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고르 항공 TAGORE AIR
|
|
정식명칭
|
TAGORE AIR
|
원어명칭
|
TAGORE AIR
|
국가
|
대부여국
|
설립일
|
2022.03.06[1]
|
기업규모
|
중견기업
|
창업주
|
MINJONG
|
업종
|
항공여객운수업, 항공화물운송업
|
본사위치
|
대부여국 삼산시
|
대표자
|
MINJONG
|
시가총액
|
|
기업 정보
|
자본금
|
-
|
매출액
|
-
|
영업이익
|
-
|
순이익
|
-
|
자산총액
|
-
|
부채총액
|
-
|
직원수
|
-
|
|
개요
PF 산하에서 출범한 동북아시아 지역항공사. 대부여국의 삼산국제공항을 허브공항으로 삼고 삼산-예성과 삼산-연화 노선을 시작으로 운행에 들어갔다.
PF'WAYS라는 사명을 걸고 시작하였으나 운항 시작도 전에 동방의 등불을 밝힌다는 슬로건과 함께 타고르 항공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PF를 달고있지 않은 계열사이다보니 간혹 계열사인줄 모르는 사람들고 있다. 그래도 여기는 브랜드 컬러라도 같다. (여기는 같지도 않다.)
항공기를 모기업인 PF로부터 받음으로 LCC치곤 좌석간격이 넓은 편이지만 직접 구매한 A220기종에선 안그래도 작은데 더 작다. A320시리즈 기종은 직접구매여도 기존 항공기하고 똑같이 맞춰서 그나마 다행이다.
A330-900neo를 운용하면서 비즈니스까지 운영하는 LCC로 거듭났다. 해당 기종은 초고수요 노선과 장거리 국제선에 투입된다고 한다.
대소취항 허가를 받은 항공사이다. FSC이자 국영항공사인 부여항공과 함께 받았고 LCC중엔 타고르 항공이 유일하다. 이로써 타고르 항공이 선제적으로 노보시비르스크에 취항하면서부터 대부여국과 소비에트 주권연합간의 첫 직항 항공편이 운항 시작하였다.
서비스
라운지
 |
타고르라운지 in 삼산 |
위치 | 대부여국 삼산국제공항 |
운영시간 | 24시간 |
보유기재
TAGORE AIR 보유기종 |
기종 | 댓수 |
A220-300 | 10 |
A320neo | - |
A321neo | - |
A321neoLR | (20) |
A330-900neo | 5 |
운항노선
국내선
삼산발 국내선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예성시 | 예성국제공항(ZYCC) | 모두 | A220-300 혹은 A321neo | TGO10/TGO11, 3S010/3S011 |
연화시 | 연화국제공항(UHWW) | 모두 | A220-300 혹은 A321neo | TGO12/TGO13, 3S012/3S013 |
성경시 | 성경태산국제공항(ZYTX) | 여객 | A220-300 | TGO14/TGO15, 3S014/3S015 |
성경발 국내선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예성시 | 예성국제공항(ZYCC) | 여객 | A220-300 | TGO16/TGO17, 3S016/3S017 |
연화시 | 연화국제공항(UHWW) | 모두 | A220-300 혹은 A321neo | TGO18/TGO19, 3S018/3S019 |
국제선
삼산발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대한국 노선 |
서울(인천) | 인천국제공항(RKSI) | 모두 | A321neo | TGO1000/TGO1001, 3S1000/3S1001 |
서울(인천) | 인천국제공항(RKSI) | 화물 | A321P2F | PAA1001/PAA1000, 0A1001/0A1000[2] |
제주 | 제주국제공항(RKPC) | 모두 | A330-900neo | TGO1002/TGO1003, 3S1002/3S1003 |
부산 | 김해국제공항(RKPK) | 여객 | A220-300 | TGO1004/TGO1005, 3S1004/3S1005 |
양양 | 양양국제공항 | 여객 | A220-300 | BOA100/BOA101, BS100/BS101[3] |
|
일본 노선 |
아오모리시 | 아오모리 공항 (RJSA) | 여객 | A220-300 | TGO1020/TGO1021, 3S1020/3S1021 |
도쿄도 | 하네다국제공항 (RJTT) | 모두 | A321neo | TGO1022/TGO1023, 3S1022/3S1023 |
오사카 | 간사이국제공항 (RJBB) | 모두 | A321neo | TGO1024/TGO1025, 3S1024/3S1025 |
나고야 | 나고야국제공항 | 모두 | A220-300 | TGO1026/TGO1027, 3S1026/3S1027 |
다카마쓰 | 다카마쓰 국제공항 | 모두 | A320neo | TGO1028/TGO1029, 3S1028/3S1029 |
|
미나토 노선 |
미쓰이도 | 미쓰이 국제공항 | 여객,화물 | A321neo | TGO1098/BOA1099, OC1098/OC1099 |
|
대만 노선 |
타이페이 | 타이페이 타오위안 국제공항 | 모두 | A321neo | TGO1100/TGO1101, 3S1100/3S1101 |
가오슝 | 가오슝 국제공항 | 모두 | A321neo | TGO1102/TGO1103, 3S1102/3S1103 |
타이중 | 타이중 국제공항 | 여객 | A220-300 | TGO1104/TGO1105, 3S1104/3S1105 |
|
말레이시아 연방 노선 |
싱가포르 |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 (WSSS) | 모두 | A330-900neo | TGO102/TGO103, 3S102/3S103 |
성경발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대한국 노선 |
제주 | 제주국제공항(RKPC) | 모두 | A321neo | TGO1006/TGO1007, 3S1006/3S1007 |
중화권 노선
삼산발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홍콩 노선 |
홍콩 | 홍콩국제공항 (VHHH) | 모두 | A330-900neo | TGO100/TGO101, 3S100/3S101 |
|
중화인민공화국 본토 노선 |
베이징 | 베이징 서우두(수도) 국제공항 | 모두 | A321neo | TGO110/TGO111, 3S110/3S111 |
상하이 | 상하이 푸동 국제공항 | 모두 | A321neo | TGO112/TGO113, 3S112/3S113 |
|
소련 노선
삼산발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소련 노선 |
노보시비르스크 | 톨마초보국제공항 (UNNT) | 모두 | A321neo | TGO900/TGO901, 3S900/3S901 |
이르쿠츠크 | 이르쿠츠크 국제공항 (UIII) | 모두 | A321neo | TGO902/TGO903, 3S902/3S903 |
모스크바 | 도모데도보 국제공항 (UUDD) | 모두 | A330-900neo | TGO904/TGO905, 3S904/3S905 |
|
서아시아 노선
삼산발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오스만 노선 |
이스탄불 | 이스탄불 국제공항 | 모두 | A330-900neo | TGO7000/TGO7001, 3S7000/3S7001 |
|
유럽 노선
삼산발 |
도시 | 공항 | 취급 | 기종 | 편명 |
루마니아 노선 |
부쿠레슈티 | 헨리 코안더 국제공항 (LROP) | 모두 | A350-900[4] | PAF0070/PAF0071, PP0070/PP0071 |
|
유고슬라비아 노선 |
자그레브 | 자그레브 국제공항 | 모두 | A330-900neo | TGO0090/TGO0091, 3S0090/3S009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