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

포장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2월 17일 (일) 10:17 판

{{틀:다른 뜻2| other1=해당 게임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레고 시리즈| rd1=마인크래프트(레고)| other2=통합 마인크래프트| rd2=마인크래프트/베드락 에디션}}

{{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나무위키 마인크래프트 프로젝트}}

{{틀:직접작성| 색=Black| 제목=이 문서에는 다양한 개념이 함께 서술되어 있습니다.| 내용=마인크래프트 시리즈 전체와 마인크래프트 자바에디션에 대한 내용이 같이 서술되어 있으니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MINECRAFT
홈페이지/베드락 에디션
파일:Minecraft Logo.png

----
자바 에디션
파일:MCJE/로고.png
개발Mojang AB
유통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가 Mojang AB사를 인수했지만 여전히 개발은 모장에서만 한다.
장르샌드박스, 서바이벌
등급GCRB 게임콘텐츠등급분류위원회: 12세 이용가 PC는 전체 이용가였으나, 2016년 6월 24일부터 12세 이용가로 격상되었다. 참고
ESRB: EVERYONE 10+ 10세 이상
플랫폼자바에디션
Windows, macOS, 리눅스

베드락에디션
구) 포켓에디션 및 콘솔에디션 일부

Windows 10 Windows 10 Edition은 기존 Java Minecraft와 호환되지 않으며, Pocket Edition과 호환된다., 엑스박스 원, Wii U, Gear VR, Apple TV,
Amazon Fire TV, iOS, 안드로이드, Windows 10 Mobile Windows 10 모바일만 지원한다.# Windows 10 PC는 Java Minecraft를 구입하면 Windows 10 Edition을 Windows Store 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는 코드를 준다.

통합되지 않은 기기 단,플레이스테이션 끼리는 또 된다.
PS3, PS4, PS Vita, 엑스박스 360, New 닌텐도 3DS, 닌텐도 스위치
링크공식 개발사
런처 공식
가격30,000원 width=100%
기존에는 우리나라에서 미국 달러로 26.95$(약 32000원)에 구매할 수 있었으나 2016년 5월 17일부터 원화인 30,000원에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시스템 요구 사양 Mojang 참조
최소
사양

* CPU: 펜티엄 D급 이상의
인텔 듀얼코어 프로세서 혹은
AMD 애슬론 64 2.6GHz 이상
* RAM: 2GB 이상
* 그래픽(내장): 인텔 HD 그래픽
또는 AMD 라데온 HD 그래픽
이상 (OpenGL 2.1)
* 그래픽(외장): NVIDIA GeForce
9600 GT 또는 AMD 라데온
HD 2400 이상 (OpenGL 3.1)
* 저장 공간: 여유 공간 200MB 이상
* Java: Java JRE 8 최신 버전 1.12 기준
권장
사양

* CPU: 인텔 코어 i3 또는
AMD 애슬론 2 2.8GHz 이상
* RAM: 4GB 이상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 그래픽 카드: NVIDIA GeForce
GTX 2xx 이상 또는 AMD 라데온
HD5xxx 이상 (OpenGL 3.3)
* 저장 공간: 여유 공간 1GB 이상
* Java: Java JRE 8 최신 버전 1.12 기준

{{틀:마인크래프트/관련 문서}}

{{틀:-}}

개요

유튜버 {{{#white가 제작한 마인크래프트 예고편
{{#evt:service=youtube|id=MmB9b5njVbA}}

스웨덴의 프로그래머인 마르쿠스 "노치" 페르손(Markus "Notch" Persson)이 만든 뒤, Mojang AB 영어로는 모장이라고 발음되지만, 스웨덴 어로 무옝(mʊˈjɛŋ)이라고 발음한다.사에 의해 개발, 판매되고 있는 샌드박스 게임이다. 현재는 마이크로소프트에 인수된 스튜디오다.

