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BU) |
(→유통BU) |
||
194번째 줄: | 194번째 줄: | ||
=== 유통BU === | === 유통BU === | ||
* [[롯데쇼핑 통합법인]] : [[롯데]]의 실질적 지주회사. 1979년 [[롯데백화점]]으로 시작해 다양한 분야로 확장했고, 2006년에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유통 괴물답게 다양한 사업으로 확장하고 있는데, 개별 사업부로 [[롯데마트]], [[롯데빅마켓|빅마켓]], [[롯데슈퍼]], [[토이저러스]][* 한국 라이선스] 등을 보유하고 있다. 2013년 1월 롯데미도파를 흡수 합병했다. 2018년 5월, [[롯데닷컴]]을 흡수 합병했다. 여러 계열사들의 지분을 가지고 있어서 지배 구조 개편과 관련된 핵심 계열사다.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슈퍼]], [[롯데e커머스]], [[롭스]]의 5개 사업부로 구성되어있으며 자회사로는 롯데GFR, 에프알엘코리아, 자라리테일코리아, 한국에스티엘, 씨에스유통, 롯데상사, 롯데멤버스 등이 있다. | * '''[[롯데쇼핑 통합법인]]''' : [[롯데]]의 실질적 지주회사. 1979년 [[롯데백화점]]으로 시작해 다양한 분야로 확장했고, 2006년에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유통 괴물답게 다양한 사업으로 확장하고 있는데, 개별 사업부로 [[롯데마트]], [[롯데빅마켓|빅마켓]], [[롯데슈퍼]], [[토이저러스]][* 한국 라이선스] 등을 보유하고 있다. 2013년 1월 롯데미도파를 흡수 합병했다. 2018년 5월, [[롯데닷컴]]을 흡수 합병했다. 여러 계열사들의 지분을 가지고 있어서 지배 구조 개편과 관련된 핵심 계열사다.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슈퍼]], [[롯데e커머스]], [[롭스]]의 5개 사업부로 구성되어있으며 자회사로는 롯데GFR, 에프알엘코리아, 자라리테일코리아, 한국에스티엘, 씨에스유통, 롯데상사, 롯데멤버스 등이 있다. | ||
* [[롯데하이마트]] : 전자제품 전문 매장 [[하이마트]]를 운영하는 회사. [[대우그룹]]의 위장계열사에서 시작하여, [[유진그룹]]의 계열사에서 2012년 롯데로 넘어왔다. 산하에 있던 하이마트로지텍과 하이마트쇼핑몰은 소규모 흡수합병했다. | * '''[[롯데하이마트]]''' : 전자제품 전문 매장 [[하이마트]]를 운영하는 회사. [[대우그룹]]의 위장계열사에서 시작하여, [[유진그룹]]의 계열사에서 2012년 롯데로 넘어왔다. 산하에 있던 하이마트로지텍과 하이마트쇼핑몰은 소규모 흡수합병했다. | ||
* [[롯데홈쇼핑]] : [[롯데쇼핑]]이 2001년 홈쇼핑 사업을 추진하면서 세운 회사. 2005년 [[롯데온라인쇼핑]]에서 [[롯데홈쇼핑]]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 * '''[[롯데홈쇼핑]]''' : [[롯데쇼핑]]이 2001년 홈쇼핑 사업을 추진하면서 세운 회사. 2005년 [[롯데온라인쇼핑]]에서 [[롯데홈쇼핑]]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 ||
* [[롯데글로벌로지스]] : 1988년 설립된 물류회사로, 2016년 11월 롯데로지스틱스가 인수했다. 기존 사명인 [[현대로지스틱스]]에서 롯데글로벌로지스로 변경하였고, 브랜드명인 [[현대택배]]도 [[롯데택배]]로 변경하였다. 2019년 3월, 롯데로지스틱스와 합병했다. | * '''[[롯데글로벌로지스]]''' : 1988년 설립된 물류회사로, 2016년 11월 롯데로지스틱스가 인수했다. 기존 사명인 [[현대로지스틱스]]에서 롯데글로벌로지스로 변경하였고, 브랜드명인 [[현대택배]]도 [[롯데택배]]로 변경하였다. 2019년 3월, 롯데로지스틱스와 합병했다. | ||
* [[롯데자산개발]] | * '''[[롯데자산개발]]''' | ||
=== 화학BU === | === 화학BU === |
2021년 10월 16일 (토) 14:47 판
역대 롯데 회장 | |
신격호 | 신동빈 |
롯데 LOTTE | ロッテ | |
![]() | |
슬로건 | Lifetime Value Creator |
한글 명칭 | 롯데 |
영문 명칭 | LOTTE |
설립일 | 1967년 3월 24일 |
본사 | ![]() |
주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00 |
창업주 | 신격호 |
회장 | 신동빈 |
유형 | 대기업, 다국적 기업 |
산업 | 유통, 화학, 서비스, 통신, 교육 |
시가총액 | 61조 7898억원 |
개요
롯데(LOTTE)는 대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 근거지를 둔 대기업 집단이다. 본사는 대한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 롯데월드타워에 있다. 롯데는 2021년 기준 대한국 재계서열 3위이다.
