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풍 세계관/국가/아프리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북아프리카'''==
=='''북아프리카'''==
===1.이집트===
===1.이집트===
* '''집권이념:군사정부(전제주의)'''
===2.알제리===
===2.알제리===
===3.모로코===
===3.모로코===
===4.리비아계 세력===
===4.리비아계 세력===
====4.1.트리폴리티나 통합정부====
====4.1.트리폴리티나 통합정부====
* '''집권이념:전제주의'''
* '''집권이념:일인독재(전제주의)'''
====4.2.카레니카 군사정부====
====4.2.카레니카 군사정부====
* '''집권이념:파시즘(리비아 국군)'''
* '''집권이념:포퓰리즘적 군사정부(포퓰리즘,리비아 국군)'''
====4.3.가트 투아라====
====4.3.가트 투아라====
* '''집권이념:전제주의'''
* '''집권이념:군벌(전제주의,투아레그 민족 전선)'''
====4.4.트리폴리의 구원을 위한 국민 전선====
====4.4.트리폴리의 구원을 위한 국민 전선====
*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Front_for_the_Salvation_of_Libya NFST])'''
* '''집권이념:과도정부(권위민주주의,[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Front_for_the_Salvation_of_Libya NFST])'''


2018년 회담에서 통합정부 가 선거를 통한 내전 종식을 선언 하고 군사정부 의 지도자인 사이프 알 이슬람 카다피 까지 참가 하자 이에 반발한 아랍의 봄 관련자 들이 반란을 일으켜 생긴 국가.
2018년 회담에서 통합정부 가 선거를 통한 내전 종식을 선언 하고 군사정부 의 지도자인 사이프 알 이슬람 카다피 까지 참가 하자 이에 반발한 아랍의 봄 관련자 들이 반란을 일으켜 생긴 국가.
34번째 줄: 35번째 줄:


===2.카자마렌드===
===2.카자마렌드===
* '''집권이념:전제주의(카자망스 공화당)'''
* '''집권이념:일인독재(전제주의,카자망스 공화당)'''
지도자는 아다마 사네
지도자는 아다마 사네


41번째 줄: 42번째 줄:
===3.월로피아===
===3.월로피아===
===4.말리 연방===
===4.말리 연방===
* '''집권이념:전제주의(말리 군부)'''
* '''집권이념:군사정부(전제주의,말리 군부)'''


[https://en.wikipedia.org/wiki/Assimi_Go%C3%AFta 이사미 고이타] 가 집권한 서아프리카 의 국가
[https://en.wikipedia.org/wiki/Assimi_Go%C3%AFta 이사미 고이타] 가 집권한 서아프리카 의 국가
60번째 줄: 61번째 줄:
* '''집권이념:권위사회주의(알르하파 전선)'''
* '''집권이념:권위사회주의(알르하파 전선)'''


===14.카넴국===
===14.보르누===
* '''이념:전제주의(차드군)'''
* '''이념:군사정부(전제주의,차드군)'''


[https://en.wikipedia.org/wiki/Mahamat_D%C3%A9by 마하마트 데비] 가 이끄는 군정 국가
[https://en.wikipedia.org/wiki/Mahamat_D%C3%A9by 마하마트 데비] 가 이끄는 군정 국가
68번째 줄: 69번째 줄:


===15.탄젤라 공화국===
===15.탄젤라 공화국===
* '''집권이념:사회민주주의([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Union_for_Democracy_and_Renewal 민주 재생 연맹])'''
* '''집권이념:과도정부(권위민주주의,[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Union_for_Democracy_and_Renewal 민주 재생 연맹])'''
* '''멸망문구'''
* '''멸망문구'''
{{{Even if the world is ruined, do justice.
{{{Even if the world is ruined, do justice.
86번째 줄: 87번째 줄:
====1.2.콩고 인민 공화국====
====1.2.콩고 인민 공화국====
====1.3.샤레지카 의용단====
====1.3.샤레지카 의용단====
* '''집권이념:파시즘(교권회)'''
* '''집권이념:전체군국주의(초국가주의,교권회)'''


