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 의미 ==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일자리 감소에 따라 국가에서 부자들의 소득을 일부 가져가 국민들 모두에게 나눠준다는 이론. == 도입 =...)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 도입 ==
== 도입 ==
알래스카에서는 이미 1970년대 부터 도입했고, 핀란드는 도입하다가 실패했고, 대한민국에서는 경기도를 시작으로 조금씩 도입하려고 한다.
알래스카에서는 이미 1970년대 부터 도입했고, 핀란드는 도입하다가 실패했고, 대한민국에서는 경기도를 시작으로 조금씩 도입하려고 한다.
== 가상국가에서 도입된 사례 ==
[[반도 연방국]]: 68혁명 때문에 복지 수준이 어마어마하게 증가해서 그런 것 같다. 그리고, 이 나라는 애초부터 석유+제조업+관광업으로 먹고 사는 나라라 평생 이렇게 해도 돈이 오히려 남는다.

2021년 5월 24일 (월) 11:47 판

의미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일자리 감소에 따라 국가에서 부자들의 소득을 일부 가져가 국민들 모두에게 나눠준다는 이론.

도입

알래스카에서는 이미 1970년대 부터 도입했고, 핀란드는 도입하다가 실패했고, 대한민국에서는 경기도를 시작으로 조금씩 도입하려고 한다.

가상국가에서 도입된 사례

반도 연방국: 68혁명 때문에 복지 수준이 어마어마하게 증가해서 그런 것 같다. 그리고, 이 나라는 애초부터 석유+제조업+관광업으로 먹고 사는 나라라 평생 이렇게 해도 돈이 오히려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