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회 2021 UIFA 월드컵 노르뒤르센다: 두 판 사이의 차이

92번째 줄: 92번째 줄:
|| [[파일:Flag of England.png|width=30]] ||<width=25%> 잉글랜드 ||<width=10%> 5회 ||<width=10%> 준우승 ||<width=10%> UEFC || [* [[제4회 2020 UIFA 월드컵 뉴질랜드|2020년 대회]]에서는] 웨일스 대표팀과 연합하여 출전 ||
|| [[파일:Flag of England.png|width=30]] ||<width=25%> 잉글랜드 ||<width=10%> 5회 ||<width=10%> 준우승 ||<width=10%> UEFC || [* [[제4회 2020 UIFA 월드컵 뉴질랜드|2020년 대회]]에서는] 웨일스 대표팀과 연합하여 출전 ||
|| [[파일:Flag of Hokkaido.png|width=30]] ||<width=25%> 에조치 ||<width=10%> 첫출전 ||<width=10%> - ||<width=10%> CAOF || - ||
|| [[파일:Flag of Hokkaido.png|width=30]] ||<width=25%> 에조치 ||<width=10%> 첫출전 ||<width=10%> - ||<width=10%> CAOF || - ||
|| [[파일:Flag of Faroe Islands.png|width=30]] ||<width=25%> 페로 제도 ||<width=10%> 2회 ||<width=10%> 16강 ||<width=10%> UEFC || - ||
|| [[파일:Flag of Faroe Islands.svg|width=30]] ||<width=25%> 페로 제도 ||<width=10%> 2회 ||<width=10%> 16강 ||<width=10%> UEFC || - ||


참가횟수는 본 대회까지 포함하여 계산하였다.
참가횟수는 본 대회까지 포함하여 계산하였다.

2021년 11월 6일 (토) 23:10 판

V 2021 UIFA Heimsmeistaramót NORÐURSENDA 아이슬란드어
V 2020 UIFA Verdensmesterskabet NORDYRSENTA 덴마크어
width=70%
width=70%
EITT HUGUR, EITT HJARTA SEM SLÆR FYRIR HEIMINN 아이슬란드어: 하나의 마음, 하나의 심장, 세계를 향해 요동치는.
대회기간 2020년 7월 31일 ~ 8월 31일
개최지 노르뒤르센다
마스코트 -
주제가 Tyrkjaránið 현실 아이슬란드의 전통음악
공인 소프트웨어 PES 2021 모바일
피파 온라인 4
참가팀 ?개팀
PES 부문 - 32개팀
피파온라인 부문 - ?팀 ?명
대회 결과
우승
준우승
3위
4위
연표
2020년
뉴질랜드 왕국
2021년
노르뒤르센다
2022년
미정

개요

2021년에 5번째로 개최되는 UIFA 월드컵.

2021 UIFA 인터네이션스 슈퍼컵

지난 대회에 이어, 본 대회의 전초전 성격으로 UIFA 인터네이션스 슈퍼컵이 개최된다.

대회 상징

대회 엠블럼

Norðursenda2021.png

  • 전체적인 형상은 새로운 UIFA 월드컵 트로피 디자인의 기반이 되는 방패를 형상화.
  • 푸른색은 얼음을 붉은색은 불꽃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으로, 얼음과 불의 땅 노르뒤르센다 제도를 상징.
  • 푸른 얼음 사이로 뿜어져 나오는 불꽃은 화산섬들이 모인 노르뒤르센다의 활발한 지질 활동을 나타냄.
  • V 형태로 배치된 푸른 문양은, 로마 숫자 V를 나타내어 이번 대회가 제5회 대회임을 상징.
  • 4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진 것은, 노르뒤르센다 제도의 각 섬들(아이슬란드, 발회틀란트, 아스카스피아틀란트, 뢰이뷔그드라실스)을 상징.

공식 포스터

Norðursenda2021poster.jpg 노르뒤르센다 제도의 4개의 주요 섬들을 나타낸 포스터. 좌측 상단은 아이슬란드(Ísland)섬, 우측 상단은 발회틀란트(Valhölland)섬, 좌측 하단은 아스카스피아틀란트(Askasfjalland)섬, 우측 하단은 뢰이뷔그드라실스(Lauvyggdrasils)섬을 상징한다.

Norðursenda2021poster runes.jpg 룬문자로 표기된 노르드어 포스터. 노르뒤르센다 왕국 제1의 공용어인 아이슬란드어는 고대 노르드어의 흔적을 매우 잘 보존하고 있는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런 고대 노르드어는 룬문자로 표기되기도 했다.