사명
CHARLOTTE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샤롯데 독일이 낳은 세계적인 문호 괴테가 25세에 쓴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 나오는 샤롯데는 빼어난 미모의 소유자일뿐만 아니라 재덕도 겸비한 여자 주인공으로 누구나 그녀의 청순한 매력에 사로잡히게 됩니다. 그래서 누구나 그녀를 사랑할 수 밖에 없는 혹은 사랑 받을 자격이 충분한 대상으로 생각하게 됩니다. 그런 취지에서 모든 제품을 이 여주인공처럼 영원히 매력적이고, 사랑스럽고 친숙한 제품으로 만드는 회사가 되겠다는 의미에서 '롯데'라는 이름이 탄생하였습니다. |
롯데에서 홈페이지를 통해 공식적으로 밝히는 사명의 유래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의 등장인물 샤롯데라고 한다. 회사 측의 홍보 덕분에 언론을 통해서도 자주 소개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알고 있다. 참고로 롯데에서 지은 뮤지컬 전용 공연장인 샤롯데씨어터에서는 단 한번도 베르테르 뮤지컬이 공연된 적이 없다.
다만, 다른 가설들도 존재한다. 하나는 세계 최대의 껌 제조사인 미국 리글리(Wrigley)의 초창기 껌 브랜드인 'Lotta' 리글리는 초창기 두 브랜드를 사용했는데 하나는 어린이와 남성을 위한 Lotta 껌이고 다른 하나는 여성을 위한 Vassar 껌이다.를 모방했다는 설이다. 이런 의혹이 나온 이유는 단순히 발음이나 스펠링이 비슷해서가 아니다. 롯데는 리글리의 대표작 Juicy Fruit, Doublemint, Spearmint 3종을 그대로 베껴 롯데를 대표하는 롯데껌 3총사, 즉 쥬시후레쉬, 후레쉬민트, 스피아민트를 발매한 전력이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영어의 lottery에서 비롯된 제비뽑기, 즉 행운을 담은 뜻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그 하나다. 집단의 자본이 모여 형성된 기업의 태생을 감안하여, 성공을 향한 경제인들의 발걸음에 운도 함께 하기를 희망했다는 게 대략적인 내용이나 1990년대 전후로 이 유래는 사장되어 언급되지 않는다.
기업정신
- 사훈. 1980년 5월 1일 제정 후 2009년까지 주로 썼다.
사랑, 자유, 풍요를 지향하는 롯데: 정직, 봉사, 정열 |
- 미션. 2013년 제정.
사랑과 신뢰를 받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류의 풍요로운 삶에 기여한다 |
- 2018 ASIA TOP 10 글로벌 그룹 (2009~2017)
- 경영방침
핵심역량 강화, 현장경영, 인재양성, 브랜드경영 |
- 핵심가치
고객중심, 창의성, 협력, 책임감, 열정 |
- Lifetime Value Creator (2017~ )
- 질적성장 가이드라인
지속가능한 성장률 확보,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미래가치 창출, 사회적 가치 지향 |
- 핵심가치
Beyond Customer Expectation, Challenge, Respect, Originality |
롯데의 노래
그룹가. 작사는 김남조, 작곡은 최창권이 맡았으며, 1980년 10월 30일에 제정되었다.