벨기에 네오나치 탈영병인 위르겐 코닝스가 벨기에에서 탈출한후 콩고 샤레지캬 지역으로 입국해 만든 네오나치들이 만든 사실상 최초의 (유사)국가다.
벨기에 네오나치 탈영병인 위르겐 코닝스가 벨기에에서 탈출한후 콩고 샤레지캬 지역으로 입국해 만든 네오나치들이 만든 사실상 최초의 (유사)국가다.
99번째 줄: 100번째 줄:
=='''동아프리카'''==
=='''동아프리카'''==
===1.소말리아 행정부===
===1.소말리아 행정부===
*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UFN과도행정처) '''
* '''집권이념:군사 위임통치령(권위민주주의,UFN과도행정처) '''
* '''UFN의 임시행정부'''
* '''UFN의 임시행정부'''
* '''국가정신'''
* '''국가정신'''
126번째 줄: 127번째 줄:


===2.동아프리카 연방===
===2.동아프리카 연방===
* '''집권이념:사회민주주의([https://ko.wikipedia.org/wiki/%ED%83%84%EC%9E%90%EB%8B%88%EC%95%84_%ED%98%81%EB%AA%85%EB%8B%B9 연방 혁명당]-[https://namu.wiki/w/%EC%A3%BC%EB%B9%8C%EB%A6%AC%EB%8B%B9 주빌리당])'''
* '''집권이념:급진민주주주의(사회민주주의,[https://ko.wikipedia.org/wiki/%ED%83%84%EC%9E%90%EB%8B%88%EC%95%84_%ED%98%81%EB%AA%85%EB%8B%B9 연방 혁명당]-[https://namu.wiki/w/%EC%A3%BC%EB%B9%8C%EB%A6%AC%EB%8B%B9 주빌리당])'''
* '''플레이요소'''
* '''플레이요소'''
{{{-연방을 어떤방법 으로든 유지 시키십시오
{{{-연방을 어떤방법 으로든 유지 시키십시오
150번째 줄: 151번째 줄:
=='''남아프리카'''==
=='''남아프리카'''==
===1.남아프리카 공화국===
===1.남아프리카 공화국===
* '''집권이념:사회민주주의([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D%94%84%EB%A6%AC%EC%B9%B4_%EA%B5%AD%EB%AF%BC%ED%9A%8C%EC%9D%98 아프리카 국민회의])'''
* '''집권이념:민주사회주의(사회민주주의,[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D%94%84%EB%A6%AC%EC%B9%B4_%EA%B5%AD%EB%AF%BC%ED%9A%8C%EC%9D%98 아프리카 국민회의])'''

2021년 11월 26일 (금) 21:44 판

북아프리카

1.이집트

  • 집권이념:군사정부(전제주의)

2.알제리

3.모로코

4.리비아계 세력

4.1.트리폴리티나 통합정부

  • 집권이념:일인독재(전제주의)

4.2.카레니카 군사정부

  • 집권이념:포퓰리즘적 군사정부(포퓰리즘,리비아 국군)

4.3.가트 투아라

  • 집권이념:군벌(전제주의,투아레그 민족 전선)

4.4.트리폴리의 구원을 위한 국민 전선

  • 집권이념:과도정부(권위민주주의,NFST)

2018년 회담에서 통합정부 가 선거를 통한 내전 종식을 선언 하고 군사정부 의 지도자인 사이프 알 이슬람 카다피 까지 참가 하자 이에 반발한 아랍의 봄 관련자 들이 반란을 일으켜 생긴 국가.

서아프리카

1.가나

-부패한 공권력
   -우주개발 투자
   -ICT단지 
  • 정부
-국민민주회의(사회민주주의) 40%
   -신애국당(보수민주주의) 40%
   -대통합대중당(자유민주주의) 15%
   -전당대회 인민당(전제주의) 5% 

지도자는 아시에두 응케티아

서아프리카 국가 중에서 몇 안되는 민주주의적 체제로 안정되어 있는 국가.

2.카자마렌드

  • 집권이념:일인독재(전제주의,카자망스 공화당)

지도자는 아다마 사네

카자망스 지역이 독립하면서 생긴국가 로 국제법상 으론 미승인국이다.

3.월로피아

4.말리 연방

  • 집권이념:군사정부(전제주의,말리 군부)

이사미 고이타 가 집권한 서아프리카 의 국가

2021년 이후 친중성향 의 말리 정부 를 쿠데타 로 엎어 버리고 집권한 뒤 고립주의 와 포풀리즘 정책으로 서아프리카 의 같은 군정 국가인 카넴 과 더불어 북한 처럼 되었다.

