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각) |
편집 요약 없음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하카우타 표}} | {{하카우타 표}} | ||
{{목차}} | |||
==개요== | ==개요== | ||
17번째 줄: | 19번째 줄: | ||
인구밀도는 인접국에 비해 높은 편이다. 1, 2차 산업은 내수경제에 의존하며, 3차 산업은 외수경제에 의존하는 경향을 띄는데, 대부분의 수익은 레저, 관광 등의 3차 산업에서 창출된다. | 인구밀도는 인접국에 비해 높은 편이다. 1, 2차 산업은 내수경제에 의존하며, 3차 산업은 외수경제에 의존하는 경향을 띄는데, 대부분의 수익은 레저, 관광 등의 3차 산업에서 창출된다. | ||
==상징== | ==상징== | ||
||[[파일:하카우타 국기.png]]||현재 하카우타의 국기|| | ||<-2><table align=center><table width=800><width=30%>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하카우타 국기.png|width=100%]]</div><div style="margin: -5px -9px"></center> ||<|2> 현재 하카우타의 국기<br>황색: 하카우타의 번영과 독립정신<br>야자수: 풍부한 식생과 아름다운 자연<br>남십자성: 선조들의 개척정신, 하카우타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빛나는 미래|| | ||
||[[파일:이스트 쿡 식민지기.png]]||영국령 이스트 쿡 제도의 기|| | ||<-1> '''현행 국기'''^^(19xx~)^^ || | ||
||<-2><width=30%>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이스트 쿡 식민지기.png|width=100%]]</div><div style="margin: -5px -9px"></center> ||<|2> 영국령 이스트 쿡 제도의 기|| | |||
||<-1> '''영국령 이스트 쿡 제도'''^^(19xx~19xx)^^ || | |||
하카우타의 국기는 영국령 이스트 쿡 제도 시절의 것에서 야자수와 남십자성의 색을 바꾼 것을 이어서 쓰고 있다. 유니억 잭이 캔턴으로 들어가 있으며, 황색은 태양빛으로 하카우타의 번영과 독립정신을, 야자수는 풍부한 식생과 아름다운 자연을, 남십자성은 선조들의 개척정신에서 비롯된 하카우타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빛나는 미래를 상징한다. 참고로 남십자성은 남반구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이를 국기에 사용함으로서, 항해민족인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인 선조들이 진출하여 번성하게 된 오세아니아 지역의 민족적 아이덴디티를 표현한다. | 하카우타의 국기는 영국령 이스트 쿡 제도 시절의 것에서 야자수와 남십자성의 색을 바꾼 것을 이어서 쓰고 있다. 유니억 잭이 캔턴으로 들어가 있으며, 황색은 태양빛으로 하카우타의 번영과 독립정신을, 야자수는 풍부한 식생과 아름다운 자연을, 남십자성은 선조들의 개척정신에서 비롯된 하카우타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빛나는 미래를 상징한다. 참고로 남십자성은 남반구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이를 국기에 사용함으로서, 항해민족인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인 선조들이 진출하여 번성하게 된 오세아니아 지역의 민족적 아이덴디티를 표현한다. | ||
==정치== | ==정치== | ||
91번째 줄: | 95번째 줄: | ||
==경제== | ==경제== | ||
==역사== | ==역사== | ||
{{본문|하카우타/역사}} | |||
==사회== | ==사회== | ||
==외교== | ==외교== |
2022년 2월 14일 (월) 19:40 판
![]() 하카우타 관련 틀 | ||||||||||||||||||||||||||||||||||||||||||||||||||||||||||||||||||||||||||||||
|
하카우타(이스트 쿡 제도) Commonwealth of Hakauta(East Cook Islands) | ||||||||||||||||||||||||||
---|---|---|---|---|---|---|---|---|---|---|---|---|---|---|---|---|---|---|---|---|---|---|---|---|---|---|
![]() |
![]() | |||||||||||||||||||||||||
국기 | 국장 | |||||||||||||||||||||||||
I bilefa Ey apongka 믿음 안에서 나는 나아간다 | ||||||||||||||||||||||||||
상징 | ||||||||||||||||||||||||||
