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고등학교 한국사'''는 대한국(단국흥기)의 교과서이다. ==목차== 일러두기 3. 근세(近世) 유교 사회의 형성과 발전 ⑴ 농업과 더불어...) |
편집 요약 없음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목차== | ==목차== | ||
일러두기 | 일러두기 | ||
3. 근세(近世) 유교 사회의 형성과 발전 | 3. [[근세(近世) 유교 사회의 형성과 발전]] | ||
⑴ 농업과 더불어 상·공업과 도시가 발달하다 | ⑴ [[농업과 더불어 상·공업과 도시가 발달하다]] | ||
⑵ 군사력 강화와 영토 확장을 위해 노력하다 | ⑵ [[군사력 강화와 영토 확장을 위해 노력하다]] | ||
⑶ 일본과 여진의 침략을 격퇴하다 | ⑶ [[일본과 여진의 침략을 격퇴하다]] | ||
⑷ 아란타와의 교역으로 서구 문물이 전래되다 | ⑷ [[아란타와의 교역으로 서구 문물이 전래되다]] | ||
⑸ 탕평 시대를 이어 세도 가문이 전횡하다 | ⑸ [[탕평 시대를 이어 세도 가문이 전횡하다]] | ||
4. 근대국가의 건설과 대외 진출에의 노력 | 4. [[근대국가의 건설과 대외 진출에의 노력]] | ||
⑴ 양선의 내항에 문호를 개방하다 | ⑴ [[양선의 내항에 문호를 개방하다]] | ||
⑵ 의로운 유사들이 세도가를 타도하다 | ⑵ [[의로운 유사들이 세도가를 타도하다]] | ||
⑶ 익종경장과 대한제국 수립 | ⑶ [[익종경장과 대한제국 수립]] | ||
⑷ 한국이 동아시아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다 | ⑷ [[한국이 동아시아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다]] | ||
5. 양차 세계대전과 한국의 극난(克難) | 5. [[양차 세계대전과 한국의 극난(克難)]] | ||
⑴ 제1차 세계대전기의 호황과 융희 데모크라시 | ⑴ [[제1차 세계대전기의 호황과 융희 데모크라시]] | ||
⑵ 오월이 파시즘의 길을 걷다 | ⑵ [[오월이 파시즘의 길을 걷다]] | ||
⑶ 오랑캐에게 본토까지 침노(侵虜) 당하다 | ⑶ [[오랑캐에게 본토까지 침노(侵虜) 당하다]] | ||
⑷ 오월의 침략 야욕을 좌절시키고 나라를 지키다 | ⑷ [[오월의 침략 야욕을 좌절시키고 나라를 지키다]] | ||
⑸ 전후 국제사회에서 강대국으로 도약하다 | ⑸ [[전후 국제사회에서 강대국으로 도약하다]] | ||
6. 전후(戰後) 한국의 발전과 현대 사회의 변화 | 6. [[전후(戰後) 한국의 발전과 현대 사회의 변화]] | ||
⑴ 김일성의 난을 진압하다 | ⑴ [[김일성의 난을 진압하다]] | ||
⑵ 민주주의가 시련을 딛고 진전하다 | ⑵ [[민주주의가 시련을 딛고 진전하다]] | ||
⑶ 고도경제성장과 사회 문화의 변화 | ⑶ [[고도경제성장과 사회 문화의 변화]] | ||
⑷ 탈냉전의 시대에서 한국이 맡아야 할 역할 | ⑷ [[탈냉전의 시대에서 한국이 맡아야 할 역할]] |
2018년 7월 8일 (일) 17:05 판
고등학교 한국사는 대한국(단국흥기)의 교과서이다.
목차
일러두기 3. 근세(近世) 유교 사회의 형성과 발전 ⑴ 농업과 더불어 상·공업과 도시가 발달하다⑵ 군사력 강화와 영토 확장을 위해 노력하다⑶ 일본과 여진의 침략을 격퇴하다⑷ 아란타와의 교역으로 서구 문물이 전래되다⑸ 탕평 시대를 이어 세도 가문이 전횡하다
4. 근대국가의 건설과 대외 진출에의 노력 ⑴ 양선의 내항에 문호를 개방하다⑵ 의로운 유사들이 세도가를 타도하다⑶ 익종경장과 대한제국 수립⑷ 한국이 동아시아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다
5. 양차 세계대전과 한국의 극난(克難) ⑴ 제1차 세계대전기의 호황과 융희 데모크라시⑵ 오월이 파시즘의 길을 걷다⑶ 오랑캐에게 본토까지 침노(侵虜) 당하다⑷ 오월의 침략 야욕을 좌절시키고 나라를 지키다⑸ 전후 국제사회에서 강대국으로 도약하다
6. 전후(戰後) 한국의 발전과 현대 사회의 변화 ⑴ 김일성의 난을 진압하다⑵ 민주주의가 시련을 딛고 진전하다⑶ 고도경제성장과 사회 문화의 변화⑷ 탈냉전의 시대에서 한국이 맡아야 할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