NorsenHM2021poster2.png 또한 UIFA의 공인을 받은 또 다른 포스터로 일종의 외주 제작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제작자 닉네임: 黃柔華/Kou

주제곡

개최 경기장

PES 부문

피파온라인 부문

PES 부문

예선

Poster2021wcq.jpg 이번 대회는 사상 처음으로 참가 가능 최대 인원보다 참가 희망자가 많은 대회로, 이에 따라 최초로 제대로 된 월드컵 예선전을 실시한다. 예선 실시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참가팀: UIFA 준회원국 6개국 대표팀.
  • 예선전 실시 방식: 6개팀을 3팀씩 2개조로 나누어 중립구장에서 진행. 각조 2위까지 본선에 직행. 각조 3위는 두 팀간 단판 플레이오프를 진행하여 승자가 본선 진출.

본래 3위팀들은 그대로 탈락했으나, 스칸디나비아 공화국의 불참으로 한 자리가 더 생겨 위와 같은 방식으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7월 27일, 대고구려의 기권으로 예선은 조기 종료되었고 나머지 모든 팀이 본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 A조: 웨일스, 대고구려 제국, 바르샤바 자유시
  • 제1경기 - 웨일스 3:0 대고구려
  • 제2경기 - 대고구려 제국 0:3 바르샤바 자유시 몰수 게임
  • 제3경기 - 바르샤바 자유시 0:0 웨일스 몰수 게임
  • 최종 순위
순위팀명승점득점실점비고
1웨일스430Q
1바르샤바430Q
3팀명006기권

-* B조: 프랑스 제국, 레이뷔르슬란트, 핑랜드- -* 제1경기 - 프랑스 제국 : 레이뷔르슬란트--* 제2경기 - 레이뷔르슬란트 : 핑랜드--* 제3경기 - 핑랜드 - 레이뷔르슬란트-

  • 플레이오프
  • 대고구려 0:3 레이뷔르슬란트 몰수 게임

추첨을 통해 B조 팀들 중 명목상 플레이오프를 거칠 팀을 정했고 그 결과 뽑힌 레이뷔르슬란트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대고구려를 상대로 부전승 처리 되었다.

본선 진출팀

HM2021 출전팀.png

국가 및 팀명진출횟수최고성적대륙연맹비고
Flag of Iceland.png노르뒤르센다4회우승 2019.02UEFC개최국
METRO(1).png메트로사이버공화국5회 개근팀우승 2018FEDNATS 지난 대회 우승팀 멕시코의 국가 멸망으로 디펜딩 챔피언 자격 승계
Flag of Algeria.png알제리첫출전-UEFC-
Flag of German Empire.png북독일3회16강UEFC-
Viceroyalty of Denmark.png덴마크 부왕령3회16강UEFC-
Flag of England.png잉글랜드5회준우승UEFC 2020년 대회에서는 웨일스 대표팀과 연합하여 출전
Flag of Hokkaido.png에조치첫출전-CAOF-
Flag of Faroe Islands.svg페로 제도2회16강UEFC-

참가횟수는 본 대회까지 포함하여 계산하였다.

본선 진행

피파온라인 부문

이야기거리

각종 기록

  • 역대 UIFA 월드컵 대회 중 (지구가 아닌 외계행성이라는 설정의 메트로사이버공화국에서 열린 대회를 제외하면), 역대 최북단에서 열리게 되는 대회가 되었다. 종전 기록은 제3회 2019.07 UIFA 월드컵 브리튼 유나이티드였으며 각 경기장들 중 최북단에 있는 경기장의 위도가 55도 57분 42초, 본 대회의 경기장들 중 가장 북쪽에 소재하는 에이일스타디르 경기장의 경우 북위 65도 26분 18초에 소재한다.
  • 역대 최초로 32강 조별리그 체제로 진행되는 대회이다. 제1회 대회 이후 참가자 수가 계속 확대되어온 UIFA 월드컵 역대 대회들 중 다시 한번 최다 참가팀 수 기록을 경신하며, 4년 연속으로 대회를 확장시키는데 성공했다. 제1회 대회에는 11개팀이, 제2회 대회에는 12개팀이, 제3회 대회에는 28개팀(두 부문을 합친 값으로 PES 부문에 24개팀, 피파온라인 부문에 13개팀 13명 참여. 당시에는 피파온라인 부문도 팀 명의로 출전.)이 참가하였으며, 그리고 제4회 대회에는 똑같이 28개팀이 참여하였으나 PES 부문 참가자 수만 놓고보면 4개팀이 늘었기에 실질적으로 참가팀이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 설정상으로르, 새로운 트로피 디자인이 적용되는 첫 대회이다. 현실의 '쥘 리메 컵'과 같은 디자인이 아닌 방패형 디자인의 트로피가 최초로 사용된다.
  • 또 어찌보면 제대로 된 예선전을 치르는 대회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볼 수도 있다. 제3회 대회 당시의 예선전은 소위 '부적격자'들을 솎아내거나 쫓아내어 최소한으로 대회에 참가시키려는 의도가 컸던 편이다. 하지만 이번 대회 예선전은 참가국 숫자의 조절을 통한 원활한 조편성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 더 크다고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