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그분은 곧 진리의 성령이시다. 세상은 그분을 보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기 때문에 그분을 받아들이지 못하지만, 너희는 그분을 알고 있다. 그분이 너희와 함께 머무르시고 너희 안에 계시기 때문이다. |
요한의 복음서 14장 17절 (공동번역 성서) |
성령께서도 나약한 우리를 도와주십니다. 우리는 올바른 방식으로 기도할 줄 모르지만,성령께서 몸소 말로 다 할 수 없이 탄식하시며 우리를 위하여 간구해 주십니다.
이렇게 성령께서는 하느님의 뜻을 따라 성도들을 대신해서 간구해 주십니다. 그리고 마음속까지도 꿰뚫어 보시는 하느님께서는 그러한 성령의 생각을 잘 아십니다. |
로마서 8장 26~27절 (공동번역 성서) |
기독교에서 말하는 유일신 야훼가 가진 삼위일체의 위격 중 하나.
명칭
요즘에는 잘 사용하지는 않지만, 성신(聖神)이라고도 칭한다. 개신교 통일찬송가 173장은 '불길 같은 성신여'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21세기 새찬송가로 넘어오면서 '불길 같은 주 성령'으로 바뀌었다.
과거 가톨릭 교회와 정교회에서는 성신(聖神)이라는 단어로 번역했지만, 가톨릭 교회의 경우 1987년 주교회의 추계총회 이후 주교회의 전례위원회가 "영어에서도 옛날에는 「Holy Ghost」라고 했으나 지금은 「Holy Spirit」로 바뀌었으며 성령은 구세사 안에 드러난 그의 위격을 더욱 뚜렷하게 드러내면서 성부도 성자도 신(神)인데 따로 성신이라고 하면 따로 신이 있다는 오해의 소지도 있다."는 이유를 들었고 1997년부터는 전례에서도 성신을 성령으로 전격 개정하였고, 정교회는 2009년 사제단 회의에서 "‘성신’의 신(神)이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고 ‘성령(聖靈)’은 삼위일체의 세 번째 위격의 뜻을 더욱 정확하게 표현한다."는 이유로 성령으로 용어를 변경한 이후 현재는 두 교회 모두 성령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전통 가톨릭에서는 여전히 성신이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이가 많으며, 중화권에서는 성신이라는 용어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개신교에서는 과거에 사람을 돕고 위로하는 성령의 속성 '파라클레토스(παράκλητος)'를 한자 음역한 '보혜사(保惠師)'라는 말을 많이 썼다. “中文翻译“保惠師”是音译,也是意译”(李康硕,《约翰福音的别世真谛(教师本)》,(香港:海天书楼有限公司),270。 [1]) 주로 고령 신자가 기도할 때 보혜사 성령님과 같은 식으로 붙여서 말하는 경우가 많고, 성령 자체를 보혜사라고 지칭하는 경우는 드물다. 가톨릭 성경에서는 의미를 고려한 '보호자'로, 공동번역성서에서는 '협조자'로 번역했다.
위격
신약 성경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죽은 후 사흘 뒤에 부활하고 40일 뒤에 승천하면서 제자들에게 보내줄 것을 약속한 교회의 수호자이다. 즉 그리스도 이후에 성부와 성자의 사업을 지상에서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존재. 삼위 중 제3위. 성부가 제1위, 성자는 제2위. 1위라 해서 2위와 3위보다 뛰어난 것은 아니다. 교부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하면, 한 위격이 세 위격을 합한 것 만하며, 두 위격을 합해도 한 위격보다 더하지 않다. 각 위의 구별은 어떤 시간에 따른 존재의 순서나 지위의 종속이 아니라, 인과에 따른 논리적 서열이다. 교부 아우구스티누스 왈, '성부는 사랑하시는 분, 성자는 사랑받으시는 분, 성령은 바로 그 사랑 자체'라고 한다.
성부에게서 성자가 발생(發生)하고, 또한 성부에게서 성령이 발출(發出)한다고 한다. 성자에게서도 발출한다는 것은 가톨릭과 개신교에 한정된다. 정교회는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래의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도 존재하지 않는 구절이다. 자세한 것은 필리오퀘 문제 문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