5.아와자드

6.도곤

7.부르키나 파소

8.시에라리온

9.라이베리아

10.코트디부아르

11.그벨란드 연방

12,나이지리아

13,니제르

13.1.자유 의용단

13.2.알르하파 전선

  • 집권이념:권위사회주의(알르하파 전선)

14.보르누

  • 이념:군사정부(전제주의,차드군)

마하마트 데비 가 이끄는 군정 국가

이드리스 데비 가 2021년 에 사망한후 그의 아들인 마하마트 가 집권하며 의회를 해산하자 오랜 독재에 지친 국민들 이 반란을 일으켜 1년 간 내전을 하였다. 그후 반군이 점령한 남쪽 지역은 따로 독립 하고 군사정부 는 북쪽을 확보 하여 차드는 분단 되었다.

15.탄젤라 공화국

Even if the world is ruined, do justice.
   세상이 망할지라도 정의를 행하라. 

살레 케자보 가 이끄는 차드 민주주의 세력

16.카메룬

중앙아프리카

1.콩고계 세력

1.1.콩고 민주 공화국

  • 집권이념:자유민주주의(국가재건당)

현실에서는 콩고의 사회운동가 이자 노벨평화상을 수상 받은 드니 무퀘게 가 대통령인 국가

1.2.콩고 인민 공화국

1.3.샤레지카 의용단

  • 집권이념:전체군국주의(초국가주의,교권회)

벨기에 네오나치 탈영병인 위르겐 코닝스가 벨기에에서 탈출한후 콩고 샤레지캬 지역으로 입국해 만든 네오나치들이 만든 사실상 최초의 (유사)국가다.

1.4.바쿠부

1.5.카탕가국

1.6.카사디아

1.7.누자크 해방전선

2.콩고 브라자빌

동아프리카

1.소말리아 행정부

  • 집권이념:군사 위임통치령(권위민주주의,UFN과도행정처)
  • UFN의 임시행정부
  • 국가정신
-소말리아인들 의 정신
   -무정부 사태
   -참을수 없는 혼란 
  • 정부
-UFN과도행정처(권위민주주의) 40%
   -평화개발당(보수민주주의) 20%
   -나바드 이요 놀롤(자유민주주의) 15%
   -소말리 노동당(사회민주주의) 5%
   -소말리아 녹색당(자유 지상적 사회주의) 5%
   -국민당 포럼(파시즘) 10%
   -소말리아 의 재해방을 위한 동맹(전제주의) 20% 
  • 지휘관
-스티븐 제이 타운센드 원수
   -게리 엘 토마스 장군
   -크리스토퍼 지 카발리 장군 
  • 제독
-로버트 피 버크 제독
   -

미국이 2008년 소말리아 에 개입하면서 생긴 미국의 군사정부. 지도자는 스티븐 J. 타운젠드

소말리아 에 민주주의 를 주입 하고 신정부 를 구성하겠다며 들어왔으나 10년째 정부 커녕 반군 조차 소탕하지 못했다. 그래서 인지 세계관 시작 한지 얼마후에 행정부 가 산산 조각 나며 무너진다.

2.동아프리카 연방

-연방을 어떤방법 으로든 유지 시키십시오
   -두 당의 지지도를 관리하십시오
   -국가에 충성 하는 자들의 배신을 막으세요
  • 국가정신
-연합의 상태 '안정적' 
   -주권 문제
   -게릴라 군대
   -갈증의 나라
   -중국의 투자 
  • 정부
-연방혁명당 및 주빌리당 -좌파(사회민주주의) 35%
   -연방혁명당 및 주빌리당 -우파(보수민주주의) 30%
   -연방혁명당 및 주빌리당 -중도파(자유민주주의) 20%
   -연방혁명당 및 주빌리당 -강경파(권위민주주의) 10%
   -케니아 부간다당(파시즘) 5% 


현실에서 구상되고 있는 동아프리카 연방 이 실현된 국가로 대통령은 자카야 키퀘테 탄자니아,케냐,우간다,르완다,부룬디 가 합쳐져서 만들어 졌으나 남수단은 쿠데타로 인해 포함되지 못했다. 탄생한지 얼마 안되었고 경제위기 로 급하게 탄생한 국가 인 만큼 내부 상황이 좋지 않다. 우선 각자의 정치적 성향이 다른 반군이 활동하고 있던 우간다,부룬디 가 하나 가 되며 그 지역에선 대혼란 이 발생 하였다. 또한 지역마다 경제체제 와 정치체제 를 통합하면서 주권문제 가 또다시 나오고 있다. 또한 자치군대 들은 모두 따로 노는 상황 이라 연방정부 가 명령할수 있는 군대도 적다.

남아프리카

1.남아프리카 공화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