(1절) 하늘이 지켜주신 땀의 영광과 불멸의 여름장미 장한 의지로 사랑과 자유와 풍요의 길을 열어 만인의 행복 우리의 신앙이네 오오 롯데 사철푸른 월계수 성숙의 롯데 롯~데 롯데 (2절) 시대의 바른 뜻을 거울 삼아서 진선미 높은 품위 가꾸는 의지 정직과 봉사와 피끓는 열정으로 인격의 평등 우리의 양심이네 오오 롯데 민주시민의 샘터 매혹의 롯데 롯~데 롯데 (3절) 위로의 어진 달빛 그 이름이니 모든 이 마음 속에 구원의 여상 공동선 큰 정신 만방에 파도쳐서 광명한 천지 우리의 축원이네 오오 롯데 세계와 함께 가는 전진의 롯데 롯~데 롯데 |
역대 슬로건
- 사랑과 자유와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는 롯데 (1986~1998)
- 함께 가는 친구 롯데 (2017~2021.6 )
- 오늘을 새롭게, 내일을 이롭게(New Today, Better Tomorrow) (2021.7~) 2021년 7월부터 바뀌었지만, 이전 슬로건(함께 가는 친구 롯데)도 여러 계열사나 자사 홈페이지에서도 사용된다.
역대 로고
경영진
회장급
부회장급
사장급
- 김교현 (화학 BU장 겸 롯데케미칼 대표이사 사장)
- 이영구 (식품 BU장)
- 윤종민 (롯데인재개발원 원장)
- 박현철 (롯데지주 경영개선실장)
- 이봉철 (호텔·서비스BU장)
- 오성엽 (롯데지주 커뮤니케이션실장)
- 이동우 (롯데지주 대표이사 사장)
- 하석주 (롯데건설 대표이사 사장)
- 이자형 (롯데첨단소재 대표이사 사장)
- 이석환 (롯데자이언츠 대표이사 사장)
- 김용수 (롯데중앙연구소 소장)
- 허성관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겸 롯데복지재단 이사장)
역대 임원
그룹 참모 조직은 서류상 계열사 명의로 되어있다.
- 롯데그룹 명예회장
- 신격호 (2018~2020)
- 총괄회장
- 신격호 (2011~2018)
- 롯데그룹 회장
- 신격호 (1978~2011)
- 신동빈 (2011~ )
- 롯데그룹 운영본부장
- 신준호 (1978~1981)
- 롯데그룹 기획조정실장
- 하태준 전 중앙정보부 차장보. (1981~1992)
- 김옥진 (1992~1993)
- 김병일 (1993~1998)
- 롯데그룹 경영관리본부 서류상 호텔롯데임.장
- 신동인, 김병일 (1998~2004)
- 롯데그룹 정책본부 서류상 롯데쇼핑임.장
- 신동빈 (2004~2011)
- 이인원 (2011~2016)
- 롯데그룹 경영혁신실장
- 이인원 (2017~ )
- 롯데그룹 화학BU장
- 허수영 (2017~2018)
- 김교현 (2019~ )
- 롯데그룹 유통BU장
- 이원준 (2017~2019)
- 강희태 (2020~ )
- 롯데그룹 호텔/서비스BU장
- 송용덕 (2017~2019)
- 이봉철 (2020~ )
- 롯데그룹 통신BU장
- 이재혁 (2017~2018)
- 이영호 (2018~2020)
- 이영구 (2021~ )
- 롯데그룹 교육BU장
- 민명기 (2020~)
현황
지주사 | 자산 | 매출액현황 | 계열사수 | |||||
유통 | 화학/건설/제조 | 호텔/관광/서비스 | 통신 | 교육 | 합계 | |||
롯데홀딩스 | 243조 9820억 | 42조 | 38조 | 21조 | 22조 | 0.5조 | 123.5조 | 91개 |
참모 조직
1979년 그룹 산하에 운영본부가 세워진 게 참모 조직의 시초다. 1981년 '기획조정실'로 바뀌어 소임을 다해오다 1998년 해체 후 경영관리본부를 호텔롯데 산하에 설치했다. 2004년에는 경영본 대신 '정책본부'를 롯데쇼핑 산하에 설치했으나 2017년 명칭을 '경영혁신실'로 바꾸고 롯데홀딩스 출범 후 관련 조직들을 그 회사 산하에 두었다.
