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Style|틀:++1 |
---|
[ 펼치기 · 접기 ]
|
틀:Namucat/css/업데이트 노트 |
|} 틀:넘겨주기
틀 본문
설명
실험용 입니다.
나무위키 형태의 분류를 삽입하는 틀입니다. 문서 맨 위에 사용하면 분류 목록이 문서 최상단에 나타납니다. 문서 맨 위가 아닌 곳에 사용하면 그 위치에 분류가 생성되니 반드시 맨 위에 사용해야 합니다. 분류 위치 외에도 이 틀은 하단에만 1rem(모바일에서는 0.6rem)의 여백을 가지므로 이 틀 위에 다른 내용이 있을 경우 그 내용과 이 틀이 딱 붙어 버리는 현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문서의 맨 위에 사용해 주십시오.
사용법
{{namucat|분류1|분류2|분류3|…|분류100}}
분류는 총 100개까지 입력할 수 있으며, 입력할 땐 분류:
라는 이름공간 없이 해당 분류 페이지의 제목만 입력하면 됩니다. 이 틀은 세로로 사용할 수 없는데, 세로로 사용하면 띄어쓰기가 생기는 탓에 링크가 제대로 적용되지 않고 깨지기 때문입니다.
올바른 사용법 | 잘못된 사용법 | 대체 가능 |
---|---|---|
{{namucat|제이위키|위키위키|위키미디어}} |
{{namucat |제이위키 |위키위키 |위키미디어 }} |
{{namucat<!-- -->|제이위키<!-- -->|위키위키<!-- -->|위키미디어<!-- -->}} |
이와 같이 해당 분류 문서가 존재하는 경우 틀:가짜 링크, 존재하지 않는 경우 틀:가짜 링크으로 표시됩니다.
틀만 삽입하고 아무 분류도 넣지 않으면 아래와 같은 미분류 박스가 나타나며 해당 문서는 분류:namucat/미분류에 추가됩니다. 이 틀의 문서 디자인은 사용하고 싶은데 미분류 박스가 나타나거나 미분류에 추가되는 것이 싫다면 {{namucat}}
대신 {{namucat/css}}
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숨은 분류는 이 틀로 분류하지 말고 기존 분류 문법으로 분류할 것을 권장합니다.
어떤 틀 내에 분류 문법이 있어 틀을 삽입하면 분류도 함께 삽입될 때, 당연하게도 그 분류는 이 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직접 그 분류를 추가해 주어야 합니다.
blur 변수
blur숫자=
라는 이름의 변수가 있습니다. 이 변수를 선언하면 숫자에 해당하는 순서의 분류가 블러 처리됩니다. 예를 들어 blur3=on처럼 입력하면 세 번째에 입력한 분류가 블러 처리됩니다. 나무위키의 분류 블러처럼 마우스를 올려 원래 글자를 볼 수 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일정 시간 꾹 누르면 링크로 이동되지 않고 원래 글자를 볼 수 있습니다.
{{namucat|제이위키|blur1=on|위키위키|위키미디어|blur3=on}}
블러된 각 분류에 마우스를 올리면 본래 글자를 볼 수 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일정 시간 꾹 누르면 링크로 이동되지 않고 원래 글자를 볼 수 있습니다.
부가 기능
단순히 나무위키와 동일한 디자인의 분류라는 기능 외에, 이 틀을 사용한 문서에는 다음과 같은 부가 기능들이 함께 적용됩니다.
음, 틀:Exhide 이후로 제이위키의 기본 분류 창도 나무위키처럼 바뀌었으니 이제 이 틀의 핵심은 사실상 이 부가 기능들이 되지 않았나 싶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제는 단순히 '나무위키처럼 편집하고 싶다'를 넘어서 구상한 부가 기능들을 CSS로 구현하는 것이 제작자 스스로에 대한 도전이자 목표가 된 것 같기도 합니다(...).
- 모바일에서 링크를 꾹 눌렀을 때 0.5초 동안 링크에 파란 박스가 생겼다가 사라집니다. 비슷하게 나무위키를 모방한 {{나무위키 접기2}}와 {{펼치기 접기}}도 마찬가지로 접기 제목에 같은 효과가 적용됩니다.
- 모든 하이퍼링크의 색이 나무위키와 동일하게 바뀝니다. 아마 제이위키의 다른 문서들과 비교해 보면 링크의 파란색이 다소 진하다는 것을 체감하실 겁니다.
- 리스트가 나무위키 디자인과 레이아웃으로 바뀝니다. 나무위키 형식의 리스트만 사용하고 싶다면 틀:namulist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변경 내용도 위 틀을 참고하세요.
- 문단과 목차가 나무위키 디자인으로 바뀝니다. 이 문서에서 직접 확인해 보세요.틀:Folding
- 이미지 문법에 border 변수를 추가했을 때 나타나는 이미지의 테두리 색이 #eaecf0에서 테이블 기본 테두리 색인 #ddd로 변경됩니다.
- 기본 글씨 크기가 15px로 바뀝니다. 기존 제이위키의 글씨 크기는 14.4px이므로, 눈으로 보기에도 조금은 커졌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외 글꼴과 글씨 색도 다소 변경되었습니다.
- 사이트 최상단 내비게이션 바의 색상이 제이위키의 상징색에서 나무위키의 상징색(그라데이션)으로 바뀝니다.
- 문서의 제목 부분과 본문 부분의 경계가 사라집니다.
