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大韓帝國
|
|
|
국기
|
국장
|
光明天地 광명천지
|
상징
|
국가
|
대한제국 애국가
|
국화
|
오얏꽃
|
국수
|
참매
|
국조
|
황룡
|
역사
|
1897년 제국 선포
1899년 대한국 국제 반포
|
|
지리
|
|
하위 행정구역
|
수도
|
한성부
|
13도
|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경기도,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
|
인문환경
|
총 인구
|
24,006,846명
|
인종 구성
|
한민족
|
민족 구성
|
한민족
|
인구밀도
|
78명/km²
|
출산율
|
2.34명
|
기대 수명
|
76세
|
공용어
|
한국어, 한문
|
공용 문자
|
한글, 한문
|
종교
|
국교
|
국교 없음
|
분포
|
유교(성리학), 불교, 천도교, 정교회, 가톨릭, 개신교, 무속
|
군대
|
대한제국군
|
|
정치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
민주주의 지수
|
7.54점
|
황제
|
이원
|
내각총리대신
|
윤석열
|
부총리
|
한덕수
|
여당
|
대한자유당
|
|
경제
|
경제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GDP (명목)
|
전체 GDP
|
$1조 7,219억
|
1인당 GDP
|
$33,393
|
GDP (PPP)
|
전체 GDP
|
$2조 9,240억
|
1인당 GDP
|
$56,706
|
국부
|
$10조 1,490억
|
수출
|
$6,445.4억
|
수입
|
$6,150.5억
|
외환보유액
|
$4,209.8억
|
신용등급
|
무디스 Aa2
S&P AA
Fitch AA-
|
화폐
|
공식 화폐
|
대한제국 원(₩, won)
|
ISO 4217
|
KRW
|
세입
|
548.8조 원
|
세출
|
604.0조 원
|
지니 계수
|
0.333
|
|
단위
|
법정연호
|
서력기원
|
시간대
|
UTC+1
|
도량형
|
SI 단위
|
통행방향
|
왼쪽(우측통행)
|
|
외교
|
UN 가입
|
가입국
|
UN 가입일
|
1991년 9월 17일
|
|
ccTLD
|
.kr, .한국
|
국가 코드
|
410, KOR, KR
|
국제 전화 코드
|
+82
|
|
개요
대한제국 혹은 한국은 동북아시아 한반도에 위치한 국가이다.
국가 상징
국호
심순택(沈舜澤)이 아뢰기를 "우리나라는 기자(箕子)의 옛날에 봉(封)해진 조선(朝鮮)이란 이름을 그대로 칭호로 삼았는데 애당초 합당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지금 나라는 오래되었으나 천명이 새로워졌으니 국호를 정하되 응당 전칙(典則)에 부합해야 합니다."
|
상이 이르기를 "우리 나라는 곧 삼한의 땅인데, 국초에 천명을 받고 하나의 나라로 통합되었다. 지금 국호를 대한이라고 정한다고 해서 안 될 것이 없다. 또한 매번 각국의 문자를 보면 조선이라고 하지 않고 한이라고 하였다. 이는 아마 미리 징표를 보이고 오늘이 있기를 기다린 것이니, 세상에 공표하지 않아도 세상이 모두 다 대한이라는 칭호를 알고 있을 것이다.
|
심순택이 아뢰기를 "삼대(三代) 이후부터 국호는 예전 것을 답습한 경우가 아직 없었습니다. 그런데 조선은 바로 기자가 옛날에 봉해졌을 때의 칭호이니, 당당한 황제의 나라로서 그 칭호를 그대로 쓰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또한 '대한'이라는 칭호는 황제의 계통을 이은 나라들을 상고해 보건대 옛것을 답습한 것이 아닙니다. 성상의 분부가 매우 지당하니, 감히 보탤 말이 없습니다."
|
상이 이르기를 "국호가 이미 정해졌으니, 원구단에 행할 고유제의 제문과 반조문에 모두 대한으로 쓰도록 하라."
|
《고종실록》, 1897년 10월 11일
|
국기
국가
국화
국장
역사
자연환경
영토
지형
생태
자원
인문환경
인구
언어
종교
교통
행정구역
정치
정당
행정
국제관계
경제
사회
교육
문화
군사
단위
법정 연호
시간대
관련 문서
같이 보기
각주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