계열사
지주회사
- 롯데홀딩스 : 1967년에 설립된 롯데의 지주회사. 2017년 10월에 롯데지주에서 사명을 변경했다. 주요 계열사인 롯데케미칼, 롯데쇼핑, 롯데엘티에스, 호텔롯데를 각각 투자와 사업부문으로 인적분할한 후, 롯데쇼핑 투자부문을 중심으로 합병하여 지주회사로 전환하였다. 2018년 2월에 롯데로지스틱스투자, (구)롯데상사, (구)대홍기획, 롯데지알에스, 롯데아이티테크와 2차 합병을 했다. 2019년 8월 일본 롯데홀딩스를 최종 합병하며 일본 롯데의 합병 절차를 완료했다. 이로써 롯데그룹은 한국기업으로 완전히 전환되었으며 기존 일본 롯데그룹 본사는 일본지사로 변경되었다
유통BU
- 롯데쇼핑 통합법인 : 롯데의 실질적 지주회사. 1979년 롯데백화점으로 시작해 다양한 분야로 확장했고, 2006년에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유통 괴물답게 다양한 사업으로 확장하고 있는데, 개별 사업부로 롯데마트, 빅마켓, 롯데슈퍼, 토이저러스 한국 라이선스 등을 보유하고 있다. 2013년 1월 롯데미도파를 흡수 합병했다. 2018년 5월, 롯데닷컴을 흡수 합병했다. 여러 계열사들의 지분을 가지고 있어서 지배 구조 개편과 관련된 핵심 계열사다.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슈퍼, 롯데e커머스, 롭스의 5개 사업부로 구성되어있으며 자회사로는 롯데GFR, 에프알엘코리아, 자라리테일코리아, 한국에스티엘, 씨에스유통, 롯데상사, 롯데멤버스 등이 있다.
- 롯데하이마트 : 전자제품 전문 매장 하이마트를 운영하는 회사. 대우그룹의 위장계열사에서 시작하여, 유진그룹의 계열사에서 2012년 롯데로 넘어왔다. 산하에 있던 하이마트로지텍과 하이마트쇼핑몰은 소규모 흡수합병했다.
- 롯데홈쇼핑 : 롯데쇼핑이 2001년 홈쇼핑 사업을 추진하면서 세운 회사. 2005년 롯데온라인쇼핑에서 롯데홈쇼핑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 롯데글로벌로지스 : 1988년 설립된 물류회사로, 2016년 11월 롯데로지스틱스가 인수했다. 기존 사명인 현대로지스틱스에서 롯데글로벌로지스로 변경하였고, 브랜드명인 현대택배도 롯데택배로 변경하였다. 2019년 3월, 롯데로지스틱스와 합병했다.
- 롯데자산개발
화학BU
호텔&서비스BU
통신BU
교육BU
계열 분리
- 국제신문: 부산의 지방 일간지다. 경영난을 겪던 국제신문을 롯데가 1990년 인수해 직접 운영에 나섰다가, 1999년 그룹에서 분리했다. 다만, 형식상 신라장학재단 등으로 소유권이 넘어갔으나 롯데 계열 임원이 낙하산으로 내려오는 등의 상황이었고, 2006년 능인선원으로 넘어갔다.
- 롯데관광, 롯데관광개발: 신정희의 남편 김기병이 회장을 맡는 'LT그룹'의 주축이며, 창업 초기에는 롯데그룹 사보에 계열사로 실리기도 했던 그룹 계열사로 1982년에 계열분리되어 독자적으로 운영했으나, '쓰리엘' 로고는 여전히 쓰여서 그룹측이 2007년에 관광·여행 부문 계열사 롯데JTB를 설립하면서 상표권분쟁을 벌였고, '쓰리엘' 로고 사용은 불허하되 '롯데' 상호는 사용 가능으로 합의했다. 롯데그룹과는 지분 관계가 없는 별개의 회사다.
- 롯데우유(현 푸르밀), 대선건설, 대선주조: 신격호의 동생 신준호는 한국롯데 부회장으로서, 신동빈이 등장하기 전까지 한국에서 신격호의 대리인 역할이었다. 그러나 1996년 부동산실명제가 실시되면서 신준호 명의의 부동산(서울 양평동 롯데제과용지)을 법인명의로 전환하는 것에 반발하며 법적분쟁끝에 패배했고, 롯데햄우유 부회장으로 좌천되었다. 2007년 4월 유업사업부를 분사, 롯데우유를 설립하여 롯데그룹에서 독립했다. 롯데그룹에서 '롯데' 상호 사용 금지를 요구받고 2009년 푸르밀로 사명을 변경했다. 다만 같이 들고 갔던 대선주조는 2010년 코너스톤에쿼티파트너스로 팔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