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제국 국무대신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4월 29일 (수) 19:21 판
대경제국 국무대신기.png
대경제국 국무대신
大敬帝國 國務大臣
The Emperor Advisor and Counselor Minister of Korea Empire
파일:김당정 국무대신.jpg
현직김당정 (8대)
취임일2016년 12월 5일
파벌개혁파
산하 조직7 위원회

개요

대경제국 국무대신(영어: The Emperor Advisor and Counselor Minister of Korea Empire, 한문: 大敬帝國 國務大臣)대경제국 국무원의 수장이다.

상세

국무대신은 국무원의 수장이자 모든 궁무부 기관들을 대표한다. 그렇다고 하여 모든 궁무부 기관의 수장직을 겸하지는 않는다.

어째 이름만 보면 나라(國)의 정무(務)를 관장하는 신하(大臣)라 해석하여 총리라 보일 수 있는 직책명인데 엄연히 그냥 대경제국 국무원의 수장이라는 뜻이다. 이는 내명부내관부를 제외한 내명부 수장 직책명은 제조상궁이고 내관부 수장 직책명은 도관상선이다. 다른 궁무부 기관 수장들에 직책명의 뜻과 동일하다. 궁내부의 수장은 궁내대신, 원로원의 수장은 원로대신, 승정원의 수장은 승정대신이다.

1대 국무대신인 김의수 남작은 스위스 유학파 출신으로 황실과 동반으로 스위스로 망명하였을 때, 만 17세였다. 유럽의 개혁적인 학문을 접하여 개혁파 귀족이 됐다고 한다. 스위스에 있는 동안 개혁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다는 김의수 국무대신? 2대 국무대신인 이영걸 남작과 3대 국무대신인 차남영 남작은 김의수 남작의 1세대 제자들이고 평상택 남작은 2세대 제자 출신이다. 유일한 보수파 귀족 국무대신인 김일선 남작은 김의수 남작과 보통학교 동기여서 제정복고 이후 그로부터 개혁적인 사상들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이때문에 귀족원로였던 그가 개혁적인 정책들의 시행을 묵인해준 결정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문제는 그래도 보수파 소속인지라 위에서 말한거처럼 급진적인 개혁 정책들을 대부분 철회시키거나 폐지를 시도했다.

역대 국무대신

대경제국 국무대신기.png
대경제국 국무대신
大敬帝國 國務大臣
The Emperor Advisor and Counselor Minister of Korea Empire
1대2대3대4대5대6대 7대 8대
김의수
(1987 ~ 1991)
이영걸
(1991 ~ 2001)
차남영
(2001 ~ 2004)
이임선
(2004~2008)
평상택
(2008 ~ 2011)
김일선
(2011 ~ 2016)
이청민
(2016)
김당정
(2016 ~ 현재)
빨간색은 개혁파, 파란색은 보수파 소속 국무대신을 뜻한다. 회색은 알수없음이다.

임면

임명

파면

권한

예우

직속 위원회

  • 궁무부재정회의 - 칙령 제5호, 궁무부에 관한 칙령
  • 보익사정무위원회 - 칙령 제22호, 보익사에 관한 칙령
  • 시종·지밀지원위원회 - 칙령 제4호, 궁내시종조직에 관한 칙령
  • 궁내위생향상위원회 - 칙령 제19호, 궁내위생에 관한 칙령
    • 사옹원검차소위원회 - 사옹원조칙
  • 국무자문회의 - 국무원원령 제1호, 국무자문회의 정령
  • 황실사무총괄지원위원회 - 국무원원령 제2호, 황실사무총괄지원위원회 보령
  • 시종검수위원회 - 시종조칙

기타

  • 국무대신에 관한 규정은 대부분 국무원법에서 정하지만 국무원원령 제5호를 통해 일부 규정이 별도로 정해져 있다.

관련문서

각주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