<pre>
태그의 디자인이 (나무위키와 동일하도록) 다소 바뀝니다. 음, 조금 어색한가요?
- 테이블 셀에 nopad라는 클래스를 입력하면 그 셀은 내부 여백이 사라집니다. 틀:이미지 여백 제거처럼 이미지를 표에 꽉 차게 넣을 때 사용할 수있습니다. 이 기능은 나무위키의 <nopad>에서 모방하였습니다.
주의
- 이 틀을 사용한 문서에는
{{DISPLAYTITLE:보일 제목}}
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미 틀 안에 보일 제목이 사용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 보일 제목을 사용하면 오류가 나 버립니다. 보일 제목을 사용해야겠다면
변수로 대신 가능합니다.DISPLAYTITLE
{{namucat|DISPLAYTITLE=보일 제목|분류1|분류2|…}}
이렇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DISPLAYTITLE=none
으로 입력할 경우 틀 바깥에서{{DISPLAYTITLE:보일 제목}}
을 원래처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틀 문서, 분류 문서 등 이름 공간이 있는 문서에서
변수를 사용한다면 이름 공간이 유지된 채 변수에 넣은 값은 그 뒤에 출력됩니다. 예를 들어 분류:제이위키 문서에서DISPLAYTITLE
{{namucat|DISPLAYTITLE=Jwiki|…}}
를 사용한다면 보이는 제목은 'Jwiki'가 아니라 '분류:Jwiki'가 됩니다.
- 틀 문서, 분류 문서 등 이름 공간이 있는 문서에서
- 이름 공간이 있는 문서에서 문서의 제목이 영어로 시작하는 문서일 경우 첫 글자 알파벳이 반드시 소문자로 입력됩니다. 이는 미디어위키에서 첫 글자 알파벳을 반드시 대문자로 출력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대문자로 출력해야 하는 글자라면
|pagename=default
라는 변수를 추가로 넣어 해제할 수 있습니다.
- 이 틀을 사용한 문서는 각주 말풍선의 디자인이 나무위키처럼 변하게 되는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말풍선의 디자인이 바뀌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는 디자인이 바뀔 때까지(...) 페이지를 새로고침하면 됩니다. 심하면 5번이 넘도록 새로고침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인내심을 가져보세요.
- 분류:깨진 파일 링크가 포함된 문서 등 문서 내 어떤 현상이나 오류로 인해 자동으로 삽입되는 분류는 당연하게도 이 틀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등호 한 개의 1단계 문단은 원칙적으로 금지입니다. |
도움말:위키 문법 문서, 문단 항목 中 운영자의 편집 |
<h1>
또는 = 등호 한 개 =
로 문단을 만들 경우 문단 윗줄에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다는 경고문이 출력됩니다. 하지만 제한적으로 허용되는 연습장 문서, 사용자 문서, 문단이 너무 많아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문서에서는 {{allowh1}}을 사용하면 경고문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위상
[전략] … 특히, 틀:Selflink은 역대 제이위키의 모든 틀을 통틀어, 가장 범용성 있고 유용한 틀로 인지하고 있습니다. … [후략] |
멋진신세계 |
[전략] … 틀:Selflink의 경우 사용자가 굉장히 많아 이러한 지원을 할 예정이지만 다른 틀들은 그렇지 않을 예정입니다. … [후략] |
모니터링 |
제작자의 수많은 보급형 틀들 중에도 가장 많은 사용자가 가장 널리 사용하는 틀이며, 근거 없는 추측이지만 틀:Exhide에서 사이트의 많은 디자인이 나무위키처럼 변화하게 된 데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이에 따라 일부 사용자들은 이 틀의 원리와 코드를 참고하여 자신만의 디자인과 형식대로 새로운 분류(+문서 디자인 변경) 틀을 만들어 내기도 했습니다. 대표적으로 윤마토군이 만든 틀:namucat-dark2, 리반이 만든 틀:namucat-liban, 멋진신세계가 만든 틀:노르웨이 왕국/테마 등이 있습니다. 이외에 틀:OEU 분류와 같은 것도 있습니다. namucat 틀의 생성 이후 이러한 "분류를 기존과 다른 방식 및 디자인으로 삽입하기 위한" 목적의 틀들이 크고 작은 유행을 만들어 냈습니다.
또한 이 틀을 시작으로 틀 스타일 CSS에서 새로운 클래스를 만들고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이 아닌 사이트에 원래 존재하는 기존 클래스의 스타일을 새로 정의함으로써 레이아웃을 바꾸어 내는 방식도 널리 확산되게 되었습니다.틀:툴팁
틀이 생성된 지 약 1년 9개월 정도가 지난 2024년 6월경틀:툴팁에는 운영자님으로부터 틀의 다크모드 지원을 위해 틀에 쓰이는 색상들을 var(--변수) 구문으로 받고 서버의 css 및 php 파일을 직접 열어 적용해 주겠다는 제안까지 받았습니다.틀:툴팁 적어도 제가 아는 한에선 운영자님께 직접 서버 간섭의 도움까지 받은 틀은 위키 최초이며, 운영자님 본인도 틀의 사용자가 많아 지원해 주는 것이고 다른 틀들은 이러한 지원이 없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둘러보기
틀:나무위키 형식 틀 모음 틀:나무위키 분류 틀 틀:Namucat 둘러보기 틀:김찬 제작 틀 틀:김찬 제작 틀/TO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