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시로카이간 선 (藤城海岸線)은 아키시오 후지시로 도 하나바 구의 하나바모토야마 역에서 마에하마 현 카나우라 시 카나우라 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개요
후지시로 도에서 수도권 근교 초유의 인기 관광지인 햐쿠주리 해안 (약 45km)을 거쳐 마에하마 현 서부의 중핵시인 카나우라 시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관광객과 행락객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평일 시간대에는 선로 용량의 여유가 부족한 하마사카 본선의 바이패스 노선 역할도 겸하고 있다.
카나우라 역 ~ 토쿠하마 역 구간은 토쿠하마 선 (徳浜線)으로서 1929년에 개업했다. 본래는 토쿠하마 정의 토굴에서 생산되는 새우젓, 토쿠하마 은광의 은을 수송하기 위해 만들어진 노선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토쿠하마 은광이 쇠퇴하고, 연선의 산업단지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통근객들을 수송코자 1947년 여객 겸용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나머지 구간에 대한 구상은 1970년대부터 이루어졌다. 고도경제성장과 주5일 근무제의 도입, 휴일수의 증가,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 현상은 관광 수요를 폭증시켰고, 후지시로 도에서 별로 멀지 않으면서 광활한 해안선을 가지고 있었던 햐쿠주리 해안을 방문하는 관광객, 행락객 수도 매년 폭증했다. 교통 정체를 흡수하기 위해 기존의 해안도로 (국도 제19호선)를 확장하고, 주말에는 임시 고속버스 운행도 이루어졌지만 결국은 해안도로를 경유하는 것이었기에 교통 정체를 더욱 가중시킬 뿐이었다. 때문에 철도 노선을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기 시작했고, 국토교통부는 햐쿠주리 해안과 후지시로 시내를 연결하는 신규 철도 노선의 계획을 1974년에 공고하였다. 당시에는 후지시로 남부해안선으로 불렸고, 카나우라 역까지의 연장이 확정된 1983년 이후에는 카나우라 신선 (金浦新線) 등으로 불렸다.
본래 남부해안선은 사철 노선으로 운영될 계획이었다. 초창기, 남부해안선 부설 사업 입찰에 관심을 보였던 회사는 국철과 경쟁하고 있었던 후지시로 전기철도[1], 그리고 야쿠자 기업인 사기타구미였다. 사기타구미는 "신후지시로 해안철도 주식회사"라는 법인까지 세우며 입찰에 관심을 보였으나 북웅파의 영역인 한인타운 (키타마치 코리아무라)을 침공하였다가 반격을 당해 세력이 꺾이고 말았고, 사업을 철수했다. 이어 후지시로 전기철도 또한 입찰을 포기하였다. 후지시로 전기철도는 "사업의 채산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이유로 입찰을 포기하였으나, 항간에는 내각 및 국회와의 조율에서 기대만큼의 지원금을 보장받지 못한 것에 대한 불만이라는 이야기가 돌고 있었다.
1978년, 노선이 계속 유찰됨에도 불구하고 남부해안선이 지나가기로 발표된 연선 지역 (후지시로 도 니시 구, 자카비베츠 군, 하타노 군, 오시베 군) 주민들로부터 노선 설치를 촉구하는 탄원이 빗발치자, 국토교통부는 당초 사철에 양도한다는 노선 사업을 수정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노선은 국철에서 건설하고 운영하는 것으로 결정되었고, 종점이 될 예정이었던 오시베 역에서 이름을 따 오시베 선 (忍部線)으로 노선을 명명하였다. 이 때 오오타 건설, 건설업을 병행하던 사기타구미 측에서 자신들이 연선 예정지에 조성한 택지에 입주한 주민들로부터 받아낸 "남부해안선 부설 대비 교통분담금"을 횡령한 사건이 일어나 물의를 빚기도 했다.
같은해 첫 삽을 뜬 오시베 선은 1983년 하나바모토야마 ~ 자카비베츠 구간이 후지시로 순환선과 동시에 개통되었다. 후지시로 순환선을 통해 기타 노선과의 환승이 용이한 신후지시로 역, 후지시로 역 (미야코차야 역)까지 직결운행을 실시함으로써 도심과의 연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이어 카나우라 역까지의 연장 계획이 발표되었고, 토쿠하마 선 구간을 통합해 노선명을 후지시로카이간 선 (藤城海岸線)으로 결정지었다. 당초 노선명은 카나우라 선과 햐쿠주리카이간 선 중에서 결정될 예정이었으나, 연선 국회의원들의 발의를 통해 후지시로카이간 선으로 명칭을 굳혀버렸다.
둘러보기
후지시로카이간 선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