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쉬/사회: 두 판 사이의 차이

< 페쉬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치안==
==치안==
페쉬의 치안은 세계적으로 좋다. 금융 중심지이자 중요한 강소국이어서 그런지 치안 관리가 잘 되어 있는 편이다. 범죄율을 보면 [[대한국]] 등과 비슷한 수준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페쉬의 치안은 나쁘지 않다. 금융 중심지이자 중요한 강소국이어서 그런지 치안 관리가 잘 되어 있는 편이다. 다만 후술할 민족 갈등들 때문에 시위들도 일어나고 무력 충돌들도 일어난다.


==국민성==
==국민성==
페쉬의 일반적인 국민성은 딱히 없다. 아주 내성적인 사람들도 많이 보이지만 아주 활발한 사람들도 많이 보인다. 아마 다민족 국가라는 점 때문에 사람들의 정서가 각각 다른 것이라고 한다.  
페쉬의 일반적인 국민성은 딱히 없다. 아주 내성적인 사람들도 많이 보이지만 아주 활발한 사람들도 많이 보인다. 다민족 국가라는 점 때문에 사람들의 정서가 각각 다른 것이라고 한다.  


==민족==
==민족==
===민족 구성===
===민족 구성===
시민권자들만 보면 19%가 페쉬 원주민, 18%가 영국계, 13%가 포르투갈계, 12% 스페인계, 10% 프랑스계, 9% 미국계 흑인, 8% 미국계 백인, 7% 중국계, 4% 아프리카계 흑인, 1%가 기타이다. 노동자들의 민족 구성은 32%가 유럽 개도국 출신, 29%가 남아시아 출신, 23%가 동남아시아 출신, 14%가 중앙아시아 출신, 10%가 중동 출신, 2%가 기타이다. 이렇게 인종 분포가 복잡한 편이다.


===민족 갈등===
===민족 갈등===
평화로운 국가이긴 하지만 지도층이 대부분 영국계라는 점에서 민족 갈등이 존재한다. 별로 없긴 하지만 민족주의 세력이 테러를 저지르거나 하기도 한다. 또한 인종차별 문제는 페쉬 사회의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페쉬에 별로 없는 아시아인들에 대한 인종차별은 덜하지만 원주민 등에 관련해 차별이 심화되고 있다.
이 국가는 민족주의가 상당히 심하며, 따라서 갈등들도 많이 일어난다. 또한 시민권자 국적 비율 10% 미만인 민족의 사람들에게 “자신이 차별받고 있다고 느끼는가”라는 설문조사를 했을 때 80%가 ‘예’라고 답했기도 했다. 이런 문제는 최대 비율을 차지하는 민족 페쉬 원주민들에게도 드러나는 편이다. 페쉬는 원주민들이 독립을 쟁취해낸 국가이며, 따라서 대부분의 원주민들은 국가의 시작이 자신들이라 생각하지만 최근 대부분의 직책에 영국계, 프랑스계가 들어가자 불편함을 느끼는 면이 있다고 한다.
 
===언어===
페쉬에선 [[페쉬어]], [[영어]]가 공용어이며,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아르노르어 등이 세계화 보조어라는 이름으로 제2공용어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몽골과 관계가 강화되면서 세계화 보조어에 등록될 예정이다.


==교육==
==교육==

2021년 8월 25일 (수) 12:48 판

페쉬의 사회.

치안

페쉬의 치안은 나쁘지 않다. 금융 중심지이자 중요한 강소국이어서 그런지 치안 관리가 잘 되어 있는 편이다. 다만 후술할 민족 갈등들 때문에 시위들도 일어나고 무력 충돌들도 일어난다.

국민성

페쉬의 일반적인 국민성은 딱히 없다. 아주 내성적인 사람들도 많이 보이지만 아주 활발한 사람들도 많이 보인다. 다민족 국가라는 점 때문에 사람들의 정서가 각각 다른 것이라고 한다.

민족

민족 구성

시민권자들만 보면 19%가 페쉬 원주민, 18%가 영국계, 13%가 포르투갈계, 12% 스페인계, 10% 프랑스계, 9% 미국계 흑인, 8% 미국계 백인, 7% 중국계, 4% 아프리카계 흑인, 1%가 기타이다. 노동자들의 민족 구성은 32%가 유럽 개도국 출신, 29%가 남아시아 출신, 23%가 동남아시아 출신, 14%가 중앙아시아 출신, 10%가 중동 출신, 2%가 기타이다. 이렇게 인종 분포가 복잡한 편이다.

민족 갈등

이 국가는 민족주의가 상당히 심하며, 따라서 갈등들도 많이 일어난다. 또한 시민권자 국적 비율 10% 미만인 민족의 사람들에게 “자신이 차별받고 있다고 느끼는가”라는 설문조사를 했을 때 80%가 ‘예’라고 답했기도 했다. 이런 문제는 최대 비율을 차지하는 민족 페쉬 원주민들에게도 드러나는 편이다. 페쉬는 원주민들이 독립을 쟁취해낸 국가이며, 따라서 대부분의 원주민들은 국가의 시작이 자신들이라 생각하지만 최근 대부분의 직책에 영국계, 프랑스계가 들어가자 불편함을 느끼는 면이 있다고 한다.

언어

페쉬에선 페쉬어, 영어가 공용어이며,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아르노르어 등이 세계화 보조어라는 이름으로 제2공용어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몽골과 관계가 강화되면서 세계화 보조어에 등록될 예정이다.

교육

페쉬의 교육 수준은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교육에 관해 상당히 투자하는 편이다.

노동

연간 평균 노동시간은 1,400시간으로 평균 이하이다. 그러나 자국민 노동자의 대우는 좋지만 외국인 노동자들에 대한 지원은 상당히 부족하다. 이것은 상당히 비판을 받는 점이다.

빈부격차

빈부격차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다만 자국민 한정으로 하면 지니계수는 0.35를 웃돌며 이 정도는 낮은 편이다. 외국인들에 대한 상당한 무시로 인해 빈부격차가 큰 것이다. 사실 부의 재분배 자체는 비리 없이 잘 진행되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