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92D050> {{{#black 노선명}}} || 안산시 일반시내버스 31 || | ||<#92D050> {{{#black 노선명}}} || 안산시 일반시내버스 31 || | ||
||<#92D050> {{{#black 기점}}} || 시흥교통 오이도차고지 || | ||<#92D050> {{{#black 기점}}} || 시흥교통 오이도차고지 || | ||
||<#92D050> {{{#black 종점}}} || 삼영운수 | ||<#92D050> {{{#black 종점}}} || 삼영운수 충훈부차고지 || | ||
||<#92D050> {{{#black 영업거리}}} || 240km || | ||<#92D050> {{{#black 영업거리}}} || 240km || | ||
||<#92D050> {{{#black 배차간격}}} || 평일 30분~40분, 주말 65분~80분 || | ||<#92D050> {{{#black 배차간격}}} || 평일 30분~40분, 주말 65분~80분 ||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92D050> {{{#black 첫차}}} || 06:40 || | ||<#92D050> {{{#black 첫차}}} || 06:40 || | ||
||<#92D050> {{{#black 막차}}} || 21:40 || | ||<#92D050> {{{#black 막차}}} || 21:40 || | ||
||<#92D050> {{{#black 노선}}} || 시흥교통 오이도영업소-오이도역-공단-안산역-초지역-고잔역-고려대 안산병원-안산시청-성포예술광장-안산홈플러스-한대앞역-상록수역-반월동-대야미-수리산역-궁내초등학교-산본역-군포시청-금정역-명학역-덕천메가트리아-안양1번가-박달한라비발디-목감초등학교-목감고등학교-시흥고등학교-시흥시청-신현역-신일초등학교-신천역-시흥대야역-은행동-소새울역-소사중학교-소사역-원미초등학교-계남고등학교,그린타운-순천향대 부천병원-상동주공아파트-호수공원-상동역-부천시청-원미경찰서-부천종합운동장-여월동-역곡역-스타필드시티 부천,옥길휴면시아-광명명문고등학교-광명사거리역-광명2동주민센터-광명동초등학교-광명북고등학교-철산주공8,9단지-철산역-광명시청- | ||<#92D050> {{{#black 노선}}} || 시흥교통 오이도영업소-오이도역-공단-(중간출발지점:경원여객 본사차고지)-안산역-초지역-고잔역-고려대 안산병원-안산시청-성포예술광장-안산홈플러스-한대앞역-상록수역-(중간출발지점: 경원여객 본오동차고지)-반월동-대야미-수리산역-궁내초등학교-산본역-군포시청-금정역-명학역-덕천메가트리아-안양1번가-(중간출발지점: 보영운수 창박골차고지)-박달한라비발디-목감초등학교-목감고등학교-시흥고등학교-시흥시청-신현역-(중간출발지점: 시흥교통 포동공영차고지)-신일초등학교-신천역-시흥대야역-은행동-소새울역-소사중학교-소사역-(중간출발지점: 소신여객 부천역북부차고지)-원미초등학교-계남고등학교,그린타운-순천향대 부천병원-상동주공아파트-호수공원-상동역-부천시청-중원고등학교-(중간출발지점:부천버스 대장공영차고지)-원미경찰서-부천종합운동장-여월동-역곡역-스타필드시티 부천,옥길휴면시아-광명명문고등학교-(중간출발지점: 화영운수 본사차고지)-경기항공과학고등학교-광명사거리역-광명2동주민센터-광명동초등학교-광명북고등학교-철산주공8,9단지-철산역-광명시청-철산한신아파트-하안주공12단지-광명소하휴먼시아 7단지-광명역,이케아-(중간출발지점: 삼영운수 본사차고지)-삼영운수 충훈부차고지 || | ||
||||<#92D050> {{{#black 노선 지도}}} || | ||||<#92D050> {{{#black 노선 지도}}} || | ||
|||| [[파일:Screenshot 20210403-162652 Naver Map.jpg]] || | |||| [[파일:Screenshot 20210403-162652 Naver Map.jpg]] || | ||
==개요== | ==개요== | ||
시흥교통이 운행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 서남교통그룹의 상징격인 노선. 안산, 군포, 안양, 시흥, 부천, 광명을 구석구석 훑고다닌다. 서남운수가 운행하는 지역들을 모두 운행하기 때문에 수요는 많지 않지만 서남교통의 상징과도 같은 노선이다. 한탕 도는데 10시간, 기점-종점 4시간 30분~5시간 정도 소요되는 초장거리 노선이다 | 시흥교통이 운행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 서남교통그룹의 상징격인 노선. 안산, 군포, 안양, 시흥, 부천, 광명을 구석구석 훑고다닌다. 서남운수가 운행하는 지역들을 모두 운행하기 때문에 수요는 많지 않지만 서남교통의 상징과도 같은 노선이다. 한탕 도는데 10시간, 기점-종점 4시간 30분~5시간 정도 소요되는 초장거리 노선이다. | ||
==역사== | ==역사== | ||
23번째 줄: | 23번째 줄: | ||