모든 것이 네모난 블록으로 만들어진 세계에서 몬스터들을 피해 집을 짓고 도구를 만들며 채광을 하거나 제목 Minecraft에서 mine은 명사로 '광산', 동사로는 '채광하다' 의미고, craft는 명사로 '기술', 동사로는 '세공하다'라는 의미다. 채광과 제작은 마인크래프트의 알파이자 오메가인 요소다. 농사를 지어 생존하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블록들을 쌓아 유저가 원하는 형태를 쉽게 만들 수 있어 게임 지형의 변화나 건축을 유저의 입맛대로 할 수 있다. 아기자기한 집을 짓고 살아가거나, 웅장한 성이나 빌딩을 지을 수도 있고, 픽셀 그래픽처럼 블록을 쌓아 그림을 그릴 수도 있다. 정확히는 복셀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이 게임 자체는 복셀이 아닌 폴리곤을 사용한다. 게임 내의 룰을 조작해 특별한 게임 모드를 만들어내기도 쉬운 편. 이러한 많은 자유 덕분에 플레이어들이 컨텐츠를 스스로 창조할 수 있어 폭발적인 인기와 판매량을 달성한 게임이다. 누적판매량 1억장 이상의,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인디 게임이지만 제작사가 마이크로소프트에 인수된 후로는 단순히 인디 게임이라고 부를 수 없다.

연령이나 성별에 무관하게 모두가 즐길 수 있을 정도로 게임 내용이 건전하기 때문에 어린이 유저들도 많으며, 이러한 이용자층에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어서 북미에서는 도서관 등에서 마인크래프트 토너먼트 프로그램을 열기도 한다. 공식/비공식 소설도 출판된다.

역사

2009년 5월 17일알파 버전으로 PC 에디션이 공개되었고, 2011년 11월 18일에 정식 버전으로 공개되었다. 모바일 에디션 또한 같은 해에 출시되었다. 줄여서는 마크 혹은 마인크 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MC라고 불린다.

이후 PC, 모바일, XBOX 등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마인크래프트는 더욱 더 성장하였고 유저들에 의해 모드, 서버, 리소스팩 등이 개발되면서 마인크래프트는 대규모게임이 되어버렸다. 마인크래프트의 내부 콘텐츠가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보고 싶다면 업데이트 내역 참고.


플랫폼 및 버전

※ 아래의 버전들은 마인크래프트 사이트를 참고해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바람. ※ 모바일로 열람 시 가로 화면으로 보는 것을 권장함.

플랫폼기기발매일버전가격구매
Java 에디션Windows
macOS
Linux
2011년 11월 18일 정식 버전 출시일. 알파버전은 2009년에 나왔다.정식
1.12.2 (게임)
2.0.1003 (런처)
개발
17w50a
$34.99 Canadian dollars
$26.95 American dollars
30,000원 2016년 원화 결제가 가능해졌다. 비자, 마스터카드 등의 해외 결제 가능 카드가 있으면 된다. 2017년 5월 5일부터 일부 편의점에서 기프트 카드를 판매한다.공식
포켓에디션Android2011년 10월 7일정식
1.2.7
베타
없음
$7.698,429원 (세금 10% 제외)플레이
iOS2011년 11월 17일1.2.7애플
Amazon Fire TV2014년 4월 2일 정확하게는 포켓에디션이 업데이트되면서 0.8.2에서 Fire TV를 지원하기 시작한 것이다.1.2.7아마존
Windows Phone2014년 12월 10일0.16.2(최종)$7.697,700원 (세금 10% 제외)윈도우
Windows 10 Mobile 윈도우폰 8은 지원이 중단되었지만 윈도우 10 모바일 지원을 새로 시작하였다. 윈도우폰 8에서 이미 구입한 플레이어는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2017년 2월 22일1.2.7$6.998,800원 (세금 10% 제외)윈도우
Windows 10 최근 들어서는 엑스박스 계정이 의무적으로 필요하지는 않게 되었다. 단, 엑스박스 계정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온라인과 관련된 기능들이 제한된다. 설치할 때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Oculus Rift 지원은 2016년 8월 16일부터2015년 7월 29일정식
1.2.7
베타
없음
$26.99 자바에디션 구매자는 무료. 구매 후 하나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만 등록되는 키를 함께 받을 수 있다. 마인크래프트 포켓에디션 1.0 출시 이후 베타라는 이름이 사라지고 정식판이 돼서 기존 $9.99 (11,000원)에서 가격이 인상되었다.30,400원(세금 10% 포함)윈도우
Gear VR 마인크래프트 포켓에디션을 구매했어도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2016년 4월 27일1.2.7$6.998,400원 (세금 10% 제외)오큘러스
Apple TV 마인크래프트 포켓에디션을 구매했어도 별도로 구매해야 한다.2016년 12월 20일1.1.5$19.99 (세금 10% 제외)정보 없음아이튠즈
콘솔에디션PS32013년 12월 17일1.61$19.9919,600원 (세금 10% 제외)PS
PS42014년 9월 4일1.62PS
PS Vita2014년 10월 15일1.61PS
Xbox 3602012년 5월 9일TU5918,600원 (세금 10% 제외)Marketplace
Xbox One2014년 9월 5일CU5026,500원 (세금 10% 제외)엑스박스
Wii U2015년 12월 17일Patch 29$29.9920,000원 (세금 10% 제외)닌텐도
Switch2017년 5월 12일Patch 9미정 2017년 7월 14일부로 게임물등급위원회 12세 이용가 심의는 받아둔 상태이다. # 닌텐도
파이 에디션Raspberry Pi2013년 2월 11일0.1.1(최종)무료 라즈비안 OS에 미리 설치되어 있거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함. 혹은 터미널에서 sudo apt-get install minecraft-pi로 설치가 가능함. 근데 이걸 무료라고 좋아할 사람이 있을까...공식

