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국제연합 경제인연합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89번째 줄: 89번째 줄:
  
 
제1금융권 금리는 경제감독원에서 강제 사항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제1금융권 금리는 경제감독원에서 강제 사항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대충 한 ±2~4% 정도는 괜찮긴한데 여신금리의 경우 올리는건 올려도 내리는건 빡세게 심사합니다.
+
다만, 대충 한 ±2~4% 정도는 괜찮긴한데 여신금리의 경우 올리는건 올려도 내리는건 주의깊게 검사합니다.
수신금리는 반대로 고객 유치 많이 하려고 마구잡이로 올리는걸 빡세게 심사합니다.
+
수신금리는 반대로 고객 유치 많이 하려고 마구잡이로 올리는걸 주의깊게 검사합니다.
 
지켜보다가 은행 위태위태해지면 경제감독원에서 강제로 올립니다.  
 
지켜보다가 은행 위태위태해지면 경제감독원에서 강제로 올립니다.  
  

2021년 12월 23일 (목) 03:04 판

가상국제연합 경제인연합회 문서입니다.

가상국제연합 경제시스템에 대한 문서입니다.

가상국제연합 경제시스템

현제 도입된 경제시스템은 구 캐치증권의 경제시스템과 똑같습니다.
거기에 중앙관 화폐만 추가되었습니다.

https://wikis.krsocsci.org/index.php?title=%EA%B0%80%EC%83%81%EA%B5%AD%EC%A0%9C%EC%97%B0%ED%95%A9_%EA%B2%BD%EC%A0%9C%EB%B6%80
▲ 이곳의 '기업 전체 가이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다만 여기서 중요한건, 이 시스템 자체를 ON/OFF 할 수 있습니다.
경제시스템이라 불리우는 기업관의 콘텐츠를 이용하고 싶지 않으시다면
판정을 하지 않아 강제로 연재에 관여하지 않고, 중앙관 화폐를 이용하지 않아도 본인만의 기업을 키워나갈 수 있습니다.
애초에 시작부터 '활동기업'으로 선정이 되지 않기 때문에 콘텐츠 이용자가 아니라고 판단, 계속 이용하고 싶지 않으시다면
그렇게 하실 수 있습니다.
* 그러니까, 활동기업을 선정하는 이유가 혼자만의 연재를 즐기고 싶은 분들을 위해 만들어 졌습니다. *

하지만 이런 경우도 있습니다!
활동기업으로 선정 된 상태에서 잦은 기업 포기를 하셨다가 다시 새로운 기업 혹은 기존 기업을 되살려서
활동기업으로 재선정을 원하고자 하시는 분들에 한해서는 선정 기준이 매우 까다로우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상국제연합 경제인연합회

국련경제인연합회, 국경련이라고도 불립니다. (UVN 카페 공개채팅방 입장시 자동 가입)
이곳에 '공식적으로' 속해있는 기업은 '활동기업'으로 분류됩니다.
하지만 활동기업이 아니라도 국경련에서 자유롭게 발언은 가능합니다.

공식 가입 기업

가입방법은 기업경제부에서 자격이 있는 기업을 선정하여 자동으로 가입처리합니다.

2021-12-23 01:48 기준 가입기업

기업명

investing
Comcast
아브라카다브라
알파카홀딩스
PF Group
Paris Croissant Co., Ltd.
team GALAXY
CJ Group
Financial times
Netflix
주식회사 서화
Fruits from all over the world (31일내 계좌 미신고 상태 지속시 강제 탈퇴 조치 예정)
Tesla
Inc. Amuse Entertainment
한산중공업

금융

네 안녕하세요? 경제시스템을 이용하신다고요? 잘 오셨습니다.
그렇다면 중앙관 화폐가 필요하시겠네요. 사업을 하셔야하니까요.
중앙관에서 사용하는 화폐는 '중앙관 달러'입니다.
지금부터 중앙관 달러를 달러라고 부르겠습니다.