국가 | Glory to Hakauta God Save the Queen | |||||||||||||||||||||||||
국조 | 카에와 | |||||||||||||||||||||||||
역사 | ||||||||||||||||||||||||||
폴리네시아인의 상륙 및 정착 700년 대 제임스 쿡 선장 일행, 하카우타 발견 및 상륙 1773년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 편입 1787년 핏빛 달의 밤(Blood moon's Night) 1847년 2월 9일 정착민-원주민 전쟁 1847년 12월 29일 타우랑가 조약(Treaty of Tauranga) 체결 1848년 7월 15일 | ||||||||||||||||||||||||||
지리 | ||||||||||||||||||||||||||
| ||||||||||||||||||||||||||
인문환경 | ||||||||||||||||||||||||||
| ||||||||||||||||||||||||||
하위 행정구역 | ||||||||||||||||||||||||||
| ||||||||||||||||||||||||||
정치 | ||||||||||||||||||||||||||
| ||||||||||||||||||||||||||
경제 | ||||||||||||||||||||||||||
| ||||||||||||||||||||||||||
단위 | ||||||||||||||||||||||||||
| ||||||||||||||||||||||||||
외교 | ||||||||||||||||||||||||||
| ||||||||||||||||||||||||||
ccTLD | ||||||||||||||||||||||||||
.ha [1] | ||||||||||||||||||||||||||
국가코드 | ||||||||||||||||||||||||||
COH [2] HA [3] | ||||||||||||||||||||||||||
국제전화코드 | ||||||||||||||||||||||||||
+67 |
개요
하카우타(Commonwealth of Hakauta)(이스트 쿡 제도)는 오세아니아 지역에 위치한 섬나라이다. 오세아니아의 대표적인 휴양지이며, 다양한 식생이 보존되어 있어 호주, 뉴질랜드와 함께 오세아니아의 독특한 생태계 연구에 도움이 되고 있다. 인구밀도는 인접국에 비해 높은 편이다. 1, 2차 산업은 내수경제에 의존하며, 3차 산업은 외수경제에 의존하는 경향을 띄는데, 대부분의 수익은 레저, 관광 등의 3차 산업에서 창출된다.
상징
현재 하카우타의 국기 황색: 하카우타의 번영과 독립정신 야자수: 풍부한 식생과 아름다운 자연 남십자성: 선조들의 개척정신, 하카우타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빛나는 미래 | ||
현행 국기(19xx~) | ||
영국령 이스트 쿡 제도의 기 | ||
영국령 이스트 쿡 제도(19xx~19xx) |
하카우타의 국기는 영국령 이스트 쿡 제도 시절의 것에서 야자수와 남십자성의 색을 바꾼 것을 이어서 쓰고 있다. 유니억 잭이 캔턴으로 들어가 있으며, 황색은 태양빛으로 하카우타의 번영과 독립정신을, 야자수는 풍부한 식생과 아름다운 자연을, 남십자성은 선조들의 개척정신에서 비롯된 하카우타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빛나는 미래를 상징한다. 참고로 남십자성은 남반구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이를 국기에 사용함으로서, 항해민족인 미크로네시아, 폴리네시아인 선조들이 진출하여 번성하게 된 오세아니아 지역의 민족적 아이덴디티를 표현한다.
정치
하카우타는 영국의 국왕을 국가원수로 모시며 의원내각제를 채택한 입헌군주국인 영연방왕국이다. 영국 정부의 대리로 하카우타에 파견되는 '총독' 직책도 존재하나, 현재는 상징적 권력으로, 하카우타 국내에서 선출, 임명된다.
국왕
하카우타는 영연방왕국(Commonwealth realms)으로, 영국의 왕을 하카우타의 왕으로 섬긴다. 영국의 왕을 하카우타의 국가원수로 모신 것은 1787년,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의 일부로 편입된 이후로, 그 때부터 현재까지 약 240년 간 이어져 오고 있다. 현재는 엘리자베스 2세가 하카우타의 여왕이자 국가원수이다. 하카우타에서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호칭은 "하느님의 은총에 의한, 이스트 쿡 및 그녀의 다른 왕국들과 영토들의 여왕, 영연방의 수장 엘리자베스 2세(Elizabeth the Second, by the Grace of God, Queen of the Eastern Cook[4] and Her other Realms and Territories, Head of Commonwealth)"
총독
![]() | |
|
하카우타의 총독은, 국왕의 대리인으로서 명목상의 국가원수 역할을 한다. 하카우타의 총독은 하카우타 국내에서 후보를 추려 국왕이 임명한다. 상원에서 후보를 선출하고, 하원에서 후보에 대한 동의를 거쳐 국왕의 재가가 떨어지면 그 사람은 비로소 하카우타의 총독으로 취임하게 된다. 하카우타의 총독은 국왕을 대리하여 다음의 권한을 가진다.
