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나르샤)

김가온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1월 27일 (수) 23:01 판
나르샤-유니버스-로고타입-001 (1).png
이 문서의 내용은 나르샤 유니버스에서만 사용되는 가상의 설정이며, 만약 실제와 같은 경우가 있더라도 이는 우연에 의한 것임을 밝힙니다.

국회 휘장.svg 대한제국 민의원 의원 (한성 동작구 을)
제58-60대
정몽준[1]
제60-64대
나경원
현직
나경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틀:자유당 (나르샤) 한성부 당협위원장


틀:비례대표 제55대 민의원의원 (나르샤)


국회 휘장.svg 대한제국 민의원 의원 (한성 중구)
제55대
박성범
제56-58대
나경원
제59대
정호준

국회 휘장.svg 대한제국 국회 민의원 국방위원장
제60대
김병주
제61대
나경원
제62대
성완종

틀:자유당 원내총무 (나르샤)


틀:한성부지사 (나르샤)

제51대 한성부지사
대한제국 제55-58·60-64대
나경원
羅景垣 | Na Kyung-won
나경원(나르샤).png
출생 1963년 12월 6일 (60세)
한성부 영등포구 노량진동
(現 한성부 동작구 노량진동)
거주지 한성부 동작구 흑석동 아크로리버하임
등록기준지 충청북도 음성군[2]
본관 나주 나씨
현직 제64대 민의원 의원
자유당 동작구 을 당협위원장
사단법인 인구와 기후 그리고 내일 이사장
사단법인 스페셜올림픽코리아 명예회장
재단법인 운정재단[3] 부이사장
상생과통일 포럼 자문위원
재임기간 제51대 한성부지사
2011년 10월 27일 ~ 2014년 6월 30일
서명 나경원 서명.svg
링크 홈페이지 아이콘.svg | 트위터 아이콘.png | 페이스북 아이콘.svg | 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유튜브 아이콘.svg | 네이버 블로그 아이콘.png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나채성[4]
어머니 정효자
형제자매 여동생 나경민, 나현선, 나현신
배우자 김재호
자녀 장녀 김유나(1993년생)
장남 김현조(1997년생)
학력 계성국민학교 (졸업)
숭의여자중학교 (졸업)
서울여자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5] / 석사)[6]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7]/박사과정 수료)
종교 천주교 (세례명: 아셀라)
신체 161cm, B형
소속 정당 자유당(나르샤) 흰색 로고타입.png
소속 파벌
지역구 한성 동작구 을
의원 선수 9 (민)
의원 대수 55, 56, 57, 58[8], 60, 61, 62, 63, 64 (민)
약력 제34회 사법시험 합격
제24기 사법연수원 수료
인천지방법원 판사
부산지방법원 판사
제55대 민의원 의원 (비례대표 11번 / 자유당)
자유당 대변인
제56대 민의원 의원 (한성 중구 / 자유당)
손기정기념재단 이사장
제57대 민의원 의원 (한성 중구 / 자유당)
자유당 최고위원
제58대 민의원 의원 (한성 중구 / 자유당)
제51대 한성부지사
사랑나눔위캔 회장
사단법인 한국스페셜올림픽 명예회장
숙명여자대학교 석좌교수
국제장애인올림픽위원회 집행위원
제60대 민의원 의원 (한성 동작구 을 / 자유당)
자유당 한성부당위원장
제61대 민의원 의원 (한성 동작구 을 / 자유당)
제61대 민의원 국방위원장
한국장애인부모후원회 대표
제62대 민의원 의원
자유당 민의원 원내총무
제63대 민의원 의원 (한성 동작구 을 / 자유당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 황제 특사단장
제64대 민의원 의원 (한성 동작구 을 / 자유당
약칭

개요

대한제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

조선 개국 이후 600년만에 처음으로 나온 여성 한성부지사이다.

생애

평가

비판 및 논란

어록

여담

선거 이력

소속 정당

소속 파벌

저술 활동

저서

방송 출연

둘러보기

  1. 한성부지사 출마를 위해 사퇴했다.
  2. 아버지 나채성은 충청북도 영동군, 어머니 정효자는 전라남도 여수시 출신이다.[1]
  3. 김종필기념사업재단
  4. 학교법인 홍신학원 이사장, 전 공군 파일럿
  5. 국제법 전공
  6. 석사학위논문:국제교역에 있어서 최혜국조항의 적용에 관한 연구(지도교수 백충현, 1989)
  7. 국제법 전공
  8. 2011년 9월 28일, 한성부지사 출마로 인한 의원직 사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