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해 연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1번째 줄: 11번째 줄:
 
||<bgcolor=#1C5ECE><:>{{{#white '''공용 언어'''}}}||<-2>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영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
 
||<bgcolor=#1C5ECE><:>{{{#white '''공용 언어'''}}}||<-2>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영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
 
||<bgcolor=#E0BB00><|2><:>{{{#white '''정치'''}}}||<bgcolor=#1C5ECE><:>{{{#white '''정치체제'''}}}||<-2> 입헌군주제, 공화제, 의원내각제, 공동영주제 ||
 
||<bgcolor=#E0BB00><|2><:>{{{#white '''정치'''}}}||<bgcolor=#1C5ECE><:>{{{#white '''정치체제'''}}}||<-2> 입헌군주제, 공화제, 의원내각제, 공동영주제 ||
||<bgcolor=#1C5ECE><:>{{{#white '''국가 원수'''}}}||<-2> 엘리자베스 2세 영연방 여왕[br]니콜라 사르테야 시라비시카 총독[br]마이케 발바움 총리 겸 페더 대통령 ||
+
||<bgcolor=#1C5ECE><:>{{{#white '''국가 원수'''}}}||<-2> 엘리자베스 2세 영연방 여왕[br]제임스 소프타르 시라비시카 대통령[br]마이케 발바움 총리 겸 페더 대통령 ||
 
||<bgcolor=#E0BB00><|3><:>{{{#white '''경제'''}}}||<bgcolor=#1C5ECE><:>{{{#white '''GDP'''}}}||<-2> $553,680,400,000 ||
 
||<bgcolor=#E0BB00><|3><:>{{{#white '''경제'''}}}||<bgcolor=#1C5ECE><:>{{{#white '''GDP'''}}}||<-2> $553,680,400,000 ||
 
||<bgcolor=#1C5ECE><:>{{{#white '''1인당 GDP'''}}}||<-2> $74,200 ||
 
||<bgcolor=#1C5ECE><:>{{{#white '''1인당 GDP'''}}}||<-2> $74,200 ||

2021년 3월 2일 (화) 22:21 판

북해 연방
North Sea Federation
북련 국기.png
국기
아직 공식 국장 없음
국장
상징국가Union of North Sea
God save the Queen[1]
표어북해의 기상
Spirit of North Sea
자연환경면적(영토)51,386km²
인문환경인구7,462,000명
인구밀도145.2명/km^2
공용 언어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영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정치정치체제입헌군주제, 공화제, 의원내각제, 공동영주제
국가 원수엘리자베스 2세 영연방 여왕
제임스 소프타르 시라비시카 대통령
마이케 발바움 총리 겸 페더 대통령
경제GDP$553,680,400,000
1인당 GDP$74,200
공식 화폐북해 연방 크로네(Krone)
단위
법정연호서력기원
시간대UTC +0 (서머타임 적용)

개요

북해 연방은 북유럽에 위치한 대통령중심제 국가이다.

3개의 구역이 국가를 이루고 있다.

상징

국명

공식 명칭은 북해 연방 (North Sea Federation).

국기

북련 국기.png
북해 연방의 국기는 북해연방기로, 바탕에 하늘색과 흰색, 노란색으로 이루어진 십자가가 있다.
3가지 색을 사용한 것은 각 구역인 웨스트라우, 아우스라우프요르, 페더 구역을 상징한다.

국가

북해 연방의 국가는 2개가 있다.
Union of North Sea는 북해 연방 전체에서 불리는 국가로, 총 5절로 이루어져 있다.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영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가사가 1절 씩 이루고 있다.
God save the Queen은 엔겔스크 연방 공화국 한정 사용되는 국가다.
엔겔스크 연방 공화국에서는 God save the Queen을 부른 뒤 Union of North Sea의 3절을 부른다.

행정구역

정리중

정치

국가 원수

국가 원수가 3명인 것으로 유명하다.
안도라, 모나코 같은 국가 원수가 2명인 국가는 있지만 북해 연방은 국가 원수가 3명 이상인 유일한 국가다.
다만 엄밀히 따지자면 모든 지역에서 국가 원수가 3명인 것이 아니고 3개의 구역이 각각 국가 원수를 가지는 형태이다.[2]
각 구역의 국가 원수는 단순히 상징적인 의미고, 이들의 권력은 없는거나 마찬가지이다.

행정부

북해 연방은 고도의 지방자치권을 보장하고 있다.
각 구역마다 자치 정부[3]를 두고, 각 자치 정부는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 한 모든 정책과 활동이 가능하다.
다만 독립 당시 북해 연방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각 점령지의 최대 도시였던 호프슈타 시와 노르디아 시를 주로 승격하고 페더 구역을 신설하여 페더 구역은 면적이 가장 작지만 재정이 세 구역 중 가장 많게 되었고, 이는 다른 구역의 독립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북해 연방 정부는 각 구역에 계속해서 지원금을 주고 있지만, 가면 갈수록 페더 구역 및 북해 연방 정부의 힘이 강력해지면서 자치 정부의 불만이 심화되고 있다.

입법부

북해 연방 국회는 총 200석을
작성중

사법부

군사

육군 편제

해군 편제

공군 편제

역사

연도표

-1986년 독립

생활

교육

초등교육부터 고등교육까지, 모든 교육이 무상이며, 심지어는 학생들을 위해 매 달 교육 지원금을 지급한다. [4]

복지

세금

복지국가 답게 세금이 센 편인데, 아우스라우프요르 구역은 무려 소득의 30% ~ 50%를 세금으로 지출해야 한다.
다만 페더 구역, 특히 호프슈타 주나 노르디아 주는 기업 유치를 위해 법인세가 상당히 저렴하고, 소득세도 저렴한 편이어서 많은 국민들이 이주를 원하고 있다.[5]

벌금도 상당히 특이한데 이 벌금을 위반자의 소득 및 재산에 비례하여 지불하기 때문에 북해 연방 내에서 중앙선 침범을 했다가 무려 12,000크로네를 벌금으로 지불한 사람도 있다(...)

  1. 웨스트라우 구역 한정.
  2. 북해 연방 헌법에는 국가 원수를 규정하지 않고 있다.
  3. 페더 구역은 북해 연방 정부가 자치 정부를 겸함.
  4. 교육 지원금 액수는 년마다 변경. UVN 1년 현재는 4,000크로네.
  5. 다만 수도 급 지위인 도시인 것도 있고 이주를 원하는 인구가 상당히 많아서 집값도 엄청 비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