안타깝게도 처음부터 달러를 받을 순 없습니다!
아, 대기업을 신청했는데 원래 달러가 많다는 설정이시라고요?
그래도 안됩니다.
하지만 별도의 심사가 없는 대출을 받을 수 있으니 너무 걱정 하지 마십시오.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곳을 소개 해 드리겠습니다.

제1금융권

제1금융권은 기업경제부에서 선정한 은행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제1금융권에서는 누구나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뉴비분이시라면 아무런 심사 없이 1회에 한해 대출할 수 있으니 처음 오셨다면 제1금융권 은행을 찾아가보세요.

은행 - 연재자이름


JP모간체이스 - SHEEP

KB국민은행 - 상납

알파카은행 - 알파카

주식회사 서화은행 - 서화그룹

여의도뱅크 - 리사 수

희망은행 - 희망그룹

2021-12-23 2:16 기준

제1금융권 금리

제1금융권 금리는 경제감독원에서 강제 사항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대충 한 ±2~4% 정도는 괜찮긴한데 여신금리의 경우 올리는건 올려도 내리는건 주의깊게 검사합니다.
수신금리는 반대로 고객 유치 많이 하려고 마구잡이로 올리는걸 주의깊게 검사합니다.
지켜보다가 은행 위태위태해지면 경제감독원에서 강제로 올립니다.

기준금리 : 1% (2021-12-23 기준 연준 발표)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 : 3.5% 강제
일반신용대출 평균 금리 : 4.5% 강제
대기업 대출 평균 금리 : 2.8% 강제
중소기업 대출 평균 금리 : 3.5% 강제
예금 평균 금리 : 0.7% 강제
대기업 예금 평균 금리 : 0.25% 강제
중소기업 예금 평균 금리 : 0.3% 강제

제2금융권

상대적으로 대출 심사가 덜 까다로운 제2금융권 입니다.
제2금융권은 UVN 금융조합이라는 금융기관에서 조합원들을 구성하고 그 조합원들로 부터 받은 출자금을 제2금융권 은행에게 나눠주는 형식입니다. 조합원들은 실제 가상기업인이 될수도, NPC가 될 수도 있습니다.
1금융권은 망하지 않도록 경제부에서 관리를 해 주지만 2금융권은 그렇지 않습니다. 따라서 신중하게 금리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자유롭게 금리를 설정할 수 있기에 많은 고객을 유치할 수 있다는 것. 장점이라면 아주 큰 장점입니다.

제2금융권 은행 모집중

제2금융권 금리

제2금융권 금리는 경제감독원에서 권고 사항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제2금융권 예금 금리는 권고는 하고 있으나
추가적으로 제2금융권은 제1금융권보다 더 많은 여신/수신금리를 유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기준금리 : 1% (2021-12-23 기준 연준 발표)
주택담보대출 예상 금리 : 4.5% ~ 5.8%
일반신용대출 예상 금리 : 10% ~ 20%
대기업 여신을 권고하지 않음
중소기업 대출 평균 금리 : 11% ~ 25% 권고
예금 예상 금리 : 0% ~ 3%
대기업 수신을 권고하지 않음
중소기업 예금 평균 금리 : 0% 이상 권고

제3금융권

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아닌 개인이나 대부업체가 제3금융권에 포함됩니다.
언제나 자유롭게 영업이 가능하며 언제나 폐업이 가능합니다.
경제감독원에 신고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법정 최고금리는 지키셔야합니다. 계약당시 법정 최고금리를 지키지 않았을 경우 상대방은 돈을 갚지 않아도 됩니다.
제3금융권은 100% 투자를 통해 자금을 조성하고 그것으로 금융기관과 유사한 사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제3금융권 최고금리

제3금융권 금리는 경제감독원에서 상한선을 강제하고 있습니다.

법정최고금리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