Better Together 업데이트

{{틀:본문| 문서명=마인크래프트/포켓에디션/업데이트 내역}}

2017년 여름으로 예정된 Better Together 업데이트를 통해 기존의 각종 에디션들이 깔끔하게 'Minecraft'라는 이름으로 통합된다. 대상 기종은 콘솔에디션 Xbox One, 닌텐도 스위치, 발표 시점인 2017년 E3에서는 Playstation 기기들은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발표되어있다.과 Windows 10 에디션, PE (iOS, Android), 그리고 VR기기. 포켓에디션은 무료 업데이트 형태로 지원하고 콘솔 에디션은 기존 구매자들이 새로운 버전의 'Minecraft'를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마인크래프트 PC는 'Minecraft : Java Edition' 이라고 명칭이 바뀐다.

일부 에디션에서 아이템이나 블록 구성에 차이가 있어서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아예 싹다 구현할 계획이라고 한다. 즉, 색유리나 음반, 갑옷 거치대, 방패, 책과 깃펜, 뼈블록 등 모두 구현할 계획이며 여기에는 이번 Java에디션 1.12에서 선보인 앵무새도 포함되어 있다.

DLC 역시 통합된다고 한다. 현재 PE판은 코인이라는 가상화폐를 도입하여 각종 부가 팩을 구매하는 방식인데 이 방법으로 모두 통합되며 한 기종에서 부가팩을 구매할 경우 통합된 다른 기종에서 그것을 또 구매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

인게임 서버도 지원할 예정이다. 현재 PE에서의 렐름과는 다른 개념이다. 마인크래프트 시작 메뉴 안에 서버 브라우저를 도입하여 이것을 통해 개인서버나 클라우드 서버 등으로 연결시켜 줄 것이라 한다.

이외에도 단순히 텍스쳐 교체만 하는 것이 아닌, Java에디션 셰이더처럼 실제 그래픽 향상이 가능하도록 2018년에 시스템을 패치할 것이며, 그것을 최대로 활용한 셰이더 팩인 Super Duper Graphics 팩을 DLC로 제공할 것이라 한다. 윈도우10과 Xbox One으로만 제공되며 무료다. 본게임이 워낙 최적화가 잘되어 있어서 그 여유 속에 만든 셰이더라 Java에디션 셰이더를 쌈사먹는다. 무려 4K HDR을 지원하기 때문에 성능 빵빵한 PC를 위한 것이라 봐도 된다. 실제로도 공식 소개에서 하이엔드 유저를 위한 것이라 명시하고 있다.

난이도

마인크래프트에서는 처음 맵을 생성할 때의 설정과 생성한 뒤 게임 내부의 설정, 그리고 /difficulty 명령어를 이용해서 맵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난이도는 평화로움, 쉬움, 보통, 어려움 4가지가 있다. 처음엔 보통으로 시작한다. 후술하겠지만 PC판에서는 난이도가 매우 어려움으로 측정되며, 체력바도 찡그린 눈이 있는 하트 모양으로 변하고, 한번 죽으면 다신 그 월드에선 살아날 수 없는 일명 "하드코어"모드가 있다!!

