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프리카 연방/역사: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연방 성립 준비==
==연방 성립 준비==
1960년대 초반 케냐, 탕가니카, 우간다가 독립했다. 그러나 삼국 모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삼국의 지도자는 이 상황을 타개할 방법에 대해 생각했었다. 한편 삼국의 협력을 위해 동아프리카 공동체라는 기구가 만들어졌었다. 각국의 정치인들은 경제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공동체의 회원국들의 연방 구성에 대해서 논의했다. 1965년 삼국은 나이로비에서 ‘동아프리카 회의’를 가졌고, 이는 각국에서 연방 성립에 대한 국민투표를 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처음에는 대부분 부정적인 반응이었으나, 경제위기가 점점 심해지자 대부분 연방 성립에 동의하는 쪽으로 기울어 결국 연방 성립에 동의하는 측이 더 많아졌다. 이후 연방건국위원회가 만들어져 연방 성립을 준비했다.
1960년대 초반 케냐, 탕가니카, 우간다가 독립했다. 그러나 삼국 모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삼국의 지도자는 이 상황을 타개할 방법에 대해 생각했었다. 한편 삼국의 협력을 위해 동아프리카 공동체라는 기구가 만들어졌었다. 각국의 정치인들은 경제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공동체의 회원국들의 연방 구성에 대해서 논의했다. 1963년 8월 7일 삼국은 나이로비에서 ‘동아프리카 회의’를 가졌고, 이는 각국에서 연방 성립에 대한 국민투표를 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처음에는 대부분 부정적인 반응이었으나, 경제위기가 점점 심해지자 대부분 연방 성립에 동의하는 쪽으로 기울어 결국 연방 성립에 동의하는 측이 더 많아졌다. 이후 연방건국위원회가 만들어져 연방 성립을 준비했다.


==헌법 발표==
==헌법 발표==
연방건국위원회는 각 구성국의 법을 바탕으로 헌법을 쓰기 시작했다. 그 결과물이 1966년 7월 10일 발표된 [[동아프리카 연방 헌법]]이다. 권위주의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국민의 56%가 헌법에 찬성해 이 헌법은 통과되었다.  
연방건국위원회는 각 구성국의 법을 바탕으로 헌법을 쓰기 시작했다. 그 결과물이 1964년 1월 3일 발표된 [[동아프리카 연방 헌법]]이다. 권위주의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국민의 56%가 헌법에 찬성해 이 헌법은 통과되었다.  


==연방 설립==
==연방 건국==
1966년 7월 23일 헌법의 일부 수정을 거친 뒤 연방 설립에 대한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해 연방 설립을 선언했다.  
1964년 3월 1일 헌법의 일부 수정을 거친 뒤 연방 설립에 대한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해 3월 4일 연방 완성을 선언했다.  


==첫 동아프리카 총선==
==첫 동아프리카 총선==
1966년 8월 30일 첫 동아프리카 총선으로 사회민주주의 정당 동아프리카 인민회의, 진보주의 정당 진보주의 연맹(현재 동아프리카 진보연합의 시초), 그리고 보수정당인 민족의 당(현재 동아프리카 민족연합의 시초) 3당의 연립정부가 세워졌다.
1964년 3월 18일 첫 동아프리카 총선으로 사회민주주의 정당 동아프리카 인민회의, 진보주의 정당 진보주의 연맹(현재 동아프리카 진보연합의 시초), 그리고 보수정당인 민족의 당(현재 동아프리카 민족연합의 시초) 3당의 연립정부가 세워졌다.
 
==잔지바르의 가입==
1964년 술탄을 몰아내고 공화제로 전환된 잔지바르 인민공화국은 경제위기 때문에 연방 가입이 논의되었다. 1964년 4월 26일 국민투표의 결과로 70%가 연방 가입에 찬성했고 연방도 수락해 잔지바르는 자치공화국으로 편입되었다.
 
==

2021년 7월 31일 (토) 13:42 판

동아프리카 연방의 역사

연방 성립 준비

1960년대 초반 케냐, 탕가니카, 우간다가 독립했다. 그러나 삼국 모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삼국의 지도자는 이 상황을 타개할 방법에 대해 생각했었다. 한편 삼국의 협력을 위해 동아프리카 공동체라는 기구가 만들어졌었다. 각국의 정치인들은 경제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공동체의 회원국들의 연방 구성에 대해서 논의했다. 1963년 8월 7일 삼국은 나이로비에서 ‘동아프리카 회의’를 가졌고, 이는 각국에서 연방 성립에 대한 국민투표를 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 처음에는 대부분 부정적인 반응이었으나, 경제위기가 점점 심해지자 대부분 연방 성립에 동의하는 쪽으로 기울어 결국 연방 성립에 동의하는 측이 더 많아졌다. 이후 연방건국위원회가 만들어져 연방 성립을 준비했다.

헌법 발표

연방건국위원회는 각 구성국의 법을 바탕으로 헌법을 쓰기 시작했다. 그 결과물이 1964년 1월 3일 발표된 동아프리카 연방 헌법이다. 권위주의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국민의 56%가 헌법에 찬성해 이 헌법은 통과되었다.

연방 건국

1964년 3월 1일 헌법의 일부 수정을 거친 뒤 연방 설립에 대한 준비가 되었다고 생각해 3월 4일 연방 완성을 선언했다.

첫 동아프리카 총선

1964년 3월 18일 첫 동아프리카 총선으로 사회민주주의 정당 동아프리카 인민회의, 진보주의 정당 진보주의 연맹(현재 동아프리카 진보연합의 시초), 그리고 보수정당인 민족의 당(현재 동아프리카 민족연합의 시초) 3당의 연립정부가 세워졌다.

잔지바르의 가입

1964년 술탄을 몰아내고 공화제로 전환된 잔지바르 인민공화국은 경제위기 때문에 연방 가입이 논의되었다. 1964년 4월 26일 국민투표의 결과로 70%가 연방 가입에 찬성했고 연방도 수락해 잔지바르는 자치공화국으로 편입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