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가국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7번째 줄: 17번째 줄:
  
 
== 카국 침체기 ==
 
== 카국 침체기 ==
=== 발생 원인 ===
+
=== 발생 ===
 +
2020년 10월~2021년 4월 까지, 총 6개월에 걸친 카국 최대의 침체기 기간이다. (침체기는 현재도 진행형)
 +
 
 +
카국의 침체기는 과도한 타 계열 인원의 급속적인 유입과 간섭 증가, 본래 유저들이 연달아 카국을 떠나는 것으로 시작한다. 침체기의 절정은 2월~4월이다.
 +
=== 원인 ===
 +
2월 이후부터 약소국과 강성대국의 극심한 양극화로 인해 가국들의 존재 효율이 상당히 떨어져 기존 콘크리트층이 하나씩 떠나거나 비(非)개입을 선언하여 발생한 극심한 인력난, 외부 세력의 가국 토벌과 지나친 확장 정책 및 저 연령층 유입으로 인하여 일부 강성대국을 제외하곤 카국 전체가 백지화되었다. 카국 대부분의 인원은 이 때부터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소통률 또한 침체기 전에 비해 상당히 줄었다.
 +
 
 
=== 강성대국들은 무엇을 했는가 ===
 
=== 강성대국들은 무엇을 했는가 ===
 +
카국의 근본을 개혁하고 마땅한 국제 정책을 시행할 여력이 충분히 존재했던 일부 강성대국들이 있었음에도, 대부분의 카국들은 본 사태를 고치려 하지 않았으며, 회피와 부정, 또는 무관심으로 일관하였다. 이는 카국이 몰락과 붕괴로 이어지는 시간을 단축한 결정적인 계기이다.
 +
 
=== 약소국들은 어떻게 되었는가 ===
 
=== 약소국들은 어떻게 되었는가 ===
  

2021년 8월 26일 (목) 18:51 판

이 문서는 아직 작성 중입니다.

개요

자주가국론(自主假國論)은 '카카오톡 가상국가(이하 카국)'의 침체기로 인해 발생한 사변들과 이에 대한 원인 해석, 추후 방향성 개선을 위해 필요한 과업을 명시하는 이론이다.

자주가국론은 카국의 침체기가 과도기를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여러 강성대국의 복합적인 과실이며, 인원의 과도한 재활용과 강성대국 및 연합체의 과두화, 카국에 대한 타 계열사들의 지나친 개입이 카국을 더럽히고 있다고 주장한다.

자주가국론의 핵심은 카국의 번영을 위해서는 강성대국들의 대대적인 각성과 회오가 필연적이며, 인원 재활용 방지 및 신규유입을 제1목표로 두고 있다.

특징

자주가국론은 카국을 기준으로 작성되어, 기본 대원칙 또한 카국을 중점으로 전개한다. 자주가국론은 카국의 부흥을 위해서는 카국 전체가, 하나 하나의 국가와 그 구성원들이 절대적인 자주권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어야 하며, 다른 계열의 세력에 의해 좌지우지 되는 것을 '탈가국 반동행위(脫假國 叛動行爲, 이하 탈가국 행위)'라고 정의한다. 가국의 특성상 가국은 여러 변수적인 '방' 또는 '서버' 등의 단위의 세력이 뭉쳐 사회를 이루는 일종의 장르이고 계열이다. 이 장르는 같은 장르의 세력으로 이루어지는 사회 문명화와 문화 활동이 주(主)인데, 여기에 근본부터가 다른 계열의 세력이이 난입하면 문명화ㆍ문화 활동에 있어 타격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이 타격은 가국의 의미 자체를 퇴색시키며, 궁극적인 이데올로기를 후퇴시키고, 존재가치와 생산성이 저하되는 악영향을 야기한다. 즉, 타 계열ㆍ장르와의 과한 교류나 개입, 간섭은 소수의 일부 가국에는 일시적으로 득이 될 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얻는 것 없이 손해 뿐이거나 극소수의 강성대국만이 이익을 얻는 탈가국 행위라고 주장한다.

카국 침체기

발생

2020년 10월~2021년 4월 까지, 총 6개월에 걸친 카국 최대의 침체기 기간이다. (침체기는 현재도 진행형)

카국의 침체기는 과도한 타 계열 인원의 급속적인 유입과 간섭 증가, 본래 유저들이 연달아 카국을 떠나는 것으로 시작한다. 침체기의 절정은 2월~4월이다.

원인

2월 이후부터 약소국과 강성대국의 극심한 양극화로 인해 가국들의 존재 효율이 상당히 떨어져 기존 콘크리트층이 하나씩 떠나거나 비(非)개입을 선언하여 발생한 극심한 인력난, 외부 세력의 가국 토벌과 지나친 확장 정책 및 저 연령층 유입으로 인하여 일부 강성대국을 제외하곤 카국 전체가 백지화되었다. 카국 대부분의 인원은 이 때부터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소통률 또한 침체기 전에 비해 상당히 줄었다.

강성대국들은 무엇을 했는가

카국의 근본을 개혁하고 마땅한 국제 정책을 시행할 여력이 충분히 존재했던 일부 강성대국들이 있었음에도, 대부분의 카국들은 본 사태를 고치려 하지 않았으며, 회피와 부정, 또는 무관심으로 일관하였다. 이는 카국이 몰락과 붕괴로 이어지는 시간을 단축한 결정적인 계기이다.

약소국들은 어떻게 되었는가

카국의 문제점

타 계열 간섭

극단적 양극화

인원 재활용

주 연령층

국제적 책임감

외교 부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