  • 평화로움 (Peaceful)

대부분의 공격적 몹이 나오지 않고 만약 존재했었다면 난이도가 변경되는 즉시 사라진다. 공격적 몹 중 셜커, 엔더 드래곤, 그리고 중립적 몹 중 늑대와 북극곰은 나올 수 있지만 플레이어를 공격하지는 않는다. 이 난이도에서 플레이어를 공격할 수 있는 몹은 라마, 엔더 드래곤 직접 공격하진 않고 플레이어가 직접 드래곤의 몸에 맞으면 데미지를 입는다., 북극곰, 자연 스폰된 철 골렘이 유일하다. 하지만 엔더 드래곤 빼고는 다 중립적이라서 건드리지만 않으면 된다. 배고픔도 닳지 않기 때문에 플레이어는 황금사과와 후렴과 이외의 음식은 먹지 못한다. 몹이 공격하지 않는 특징 때문에 건축을 할 때 주로 쓰인다.

  • 쉬움 (Easy)

보통 난이도보다 적은 공격력을 가진 공격적 몹이 나온다. 배고픔이 전부 닳으면 체력이 10(하트 5개)까지 떨어진다.

  • 보통 (Normal)

몹의 공격력이 쉬움 난이도보다 더 높아진다. 배고픔이 전부 닳으면 체력이 1(하트 반개)까지 떨어진다. 동굴거미가 공격할때 독을 입히고, 위더의 해골에 맞으면 시듦 II 효과가 걸린다.

  • 어려움 (Hard)

몹의 공격력이 보통 난이도보다 더 높아진다. 좀비가 나무 문을 부술 수 있게 된다. 배고픔이 전부 닳으면 체력이 떨어져서 죽을 수 있다. 하드코어에서는 난이도가 어려움 난이도로 고정된다.

게임 모드

마인크래프트의 게임 모드는 서바이벌 모드, 크리에이티브 모드, 어드벤처(모험) 모드, 관전자 모드의 4가지로 나뉜다. (하드코어는 옵션 사항이므로 제외.) 크리에이티브 모드로 바꾸는 명령어가 /gamemode 1, /gamemode c, /gamemode creative 이고 서바이벌로 바꾸는 명령어가 /gamemode 0, /gamemode s, /gamemode survival 이라는 이유로 한국인들이 크리에이티브 모드 자체를 게임모드 또는 겜모라고 부르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지만, 이는 엄연히 잘못된 표현이다. 게임 모드 변경 방법은 게임 내 명령어(/help)를 이용한 방법이 있으며, 게임 모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게임모드 명령어 항목 참조.

서바이벌(Survival)

각종 목재나 석재, 광물 등의 재료를 수집하고 필요한 아이템을 조합하여 건물을 짓는 등 마인크래프트의 기본이 되는 모드. 체력과 허기, 경험치 등의 요소가 있다. 클래식 시기의 서바이벌 테스트 때 추가되었으며, 베타 1.8 버전에 허기가 추가된 이래로 별도의 변경사항이 없다. GUI의 왼쪽에 체력은 하트 게이지로, 하트 한 개가 체력 2로, 기본 체력은 20이다. 오른쪽은 고기 모양의 허기 게이지며, 갑옷을 입을 경우 하트 게이지 위에 아머 게이지가 표시된다. 그리고 물속으로 들어가면 허기 게이지 위에 공기 게이지가 표시된다. 1.6업데이트로 추가된 말, 당나귀, 노새와 1.11에 추가된 라마를 타게 되면 허기 게이지가 말(라마)의 체력 게이지로 바뀌고 경험치 바는 말의 점프 게이지로 바뀐다.

