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목차] | [목차] | ||
[[덴마크 왕국]]과 [[프레시오소]]가 같이 운영하는 해군. 훈련은 그린란드의 온대 지역에서 진행한다. 군사수는 5만명 | [[덴마크 왕국]]과 [[프레시오소]]가 같이 운영하는 해군. 훈련은 그린란드의 온대 지역에서 진행한다. 군사수는 5만명 가량이고, 북대서양에서 활동한다. | ||
==역사== | ==역사==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계획== | ==계획== | ||
훈련 이후, 남아민공과 콩고의 전쟁에서 콩고 지원과 해적 소탕을 계획했다. 북대서양에서의 활동은 크게 정해지지 않았다. | 훈련 이후, 남아민공과 콩고의 전쟁에서 콩고 지원과 해적 소탕을 계획했다. 북대서양에서의 활동은 크게 정해지지 않았다. | ||
==사용하는 것들== | |||
무기는 m1 개런드 총을 사용한다. 그리고 배는 psx4를 사용한다. |
2021년 7월 16일 (금) 22:02 판
덴마크 왕국과 프레시오소가 같이 운영하는 해군. 훈련은 그린란드의 온대 지역에서 진행한다. 군사수는 5만명 가량이고, 북대서양에서 활동한다.
역사
덴마크 왕국과 프레시오소는 수교 이후 급격히 교류가 증가해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정상회담의 결과들 중 가장 중요한 결과는 ‘덴마크와 프레시오소의 합동 해군’이었다. 두 국가 모두 군대가 없었고 NATO에 막 가입한 북대서양 국가였기 때문에 덴마크 측에서 합동 해군을 제안했고, 프레시오소 측에서 수락해 합동 해군을 창설하기로 한 것이다.
문제점
두 나라의 거리가 너무 멀다는 점이 지적된다. 그린란드에서 훈련을 진행하는 것으로 정해짐으로써 그 점은 어느 정도 상쇄되나, 북미 국가와 북유럽 국가가 갑작스럽게 합동군을 만든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는 의견도 있다.
목표
북대서양의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다. 그러나 북대서양 말고도 다른 바다에서 더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
계획
훈련 이후, 남아민공과 콩고의 전쟁에서 콩고 지원과 해적 소탕을 계획했다. 북대서양에서의 활동은 크게 정해지지 않았다.
사용하는 것들
무기는 m1 개런드 총을 사용한다. 그리고 배는 psx4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