==특징== | ==특징== | ||
-노선이 어마어마하게 길다. 안산~광명을 S자로 돌아사 크게 운행한다. 그래서 장거리수요는 거의 없고 구간수요로만 먹고산다고 봐도 무방하다. | -노선이 어마어마하게 길다. 안산~광명을 S자로 돌아사 크게 운행한다. 그래서 장거리수요는 거의 없고 구간수요로만 먹고산다고 봐도 무방하다. | ||
-노선이 | -노선이 길어서 여러 차고지가 중간출발지점, 중간종점이다.태화상운 본사차고지, 경원여객 본오동차고지, 보영운수 창박골차고지, 시흥교통 포동공영차고지, 소신여객 부천역북부 본사차고지, 부천버스 대장공영차고지, 화영운수 본사차고지, 삼영운수 본사차고지가 그렇다. 실질적 종점은 오이도차고지, 충훈부차고지이지만. | ||
-인가댓수가 16대나 되는데도 노선이 길어서 배차간격이 30분을 웃돈다. 그래서 정류장마다 시간표가 붙어있다(...) 거의 농어촌버스 수준. 이건 물론 16대 전체 운행할때 이야기. 주말에는 8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1시간 이상이다(...) 또 출퇴근 시간이 아닐때는 12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40분 이상이다. 그래도 각 지역에서 그 지역의 잘나가는 노선의 보조노선 역할을 톡톡히 해서 본전 이상은 뽑고 있다. | -인가댓수가 16대나 되는데도 노선이 길어서 배차간격이 30분을 웃돈다. 그래서 정류장마다 시간표가 붙어있다(...) 거의 농어촌버스 수준. 이건 물론 16대 전체 운행할때 이야기. 주말에는 8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1시간 이상이다(...) 또 출퇴근 시간이 아닐때는 12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40분 이상이다. 그래도 각 지역에서 그 지역의 잘나가는 노선의 보조노선 역할을 톡톡히 해서 본전 이상은 뽑고 있다. | ||
-노선이 길어서 첫차가 종점까지 가서 회차하면 거의 12시가 된다(...) 그래서 신현역에서 포동공영차고지 차량이 중간출발을 한다. | -노선이 길어서 첫차가 종점까지 가서 회차하면 거의 12시가 된다(...) 그래서 신현역에서 포동공영차고지 차량이 중간출발을 한다. | ||
-첫차는 오이도영업소와 포동영업소, 광명영업소에서 동시출발하고, 막차는 오이도영업소에서 출발해 광명영업소에서 주박한다. | -첫차는 오이도영업소와 포동영업소, 광명영업소에서 동시출발하고, 막차는 오이도영업소에서 출발해 광명영업소에서 주박한다. | ||
-6대는 오이도, 6대는 광명, 4대와 예비차 1대는 포동공영차고지에서 관리한다. | -6대는 오이도, 6대는 광명, 4대와 예비차 1대는 포동공영차고지에서 관리한다. |
2021년 4월 4일 (일) 01:36 판
개요
시흥교통이 운행중인 시내버스 노선으로, 서남교통그룹의 상징격인 노선. 안산, 군포, 안양, 시흥, 부천, 광명을 구석구석 훑고다닌다. 서남운수가 운행하는 지역들을 모두 운행하기 때문에 수요는 많지 않지만 서남교통의 상징과도 같은 노선이다. 한탕 도는데 10시간, 기점-종점 4시간 30분~5시간 정도 소요되는 초장거리 노선이다.
역사
2017년 경원여객의 주도로 시흥교통, 태화상운, 삼영운수, 보영운수, 화영운수, 소신여객, 부천버스가 합병한 직후 개통된 노선이다. 원래는 옥길동이 종점이었으나 2019년에 지금과 같은 광명 구간이 연장되었다.
특징
-노선이 어마어마하게 길다. 안산~광명을 S자로 돌아사 크게 운행한다. 그래서 장거리수요는 거의 없고 구간수요로만 먹고산다고 봐도 무방하다. -노선이 길어서 여러 차고지가 중간출발지점, 중간종점이다.태화상운 본사차고지, 경원여객 본오동차고지, 보영운수 창박골차고지, 시흥교통 포동공영차고지, 소신여객 부천역북부 본사차고지, 부천버스 대장공영차고지, 화영운수 본사차고지, 삼영운수 본사차고지가 그렇다. 실질적 종점은 오이도차고지, 충훈부차고지이지만. -인가댓수가 16대나 되는데도 노선이 길어서 배차간격이 30분을 웃돈다. 그래서 정류장마다 시간표가 붙어있다(...) 거의 농어촌버스 수준. 이건 물론 16대 전체 운행할때 이야기. 주말에는 8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1시간 이상이다(...) 또 출퇴근 시간이 아닐때는 12대로 운행해서 배차간격이 40분 이상이다. 그래도 각 지역에서 그 지역의 잘나가는 노선의 보조노선 역할을 톡톡히 해서 본전 이상은 뽑고 있다. -노선이 길어서 첫차가 종점까지 가서 회차하면 거의 12시가 된다(...) 그래서 신현역에서 포동공영차고지 차량이 중간출발을 한다. -첫차는 오이도영업소와 포동영업소, 광명영업소에서 동시출발하고, 막차는 오이도영업소에서 출발해 광명영업소에서 주박한다. -6대는 오이도, 6대는 광명, 4대와 예비차 1대는 포동공영차고지에서 관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