하드코어(Hardcore)

전체적으로 서바이벌과 비슷하지만 보너스 상자, 치트 설정을 켤 수 없고 난이도는 매우 어려움으로 고정되며 한 번 죽으면 부활할 수 없다. 일반 모드에서는 죽었을 시 리스폰 버튼과 메인 메뉴 버튼이 뜨는데, 하드코어에서 죽으면 하드코어 모드에선 리스폰 할 수 없다는 문구와 함께 세계 삭제 버튼과 관전 버튼 관전모드는 1.8부터지만 버튼은 1.10부터만 덩그러니 떠 있다. 여기서 관전 버튼을 누르고 명령어로 서바이벌모드나 크리에이티브모드로 바꿀 수 있다. 그래서 죽어도 서바이벌로 이어 갈 수 있다. 하드코어는 맵 선택 창에서 붉은색 글자로 난이도가 표기되며, GUI의 체력 게이지도 일반 모드와 다르게 표시되므로, 다른 모드와 화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본 서바이벌 모드처럼 하고 싶다면 월드 파일을 백업시켜 놓자.

하드코어는 게임 모드가 아닌 월드 옵션에 속한다. 따라서 /gamemode 명령어로 켜고 끌 수 없다.

하드코어 모드로 멀티플레이어 서버를 구성했다면 사망 시 아이디가 자동으로 무기한 밴 처리된다. 물론 오퍼레이터(관리자, 일명 오피)가 풀어줄 수는 있다.

크리에이티브(Creative)

대부분의 아이템을 무한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체력이 감소하는 요인이 거의 없어지는 모드. 하지만 캐릭터를 죽이는 명령어를 쓰거나(/kill), y = -64 밑(공허, the Void)으로 떨어질 경우 대미지를 입게 되어 죽게 된다. 일정 버전 이상부턴 y = 0 이하로 떨어지자마자 대미지를 입는다. PE버전은 죽지 않고 y = -40 까지 떨어지면 더 이상 떨어지지 않고 멈춘다.

아이템을 쉽게 설치하고 파괴할 수 있어 건축이나 실험 용도 등으로 사용된다.

크리에이티브 모드는 마인크래프트 클래식이 제작된 시기부터 시작되었으며, 현재 대부분의 유저들이 사용하는 크리에이티브 모드는 베타 1.8 버전부터 적용되었다. 하지만 클래식 버전도 크리에이티브라고 볼 수 있다.

정식 1.3 버전부터, 용도가 비슷한 아이템끼리 탭으로 분류된 지금의 아이템 인벤토리로 바뀌었으며, 아이템 검색 탭이 추가되었다. 한국어로 플레이 시, 한글 입력 패치모드 (일명 한글패치)가 없다면 TNT와 Cat 음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템은 검색할 수가 없었으나(한글로 한 자 치고 알트 키 누르고 다시 한글 한 자치면 가능), 정식 1.9 업데이트를 통해 입력할 길이 생겼다. 또한 모드에서 아이템을 추가하는 경우 모드에 따라서 새 탭이 생기기도 한다. 새 탭이 생기는 경우에는 인벤토리 맨 상단에 화살표 버튼과 (현재 페이지/전체 페이지)를 표시하는 글자가 있고, 화살표를 눌러 페이지를 바꿀 수 있다. 바닐라 상태에서 탭이 하나라도 추가된다면 2번 페이지부터 시작한다. 마인크래프트 자체에서 페이지 시스템을 지원하는지 포지에서 지원하는지는 추가바람. 탭이 많으면 3, 4 이상으로 넘어갈 수 있다. 대형 모드 팩의 경우 탭이 몇십개를 넘어 원하는 탭을 찾기조차 힘든 상황이 생기기도 한다.

모든 블록을 파괴할 수 있고 단, 칼 종류로는 블럭 파괴가 불가능하다., 공중 부양이 가능하다. 기본 조작 키 기준으로 스페이스 바를 빠르게 2번 누르면 비행할 수 있다. 위로 올라갈 땐 스페이스 바, 아래로 내려갈 땐 Shift를 누르면 되고, 스페이스 바를 두 번 누르면 비행 상태가 풀린다. 소소한 팁으로, 스페이스와 Shift를 동시에 누르고 있으면 공중에서 웅크리기가 가능하다.

경험치는 가지고 있는 경험치와 상관없이 무한 처리한다. 다만 이것도 정식 1.2까지는 무한이 아니어서, 직접 인챈트 병으로 직접 올려서 사용해야 했다.

