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시흥교통이 운행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 서남교통그룹의 상징격인 노선. 안산, 군포, 안양, 시흥, 부천, 광명을 구석구석 훑고다닌다. 서남운수가 운행하는 지역들을 모두 운행하기 때문에 수요는 많지 않지만 서남교통의 상징과도 같은 노선이다. 한탕 도는데 | 시흥교통이 운행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 서남교통그룹의 상징격인 노선. 안산, 군포, 안양, 시흥, 부천, 광명을 구석구석 훑고다닌다. 서남운수가 운행하는 지역들을 모두 운행하기 때문에 수요는 많지 않지만 서남교통의 상징과도 같은 노선이다. 한탕 도는데 10시간, 기점-종점 4시간 30분~5시간 정도 소요되는 초장거리 노선이다. 시흥교통 오이도영업소, 포동영업소, 삼영운수 안양영업소에서 공동관리 하고있다. | ||
==역사== | ==역사== | ||
2017년 경원여객의 주도로 시흥교통, 태화상운, 삼영운수, 보영운수, 화영운수, 소신여객, 부천버스가 합병한 직후 개통된 노선이다. 원래는 옥길동이 종점이었으나 2019년에 지금과 같은 광명 구간이 연장되었다 | 2017년 경원여객의 주도로 시흥교통, 태화상운, 삼영운수, 보영운수, 화영운수, 소신여객, 부천버스가 합병한 직후 개통된 노선이다. 원래는 옥길동이 종점이었으나 2019년에 지금과 같은 광명 구간이 연장되었다. | ||
==특징== | ==특징== | ||
-노선이 어마어마하게 길다. 안산~광명을 S자로 돌아사 크게 운행한다. 그래서 장거리수요는 거의 없고 구간수요로만 먹고산다고 봐도 무방하다. | -노선이 어마어마하게 길다. 안산~광명을 S자로 돌아사 크게 운행한다. 그래서 장거리수요는 거의 없고 구간수요로만 먹고산다고 봐도 무방하다. | ||
-노선이 길기 때문인지 신현역에서 차량이 바뀐다(...) | -노선이 길기 때문인지 신현역에서 차량이 바뀐다(...) 얀양영업소에서 출발한 차량이 신현역에서 대기하다가 오이도영업소에서 출발해서 신현역까지 온 차량이 오면 승객을 바꿔태운다. 안양영업소에서 출발한 차량은 신현역에서 유턴한 뒤 대기하다가 안양방향에서 오이도영업소 소속 차량이 오면 또 승객을 바꿔태운 뒤 안양영업소까지 간다. | ||
-인가댓수가 16대나 되는데도 노선이 길어서 배차간격이 30분을 웃돈다. 그래서 정류장마다 시간표가 붙어있다(...) 거의 농어촌버스 수준. 이건 물론 16대 전체 운행할때 이야기. 주말에는 8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1시간 이상이다(...) 또 출퇴근 시간이 아닐때는 12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40분 이상이다. 그래도 각 지역에서 그 지역의 잘나가는 노선의 보조노선 역할을 톡톡히 해서 본전 이상은 뽑고 있다. | -인가댓수가 16대나 되는데도 노선이 길어서 배차간격이 30분을 웃돈다. 그래서 정류장마다 시간표가 붙어있다(...) 거의 농어촌버스 수준. 이건 물론 16대 전체 운행할때 이야기. 주말에는 8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1시간 이상이다(...) 또 출퇴근 시간이 아닐때는 12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40분 이상이다. 그래도 각 지역에서 그 지역의 잘나가는 노선의 보조노선 역할을 톡톡히 해서 본전 이상은 뽑고 있다. | ||
-노선이 길어서 첫차가 종점까지 가서 회차하면 거의 | -노선이 길어서 첫차가 종점까지 가서 회차하면 거의 12시가 된다(...) 그래서 신현역에서 포동공영차고지 차량이 중간출발을 한다. | ||
-첫차는 오이도영업소와 포동영업소, 광명영업소에서 동시출발하고, 막차는 오이도영업소에서 출발해 광명영업소에서 주박한다. | -첫차는 오이도영업소와 포동영업소, 광명영업소에서 동시출발하고, 막차는 오이도영업소에서 출발해 광명영업소에서 주박한다. | ||
-7대는 오이도, 6대는 광명, | -7대는 오이도, 6대는 광명, 3대와 예비차 1대는 포동공영차고지에서 관리한다. |
2021년 4월 3일 (토) 23:36 판
개요
시흥교통이 운행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 서남교통그룹의 상징격인 노선. 안산, 군포, 안양, 시흥, 부천, 광명을 구석구석 훑고다닌다. 서남운수가 운행하는 지역들을 모두 운행하기 때문에 수요는 많지 않지만 서남교통의 상징과도 같은 노선이다. 한탕 도는데 10시간, 기점-종점 4시간 30분~5시간 정도 소요되는 초장거리 노선이다. 시흥교통 오이도영업소, 포동영업소, 삼영운수 안양영업소에서 공동관리 하고있다.
역사
2017년 경원여객의 주도로 시흥교통, 태화상운, 삼영운수, 보영운수, 화영운수, 소신여객, 부천버스가 합병한 직후 개통된 노선이다. 원래는 옥길동이 종점이었으나 2019년에 지금과 같은 광명 구간이 연장되었다.
특징
-노선이 어마어마하게 길다. 안산~광명을 S자로 돌아사 크게 운행한다. 그래서 장거리수요는 거의 없고 구간수요로만 먹고산다고 봐도 무방하다. -노선이 길기 때문인지 신현역에서 차량이 바뀐다(...) 얀양영업소에서 출발한 차량이 신현역에서 대기하다가 오이도영업소에서 출발해서 신현역까지 온 차량이 오면 승객을 바꿔태운다. 안양영업소에서 출발한 차량은 신현역에서 유턴한 뒤 대기하다가 안양방향에서 오이도영업소 소속 차량이 오면 또 승객을 바꿔태운 뒤 안양영업소까지 간다. -인가댓수가 16대나 되는데도 노선이 길어서 배차간격이 30분을 웃돈다. 그래서 정류장마다 시간표가 붙어있다(...) 거의 농어촌버스 수준. 이건 물론 16대 전체 운행할때 이야기. 주말에는 8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1시간 이상이다(...) 또 출퇴근 시간이 아닐때는 12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40분 이상이다. 그래도 각 지역에서 그 지역의 잘나가는 노선의 보조노선 역할을 톡톡히 해서 본전 이상은 뽑고 있다. -노선이 길어서 첫차가 종점까지 가서 회차하면 거의 12시가 된다(...) 그래서 신현역에서 포동공영차고지 차량이 중간출발을 한다. -첫차는 오이도영업소와 포동영업소, 광명영업소에서 동시출발하고, 막차는 오이도영업소에서 출발해 광명영업소에서 주박한다. -7대는 오이도, 6대는 광명, 3대와 예비차 1대는 포동공영차고지에서 관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