- 하카우타의 총리와 내각관료 임면권
- 하카우타 국방군의 통수권
- 의회해산권
- 법안 및 헌법 제정 및 개정안의 최종 승인권
- 국왕 폐하를 대신한 왕령 및 총독령의 공포
- etc
다만 대부분의 권한은 총리가 실질적으로 행사하는 편이고, 임면권 등은 총리나 내각 인사들, 의회의 암묵적 동의 또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야 쓰일 수 있다. 조기총선을 위해 총리가 요청하여 총독이 의회를 해산하는 경우처럼 말이다. 물론 상기 권한들은 총독이 독단적으로 사용하여도 법적으로는 문제가 없다. 다만 우선 국왕의 동의도 필요할 뿐더러, 무엇보다 영연방왕국들은 영국 국왕을 국가원수로 섬기나 실질적 독립국이다. 즉, 국왕은 자국의 국가원수이나 엄밀히 따지면 '영국의 국왕'이고, 이를 대리하는 총독이 자신의 권한이라는 이유로 이를 독단적으로 처리하게 되면 총독 자신의 정치인생도 그 순간으로 끝일 뿐더러, 민심을 상당히 자극할 것이다. 비슷한 일례로, 호주의 '존 커(John Kerr)' 총독이 독자적으로 고프 휘틀럼 총리를 해임하여 상당한 질타를 받은 적 있다.
총리
![]() | |
|
의회
| |||||
[ 펼치기 · 접기 ] |
내각
![]() | |
|
하카우타의 행정부는 2026년 현재, 헨리 하버필드 총리가 이끌고 있다.(하버필드 1차 내각)
하카우타는 입헌군주제를 채택한 의원내각제 체제의 국가이다. 행정권은 따라서 내각(Cabinet)이 행사한다. 내각의 대표이자 행정권의 정점에 있는 정부기관이 총리(Prime minister)이다. 인사들의 임기는 따로 정해져있지 않다. 연임제한 또한 없다.
하카우타의 정부부처는 장관급부서(Ministerial department)와 비장관급부서(Non-ministerial department)로 나뉜다. 장관급부서는 정치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고 개입이 필요한 분야(내정, 외교 등)를 담당한다. '내각장관(Secretary of state)'이 장관급부서의 장을 맡는다. 이들은 내각의 구성원에 포함된다. 비장관급부서는 정치적인 간섭이 필요하지 않거나, 독립될 필요가 있는 분야를 담당한다. 상위기관(장관급부서 등)의 감독을 받으나, 외청(외국)의 개념으로, 독립적 권한을 행사한다. 이들의 장은 고위직 공무원, 혹은 사무차관이 맡는다. 이들은 내각의 구성원에 포함되지 않는다.
1) 장관급부서 Ministerial department
- 내각실 Cabinet Office
- 내무부 Ministry of Home Affairs
- 외무·국제통상부 Ministry of Foreign and Trade Affairs
- 재무부 Ministry of Treasury
- 교육부 Ministry of Education
- 국토·해양·교통부 Ministry of Land, Oceans and Transport
- 국방부 Ministry of Defence
-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 Ministry of Business, Energy and Industrial Strategy
- 노동·보건·사회복지부 Ministry of Work, Health and Social Care
- 문화·관광·미디어부 Ministry of Culture, Tourism & Media
- 법률자문실 Attorney General's Office
- 법무부 Ministry of Justice
- 환경·식품·수산부 Ministry of Environment, Food & Fisheries
- 원주민부 Ministry of Native affairs
2) 비장관급부서 Non-ministerial department
- 관광진흥청 Tourism Promotion Agency
- 검찰청 Crown Prosecution Service
- 경쟁·시장관리국 Competition and Markets Authority
- 타우랑가 조약 위원회 Tauranga Treaty Commision
- 국가기록원 The National Archives
- 국가범죄대책청 National Crime Agency
- 대법원 Supreme Court of Hakauta
- 무역·투자청 Office of Trade & Investment
- 법무국 Government Legal Department
- 보험계리국 Government Actuary's Department
- 국세·관세청 Revenue and Customs Agency
- 공공사업관리국 Public Utilities Regulation Authority
- 식품기준청 Food Standards Agency
- 자격·고사관리국 Office of Qualifications and Examinations Regulation
- 중대부정수사국 Serious Fraud Office
- 도로·해운국 Office of Road and Shipment
- 토지등기·측량국 Land Registry&Survey Authority
- 통계청 Statistics Authority of Hakauta
사법
경제
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