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유지하철 노선 | ||||
![]() |
![]() |
![]() |
![]() |
![]() |
군자선 | 도쇼마치선 | 치우단선 | 하라쿠초선 | 주교선 |
![]() |
![]() |
![]() |
![]() |
![]() |
삼전선 | 수호지선 | 계류선 | 부도심선 | 신계방선 |
![]() |
![]() |
![]() |
![]() |
|
산쿄민트라인 | 신도시선 | 공항선 | 난구로선 |
| |||
도유 경전철 난구로선 전동차 | |||
노선도 | |||
---|---|---|---|
[ 펼치기 · 접기 ]
| |||
노선 정보 | |||
분류 | 도시철도 | ||
차량분류 | 경전철(고무차륜형 AGT) | ||
기점 | 신초역 | ||
종점 | 선정역 | ||
역 수 | 8개 | ||
노선 번호 | 16호선 | ||
상징색 | 초록색 (#00A366)
| ||
개업일 | 미정 | ||
소유자 | 도유수도시 | ||
운영자 | |||
사용차량 | 도유 경전철 난구로선 전동차 | ||
차량기지 | 마히로시공원차량기지 | ||
노선 제원 | |||
노선 연장 | 9.77㎞ | ||
궤간 | |||
선로 구성 | 복선 | ||
급전 방식 | |||
신호 방식 | ATC | ||
최고속도 | 80㎞/h | ||
표정속도 | |||
지상구간 | 없음[1] | ||
통행 방향 | 우측통행 | ||
개통 연혁 | 2024년 12월 본 사업 계획 |
개요
난구로선은 도유수도시 도시철도의 14번째 노선이자 3번째로 지어지는 경전철이다. 노선번호는 16호선이다.
상세
자유민주당의 호시노 준사쿠 의원이 제안하여 계획되었다. 도유수도시 관수구 신초역에서 선정구 선정역까지 교통 소외지역에 교통망 해소 정책으로 추진된다. 운행 열차는 경전철로 3량 1편성, 총 36량 12편성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건설 목적
- 도유수도시 내 도시철도망 보충 및 보완
관수구, 시부사구, 난구로구, 선정구 등은 모두 구를 관통하는 노선이 종축으로, 도유시내를 연결하는 기능만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관수, 난구로 등 주민들의 경우 도유 남부의 부도심인 시부사로 향하는 수요가 많을뿐 아니라, 선정역을 통해 간선철도를 이용하기도 해 횡축 교통망 구축이 필요하다.
- 난구로구 교통체증 완화
난구로구 니시난구로초~난구로초 지역은 난개발 과정에서 대규모의 주택가가 형성되었음에도 도로가 좁고 궤도교통이 부족해 도로정체가 만성적인 상황으로, 교통 소외 문제 해소가 절실한 상황이다.
역 정보
역번 | ㎞ | 역명 | 승강장 | 분기선 | 환승노선 | 소재지 | ||
형태 | 횡단 | |||||||
NK01 | 0.0 | 신 초 (관수시장) |
新 潮 ( ) |
![]() |
관수구 | |||
NK02 | 마 원 | 시부사구 | ||||||
NK03 | 구약시장 | |||||||
NK04 | 난구로 | 蘭 黒 | ![]() 도소보선 |
난구로구 | ||||
NK05 | 고차쿠 (고차쿠스카이돔) |
御 着 (御着スカイドーム) |
||||||
NK06 | 카이본 | 貝 盆 | ||||||
NK07 | 온세야마 (난구로공단) |
溫 山 (蘭黒工団) |
![]() | |||||
NK08 | 9.77 | 선 정 | ![]() 도후종관선 도유환상선 |
선정구 |
- ↑ 차량기지도 지하에 건설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