또 일반적인 방법으로 획득이 불가능한 아이템을 사용할 수 있다. 크리에이티브 모드에서만 획득 가능한 동물, 몬스터 스폰 알들이 그 예시이다. 방벽 블록이나 명령 블록 같은 경우 크리에이티브 모드 게임 내 아이템 목록에도 존재하지 않아서 대화창에 명령어를 입력해 얻어야 한다.

픽 블록 키 바라보고 있는 블록을 인벤토리 슬롯에 가져오는 것를 쓸 수 있다. 보통은 마우스 휠 키를 클릭하는 방법이다. Ctrl 글쇠를 누른 상태로 누르면 복사하는 블록의 NBT태그까지 복사한다. 예를 들어, 상자에 대고 마우스 휠키만 누를시에는 상자 블록만 복사되나, Ctrl + 마우스 휠키를 사용하면 상자 안에 내용물까지 전부 복사한다. 이 기능은 1.8 이상부터 가능하다. OS X에서는 Ctrl 글쇠를 누르지 않아도 픽 블록 시 NBT가 복사되는 버그가 있다.

이상의 내용을 보면 알겠지만 사실상 절대자의 위치에서 플레이가 가능한 모드다. 따라서 뭔가 간단히 만들고 싶을 때, 실험실, 건축 등에 자주 쓰인다.

모험(Adventure)

정식 1.3 버전에서 추가된 모드. 처음 추가된 이후로 수정에 수정을 거듭한 모드. 서바이벌 모드와 비슷해 보이지만 실상은 블록의 설치, 파괴, 일부 블록의 조작이 전혀 불가능한 하드코어 모드로 생 야생에서 이걸 이용한 게임은 불가능하고 정식 1.7 까지는 도구를 가지고 있다면 해당 도구가 부술 수 있는 건 부술 수 있기는 했다. 예를들어 곡괭이로는 광물 종류만 파괴 할 수 있고 다른 종류의 블록(흙, 목재 등)은 파괴할 수 없었다. 어드벤처나 미니게임, 퍼즐 게임 맵을 배포할때 많이 애용된다. 블록을 부수게 할려면 커맨드 블록을 이용해 특정 블록을 부술수 있게 도구에 태그를 붙여야 한다. 예를들어 NBT 태그를 CanDestroy:[stone,wool] 로 설정하면 해당 아이템은 돌과 양털을 부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특정 블록에 커서를 놓아야만 설치되게 할 수도 있다.

관전(Spectator)

마인크래프트 1.8 스냅샷 14w05a 때 추가된 모드로, 말 그대로 관전자 모드. 크리에이티브 모드보다 자유로운 이동 상태가 된다. 아예 지형을 뚫고 유령처럼 이동할 수 있다! 처음에는 상하 이동 속도는 못 바꿨지만 후에 마우스 휠로 가능하도록 바뀌었고, 멀티로 플레이어에게 다가가서 클릭을 하면 그 플레이어 시점으로 볼 수 있다. 자신이 있는 세계에 명령어를 제외하고 전혀 관여할 수 없다. 모든 블록, 몹, 엔티티, 플레이어에게 영향을 끼칠 수 없다. 인벤토리랑 상자, 화로 등도 내용물 확인만 할 수 있다. 채팅은 당연히 가능하다. (하지만, 던전에 있는 상자는 플레이어가 열기 전 내용물을 확인할 수 없다.) 그리고 관전 상태에서는 물건을 지을 수 없고 아이템을 꺼내지도 못한다.

조작은 기본 마크와 동일하나 휠 키로 퀵 바가 아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최저로 내리면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휠 키를 누르면 메뉴가 뜬다. 아이템 선택하듯 메뉴 조작이 가능하며 1번은 플레이어의 위치로 가기, 2번은 같은 팀의 위치로 가는 메뉴, 8번은 다음 페이지, 9번은 닫기다. 대상을 더블 클릭하거나 단축키를 통해서 모든 엔티티에 들어가서 그들의 시선으로 화면을 볼 수 있다. 엔더맨과 크리퍼, 거미는 별도의 화면이 제공된다. 크리퍼는 녹색 화면, 거미는 분할 화면, 엔더맨은 색반전 화면이 된다. 셋 모두 Super Secret Setting의 셰이더 중 하나다. 또 이 상태에선 투명화된 대상을 보는것이 가능하다.

