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가(메이플스토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style = "height : 50px; width : 100px; text-align : center;"colspan="2" | '''<big>고구려의 국가<big>'''
| style = "height : 50px; width : 100px; text-align : center;"colspan="2" | '''<big>고구려의 국가<big>'''
|-
|-
| colspan="2" | <Youtube>wxtYv0X2ito</youtube>
| colspan="2" | <Youtube>gBELYQdU3Ew </youtube>
|-
|-
| style = "height : 50px; width : 100px; text-align : center;" | '''사용 국가''' || [[파일:메이플 세계관의 고구려 국기.jpeg|20px]] 고구려
| style = "height : 50px; width : 100px; text-align : center;" | '''사용 국가''' || [[파일:메이플 세계관의 고구려 국기.jpeg|20px]] 고구려
|-
|-
| style = "height : 50px; width : 100px; text-align : center;" | '''작사''' || 미상
| style = "height : 50px; width : 100px; text-align : center;" | '''작사''' || ?
|-
|-
| style = "height : 50px; width : 100px; text-align : center;" | '''작곡''' || 프란츠 에케르트
| style = "height : 50px; width : 100px; text-align : center;" | '''작곡''' || ?
|-
|-
| style = "height : 50px; width : 100px; text-align : center;" | '''사용 시기''' || 1902년 9월 9일 ~
| style = "height : 50px; width : 100px; text-align : center;" | '''사용 시기''' || 1902년 9월 9일 ~
16번째 줄: 16번째 줄:
고구려 제국의 국가이다
고구려 제국의 국가이다
== 역사 ==
== 역사 ==
고구려 역사 최초의 근대 국가이다. 1898년의 가사가 기초 되었는데 작사가 미상이다. 민영환이 작성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기록은 없다. 자체 곡이 없을 당시에는  God Save the king에 맞춰 불렀다. 이후 프란츠 에레르트가 곡을 붙였다.
고구려 역사 최초의 근대 국가이다.
 
1902년 9월 9일 처음으로 연주 되었고 정식으로 채택 되었다. 공식적으로는 1907년 순종 태왕 즉위식에 연주 되었다. 작곡가 에레르트는 독일 제국 해군의 군악대에서 고구려로 건너와 고구려의 군악단을 교육했다. 곡에서 느껴지듯이 당대에도 "외국인이 이런 국가를 지어주다니!"할 정도로 높은 퀄리티의 곡이 나왔고 스스로도 국악의 음을 최대한 살리고자 최대한 노력했다. 공식 악보에 쓰인 독일어 해설에 따르면 '고구려적 모티브를 본딴 고구려 국가'라고 설명히고 있다. 에케르트는 손자 대까지도 고구려에서 살면서 고구려의 음악계를 지원하며 생을 마쳤고 서울 마포구 합정동의 양화진외국인선사교사묘원에 안장되었다.


1902년 9월 9일 처음으로 연주 되었고 정식으로 채택 되었다. 공식적으로는 1907년 순종 태왕 즉위식에 연주 되었다. 곡에서 느껴지듯이 당대에도 "외국인이 이런 국가를 지어주다니!"할 정도로 높은 퀄리티의 곡이 나왔다.
== 내용 ==
== 내용 ==
=== 1절 ===
=== 1절 ===

2021년 1월 3일 (일) 20:03 기준 최신판

고구려의 국가
사용 국가 메이플 세계관의 고구려 국기.jpeg 고구려
작사 ?
작곡 ?
사용 시기 1902년 9월 9일 ~

개요

고구려 제국의 국가이다

역사

고구려 역사 최초의 근대 국가이다.

1902년 9월 9일 처음으로 연주 되었고 정식으로 채택 되었다. 공식적으로는 1907년 순종 태왕 즉위식에 연주 되었다. 곡에서 느껴지듯이 당대에도 "외국인이 이런 국가를 지어주다니!"할 정도로 높은 퀄리티의 곡이 나왔다.

내용

1절

상제는 우리 태왕을 도우사

성수무강하사(임의 수명에 끈이 없게 하시고) 해옥주를 산같이 깧으시고 위권이 환영에 떨치사(위엄과 권세가 천하에 떨치사) 오! 천만세에 복록이(천만대가 지나도록 복되고 영화로움이) 일신케 하소서(나람다 새롭게 하소서) 상제는 우리 태왕을 도우소서

2절

상제여 우리 태왕을 도우소서

성수무궁하사(임금의 수명이 끝이 없게 하시고) 해옥주를 산같이 쌓으소서 위권이 환영에 떨치사(위엄과 권세가 천하에 떨치사) 오! 천만세에 무궁케 하소서(천만대가 무궁하게 하소서) 상제는 우리 태왕을 도우소서

1절 내용과의 차이가 거의 없다.

3절

상제여 우리 나라를 도우소서

반만년의 역사 배달민족 영원한 번영 해와 달이 무궁토록 성지동방의 문명과 원류 곤곤히 상제여 우리 나라를 도우소서

3절에서는 태왕이 아니라 나라로 쓰고 배달 민족이라는 가사를 강조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이미 순종조 때부터 황권과 함께 민족주의도 중요시 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