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가국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분류:센타크 공화국 분류:사상 분류:이론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b3862> '''이 문서는 아직 작성 중입니다.''' || == 개요 == 자...)
 
11번째 줄: 11번째 줄:
  
 
자주가국론의 핵심은 카국의 번영을 위해서는 강성대국들의 대대적인 각성과 회오가 필연적이며, 인원 재활용 방지 및 신규유입을 제1목표로 두고 있다.
 
자주가국론의 핵심은 카국의 번영을 위해서는 강성대국들의 대대적인 각성과 회오가 필연적이며, 인원 재활용 방지 및 신규유입을 제1목표로 두고 있다.
 +
 +
 +
== 특징 ==
 +
자주가국론은 카국을 기준으로 작성되어, 기본 대원칙 또한 카국을 중점으로 전개한다. 자주가국론은 카국의 부흥을 위해서는 카국 전체가, 하나 하나의 국가와 그 구성원들이 절대적인 자주권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어야 하며, 다른 계열의 세력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것을 '탈가국 반동행위(脫假國 叛動行爲, 이하 탈가국 행위)'라고 정의한다. 가국의 특성상 가국은 여러 변수적인 '방' 또는 '서버' 등의 단위의 세력이 뭉쳐 사회를 이루는 일종의 장르이고 계열이다. 이 장르는 같은 장르의 세력으로 이루어지는 사회 문명화와 문화 활동이 주(主)인데, 여기에 근본부터가 다른 계열의 세력이이 난입하면 문명화ㆍ문화 활동에 있어 타격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이 타격은 가국의 의미 자체를 퇴색시키며, 궁극적인 이데올로기를 후퇴시키고, 존재가치와 생산성이 저하되는 악영향을 야기한다. 즉, 타 계열ㆍ장르와의 과한 교류나 개입, 간섭은 소수의 일부 가국에는 일시적으로 득이 될 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얻는 것 없이 손해 뿐이거나 극소수의 강성대국만이 이익을 얻는 탈가국 행위라고 주장한다.
 +
 +
== 카국 침체기 ==
 +
=== 발생 원인 ===
 +
=== 강성대국들은 무엇을 했는가 ===
 +
=== 약소국들은 어떻게 되었는가 ===
 +
 +
== 카국의 문제점 ==
 +
=== 타 계열 간섭 ===
 +
=== 극단적 양극화 ===
 +
=== 인원 재활용 ===
 +
=== 주 연령층 ===
 +
=== 국제적 책임감 ===
 +
=== 외교 부재 ===

2021년 8월 26일 (목) 18:18 판

이 문서는 아직 작성 중입니다.

개요

자주가국론(自主假國論)은 '카카오톡 가상국가(이하 카국)'의 침체기로 인해 발생한 사변들과 이에 대한 원인 해석, 추후 방향성 개선을 위해 필요한 과업을 명시하는 이론이다.

자주가국론은 카국의 침체기가 과도기를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여러 강성대국의 복합적인 과실이며, 인원의 과도한 재활용과 강성대국 및 연합체의 과두화, 카국에 대한 타 계열사들의 지나친 개입이 카국을 더럽히고 있다고 주장한다.

자주가국론의 핵심은 카국의 번영을 위해서는 강성대국들의 대대적인 각성과 회오가 필연적이며, 인원 재활용 방지 및 신규유입을 제1목표로 두고 있다.

특징

자주가국론은 카국을 기준으로 작성되어, 기본 대원칙 또한 카국을 중점으로 전개한다. 자주가국론은 카국의 부흥을 위해서는 카국 전체가, 하나 하나의 국가와 그 구성원들이 절대적인 자주권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어야 하며, 다른 계열의 세력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것을 '탈가국 반동행위(脫假國 叛動行爲, 이하 탈가국 행위)'라고 정의한다. 가국의 특성상 가국은 여러 변수적인 '방' 또는 '서버' 등의 단위의 세력이 뭉쳐 사회를 이루는 일종의 장르이고 계열이다. 이 장르는 같은 장르의 세력으로 이루어지는 사회 문명화와 문화 활동이 주(主)인데, 여기에 근본부터가 다른 계열의 세력이이 난입하면 문명화ㆍ문화 활동에 있어 타격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이 타격은 가국의 의미 자체를 퇴색시키며, 궁극적인 이데올로기를 후퇴시키고, 존재가치와 생산성이 저하되는 악영향을 야기한다. 즉, 타 계열ㆍ장르와의 과한 교류나 개입, 간섭은 소수의 일부 가국에는 일시적으로 득이 될 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얻는 것 없이 손해 뿐이거나 극소수의 강성대국만이 이익을 얻는 탈가국 행위라고 주장한다.

카국 침체기

발생 원인

강성대국들은 무엇을 했는가

약소국들은 어떻게 되었는가

카국의 문제점

타 계열 간섭

극단적 양극화

인원 재활용

주 연령층

국제적 책임감

외교 부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