1.8버전이 되면서 생긴 디버그 모드 기능으로 F3 키와 N 키를 같이 누르면 창작(Creative) 모드와 서로 뒤바꿀 수 있다.

OST

마인크래프트 OST 2016
C418 작곡
0:00:00Key
0:01:04Subwoofer Lullaby
0:04:40Living Mice
0:07:30Haggstrom
0:10:53Minecraft
0:15:08Oxygene
0:16:14Mice on Venus
0:21:08Dry Hands
0:22:04Wet Hands
0:23:34Clark
0:26:46Sweden
0:30:21Danny
0:34:38Biome Fest
0:40:58Blind Spots
0:46:34Haunt Muskie
0:52:32Aria Math
0:57:54Dreiton
1:06:05Taswell
1:14:32Mutation
1:17:46Moog City 2
1:20:52Beginning 2
1:23:56Floating Trees
1:28:01Concrete Halls
1:32:22Dead Voxel
1:37:24Warmth
1:41:28Ballad of the Cats
1:46:03Boss
1:51:48End 마인크래프트 배경음악 중에서 가장 길다. 재생 시간이 무려 15분 3초나 된다.

{{#evt:service=youtube|id=Dg0IjOzopYU}}

  • 2016년 기준 마인크래프트 전체 OST. 우측의 곡 목록 참고.

{{#evt:service=youtube|id=CfFsP0SbxMI}}

  • 'Wet Hands', 'Dry Hands', 'Mice on Venus'의 피아노 버전.

피아노 선율의 곡이 대부분이며, 곡은 독일의 인디 작곡가 C418이 작곡했다. 게임 내에서 디스크 틀 때마다 나오는 그 양반 맞다. 전투 상황에 흘러나오는 곡은 없으나 오버월드, 네더, 엔드에 따라 별도의 음악이 존재하며, 평상시 랜덤으로 재생된다. 플레이어의 감성을 자극하는 멜로디가 인상적이며, 한없는 평화로움에 빠져 실로 플레이어를 나른하게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Volume Alpha라는 타이틀로 밴드캠프에서 6달러의 가격으로 살 수 있다. 이 앨범에 들어간 노래는 게임 내 시스템 파일에 Calm1~3, Hal1~4, Nuance1~2, Piano1~3으로 존재하고, 게임 내 디스크로 존재하는 노래는 13번과 Cat만 있다. 참고로 마인크래프트 위키에 따르면 한때 Calm4도 있었지만 제거되었다고 한다. 노래 분위기를 봐선 보스전 같은 데서 쓰일 예정이었던 듯. Calm4를 추출해서 들어보면 중간에 낮은 목소리로 Mojang Specifications라고 말하는 소리가 들린다.

2012년 11월 9일에는 Volume Beta라는 제목으로 새로운 앨범이 추가되었고, 7달러로 구매 가능하다.

이 앨범에 들어간 노래는 게임 내 시스템 파일에 Menu1~4, Creative1~6, Nether1~4, End, Boss로 존재한다. 이 중 Nether1, 2 그리고 End는 마인크래프트 Xbox 360에 있던 노래다. Credits라는 노래도 앨범에 있지만 게임 내에서는 나오지 않는다. 게임 내 디스크로 존재하는 노래는 Alpha에 수록한 13번과 Cat를 제외하고 모두 수록했다. 참고로 디스크 11번은 앨범에 존재하나 노래 제목이 11번이 아니다.

어레인지도 여럿 있으며 일본의 동인 음악 창작계 컴필레이션 서클인 Diverse System에서는 Dear. Mr. Minecraft라는 어레인지 앨범을 내놓기도 하였다. 단, 실물 앨범은 2014년 8월까지만 판매했다.

하위 문서

{{틀:마인크래프트/관련 문서}}

{{틀:마인크래프트/아이템}}

{{틀:마인크래프트/업데이트 내역}}

{{틀:마인크래프트/포켓에디션/업데이트 내역}}

마인크래프트모든 하위 문서를 분류한 문단입니다. 새로 발견되거나 생성된 문서는 분류에 맞게 추가해주세요.
※ 편의상 문서로 존재하지 않는 분류도 추가하였습니다.
※ 정렬 순서는 가나다-ABC순입니다.

관련 링크

공식 개발사 공식 공식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