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제국(Rtyuitygr)

Rtyuitygr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2월 17일 (금) 00:03 판
에티오피아 제국
የኢትዮጵያ ንጉሠ ነገሥት መንግሥተ
에티오피아 제국 국기.png 에티오피아 제국 국장.png
국기 국장
ኢትዮጵያ ፡ ታበጽ ፡ እደዊሃ ፡ ሃበ ፡ እግዚአብሔር
에티오피아는 하나님을 향해 그 손을 들리로다
상징
국가 에티오피아여 행복하라
국화 칼라디움
국조 사자
국목 없음
위치
[[파일:]]
역사
1270년 건국

1894-95년 이탈리아와 전쟁 1931년 헌법 제정 1936년 이탈리아 강점 1941년 이탈리아 강점에서 해방 1974년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 퇴위 1975년 메넬리크 3세 즉위

지리
면적 2,149,690km²
수도 아디스아바바
최대도시 아디스아바바
접경국 소말리아,케냐,수단 등등
인문환경
인구 전체인구 124,076,226명
민족구성 오로모인 (34.5%) 암하라인 (26.9%) 티그라이인 (6.2%) 소말리인 (6.1%)
인구밀도 92.7명/km²
출산율 4.15명
종교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종교 분포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43.5%) 개신교 (18.6%) 이슬람교 (33.9%) 토착 신앙 (2.6%)
공용어 암하라어,그으즈어
지역어 암하라어, 그으즈어
군대 에티오피아 제국군
행정구역
1급 행정구역 주 12개[에리트레아주, 티그라이주, 암하르주, 아파르주, 베니샹굴구르즈주, 오로비아주, 소말리주, 시다마주, 남부국민민족인민주, 남서에티오피아인민주, 감벨라
2급 행정구역 특별시
3급 행정구역 자유 경제 구역 아스마라 항구 구역, 아디스아바바 중앙구, 하라르 경제구
정치
정치체제 입헌군주제 반 전제군주제
국가원수 메넬리크 3세
국가요인 정부수반 메넬리크 3세
느구서 너거스트 메넬리크 3세
여당
경제
경제체제 자본주의
명목 GDP GDP
1인당 GDP
수출입액 수출액
수입액
외환보유액
신용 등급 매우 높음
화폐 공식화폐 에티오피아 비르
ISO 4217
단위
법정연호 서력기원
시간대 UTC+2
도량형 SI 단위
외교
UN 가입 가입
UN 가입일 1945년 10월 24일
ccTLD
.STK
국가코드
SC
국제전화코드
+737
에티오피아 제국 국장.png

개요

에티오피아 제국 혹은 에티오피아는 동아프리카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반 전제군주제 국가이다.

역사

역사에 대한 간략한 설명

에티오피아는 자기들 스스로가 인류 문명의 시작이라 여겼을 정도로 고도의 역사 문명을 갖춘 국가였다. 예쿠노 암라크 황제가 집권하여 솔로몬 왕조가 성립하고, 에티오피아 땅에서는 수없이도 많은 국가가 망하고 세워지기를 반복했다.

고대

에티오피아 제국 건국 이전, 혹은 예쿠노 암라크 황제 등장 이전의 시대에는 "다못"이란 국가가 처음으로 세워졌고, 그 외에도 여러 국가들이 세워지고 멸망하는 역사가 이어졌다. 많은 국가가 세워졌으니, 많은 종교가 뒤섞이는 것도 이상하지 않았다. 에티오피아 정교회, 이슬람, 토착신앙등을 주류로 하는 국가들이 전쟁을 벌였다.

이슬람과의 대립

현 에티오피아 내에서는 33.9%를 차지하는 종교가 이슬람이지만, 에티오피아는 고대, 중세에 거쳐 이슬람권 국가들과 분쟁, 혹은 전쟁을 이어나갔다. 특히 이웃한 국가인 소말리아와 싸움이 잦았는데, 소말리아는 현대에 이슬람이 국교로 지정되어있는 이슬람 국가이기 때문에 이들과 싸움은 불가피했다.

중세

1270년, 예쿠노 암라크 황제가 자그웨 왕조를 쇼아 술탄국을 동맹으로 끌어들여 전복시키고 에티오피아 제국을 성립 시켰다. 하지만 이도 잠시, 쇼아 술탄국을 멸망시킨 이파트 술탄국과의 전쟁을 치루고 이파트 술탄국을 몰아내었다.

이파트 술탄국과의 전쟁으로 인해 이슬람권과의 유화책과 동맹은 산산조각나게 되었으며, 에티오피아의 이슬람과의 대립이 시작되게 된다.

근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