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표범 雪豹(설표) | Snow leopard | ||
---|---|---|
학명 | Panthera uncia (Schreber, 1775) |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강 | 포유강Mammalia | |
목 | 식육목Carnivora | |
과 | 고양이과Felidae | |
속 | 표범속Panthera | |
종 | 눈표범 P. uncia |
개요
학명은 Panthera uncia. 우리말로는 눈표범. 설표(雪豹)라고도 한다. 서식지는 몽골, 티베트, 중국, 아프가니스탄, 네팔, 부탄, 중앙아시아, 바이칼 호, 러시아의 일부 지역이다. 일부는 인도와 파키스탄에서도 서식한다.
일단 이름은 표범이지만, 표범과 엄연히 다른 종이고 실제로는 호랑이와 먼 친척이다. 현생 표범속의 조상뻘에 해당한다. 조상뻘이지 절대 조상은 아니다. 그럼에도 조상뻘에 해당하는 이유는 표범속에 속하는 공통조상의 고향이 히말라야다. 표범속 공통조상의 화석의 모습이 참고를 보면 알겠지만 현재의 눈표범과 거의 흡사한 편이다. 과거 Panthera 속이었다가 두개골이 치타와 비슷하고 포효를을 들어 Uncia 속으로 따로 분류했는데, 후일 이뤄진 유전학적 연구에 의해 호랑이와의 공통점이 발견되어 최근엔 다시 표범속으로 분류하는 추세다. 실제로 IUCN의 레드 리스트에서의 표기가 Panthera uncia로 변경되었고 많은 매체에서도 다시 Panthera로 표기하고 있다고 한다. 갈색하이에나와 비슷한 케이스. 최근에 다시 표범속이라고 확정되고 호랑이와 가장 가깝다고 드러났다. 고양이과 포유류 중 호랑이와 함께 '프루스텐' prusten. 호랑이가 내는 일종의 콧바람 같은 소리. 서구권 동물원 사육사들은 대체로 프루스텐 보다는 Chuffing(처핑)이라고 많이 부른다. 글로 묘사하면 추후후훅 정도이다. 상대를 해칠 의사가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고 친한 개체간 인사로도 활용된다. 소설 '파이 이야기'에서 묘사된 바 있다.이 가능한 두 종 중 하나다. 그리고 얼굴 모양을 봐도 표범보다는 호랑이와 더 비슷하다.
신체적 특징
전체적으로 표범과 닮았으나 표범이 보통 황색 검은색이라면 눈표범은 흰색 회색. 크기는 중간 크기의 표범 아종과 비슷하다. 표범은 20~95kg에 90~165cm 정도이지만 눈표범은 25~75kg에 85~150cm 정도이다. 체고는 50~65cm 정도. 고산 지대에 서식하기 때문에 털이 길고 두껍다. 게다가 꼬리가 굉장히 크고 긴데, 꼬리 길이가 80~100cm에 달할 정도로 길다. 치타의 꼬리가 근육질인 이유랑 비슷한데 이쪽은 치타보다 더 험난한 환경에서 사냥을 해야 하기 때문에 꼬리 근육도 2배이다. 그 외에도 수면 시 체온 유지를 위해 목도리처럼 온몸을 싸매는 역할도 한다. 때로는 입안의 냉기를 제거하기 위해 꼬리를 이렇게 입에 물고 다니기도 한다. 꼬리를 물고 다니는 이유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입안의 냉기 제거 말고도 심리적인 안정감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덩치에 비해 다리 근육이 매우 튼실하고 발도 엄청나게 큰데, 눈이 덮인 산을 뛰어다니며 미끄러지지 않고 중심을 잡아야 하기에 이렇게 진화한 것이다. 게다가 암벽을 타기 좋게 하기 위해 앞다리가 짧은 대신, 뒷다리가 길고 크게 진화했다. 이런 신체적 특징 때문에 불규칙하게 바위가 돋아난 험한 산지에서도 신체 반동이 없다시피 할 정도로 민첩하고 빠르게 움직인다.# 또한, 도약력이 매우 뛰어나다. 최대 점프 높이는 플랫폼 서전트 점프 점프 했을때 상체를 안쓰고 올라갈 수 있는 높이기준 약 1.8m 어느 정도냐 하면 인간의 비공식 최고기록은 1.65m로 직립보행으로 점프 사기조건 다갖춘 인간보다 점프력이 높은 몇 안되는 동물 멀리 뛰는 능력은 15m로 인간의 세계기록은 8.95m고양이과 평균 1.2m, 12m 보다도 약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