락을 했다. 이렇게 제작된 것이 가사만 바꾼 <태왕 찬가>이다. 딱 4절 까지만 만들어졌다.
내용
1절
천지신명님 보존하소서, 천지신명님 보존하소서 우리의 태왕을, 우리의 국가를! 신념이 떠받침으로써 강력하도다 태왕께서 지혜로운 손으로 우리를 이끌지니! 태왕의 선조 분들의 익선관이 그 어떠한 적들로부터라도 방어하리라! 대고구려제국의 운명은 태왕 폐하의 왕좌 아래 충심으로 단결하지니!
2절
충실하고 충성하며 진실되고 열려있도다 정의와 의무를 위해 일어나자 필요하다면 정의와 의무를 위해 일어나자 충성을 열심히 하자 잊지 않으리라. 고구려의 정복 국가임을 우리의 태왕을 위하여 충성과 충심을, 우리의 조국을 위하여 애국과 충성을!
3절
백성들의 근면함이 가져온 것을 태왕의 힘으로 충실히 보호하게 하소서 쾌할한 마음의 무기를 가지고 유교와 성리학이 승리할지니! 국가에 축복이 깃들게 해주시고 명성도 그만큼 떨치게 해주소서 천지신명님의 태양이 평화 속에 빛난다. 행복한 고구려 제국을 위에서!
4절
우리 함께 확고히 일어서자 단결 속에 힘이 있을지니 단결된 힘의 행동에 의해 어려운 일도 쉽게 행해지리니 충성심으로 뭉치자 대고구려제국을 위해 나아가자 태왕 만세, 우리의 국가 만세, 고구려는 영원하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