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대전광역시 시내버스/목록
{{틀:대전광역시 급행버스}}
![]() | width=100% |
우진산전 아폴로 1100 차량. | 차량도색. |
width=100% | |
2018년 10월부터 운행중인 아폴로 1100 전기버스 차량. |
노선 정보
파일:Seal of Daejeon little.png 대전광역시 급행버스 1번 | |||||
width=100% | |||||
기점 | 대전광역시 유성구 원내동(원내동공영차고지) | 종점 | 대전광역시 동구 신안동(신안동) | ||
종점행 | 첫차 | 05:25 | 기점행 | 첫차 | 05:45 |
막차 | 22:35 | 막차 | 23:10 | ||
평일배차 | 8분 | 주말배차 | 8~9분 | ||
운수사명 | 경익운수 | 인가대수 | 18대 토요일은 17대, 공휴일은 15대만 운행. | ||
노선 | 원내동공영차고지 - 진잠동주민센터 - 롯데마트서대전점 - 건양대병원네거리 - 가수원육교.가수원시장 - 정림삼거리 - 도마삼거리 - 도마시장 - 버드내아파트 - 유천시장 - 서대전역네거리 - 서대전네거리역 - 중구청 - 중앙로역 - 대전역.목척교 → 신안동 → 대동역 → 역전시장 → 대전역.목척교 → 이후 역순 |
중간 출발 정류장 | |
신안동 방향 | 도마시장05:25, 가수원05:25 |
원내동 방향 | 없음 |
개요
경익운수가 운행하는 급행버스 노선. 전체
역사
- 2008년 개편으로 급행버스가 도입되었을 때 신설되었다. 노선 자체는 구 220번(서일고 - 대덕구청)의 단축 및 급행형 노선이다.
- 2013년 6월 25일에 1대가 감차되어 18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대전광역시
- 종점지 회차문제 해결을 위해 2014년 3월 19일부터 대전역동광장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종점이 대전역동광장에서 신안동으로 변경되었다. 대전광역시
- 민원을 의식하여 2015년 4월 17일부터 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대전충남병무청정류장 대신 수요가 상대적으로 훨씬 많은 서대전역네거리에 정차한다. 그리고 신선마을아파트에 추가로 정차하게 되었다.
2, 3번은 왠지 변동이 없다대전광역시
- 중간 출발지가 정림삼거리에서 가수원으로 바뀌었다. (시기 미상)
특징
- 대전광역시 3개 급행노선 중 하나. 모든 차량이 붉은 색으로 도배되어 있으며, 주요 정류장만 정차하는 급행이라 대전 서남부권 시민들의 도시철도 역할을 하고 있다.
트램이 완공되면 큰 타격이...
- 대전의 급행버스도 과거 좌석버스가 하던 역할을 계승했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계룡 버스 2002번이 개통되기 전까지는 구 201번 좌석버스의 시내단축 버전으로서 그 역할을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 대전 서남부권 관저동, 원내동에서 시내로 나가는 장거리 승객들이 주로 이용하는 노선으로 같은 직선 노선으로는 201번이 있다. 1번이 원도심으로 가는 장거리 수요를 빠르게 처리한다면 201번은 건양대병원 부근의 승객들 및 급행 미정차 정류장, 복합터미널로 가는 승객들을 분담한다.
- 대전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첫차가 가장 이르다.
- 배차 간격은 평일 7~9분, 토요일 7~9분, 일요일 8~10분이다. 평일 배차 간격은 대전 3등... 서남부 장거리 승객들이 많기 때문에 혼잡도도 상당히 높은 노선이다. 하지만 높은 혼잡도와 배차 간격에 비해 장거리 승객들이 많아 승객 물갈이가 잘 안 되다보니 승객 수요는 9~10위를 왔다갔다 한다.
- 한때는 저상버스가 5대가 다녔으나 2011년 급행3번이 생긴 후, 급행3번에 저상버스를 몰아주면서 한동안 입석만 다닌 적이 있었다. 그러나 급행3번에 저상이 너무 몰려있고 이때문에 출퇴근 시간에 급행3번에 혼잡도가 가중된다는 민원이 제기되어 급행3번에 투입되었던 저상 중 일부가 빠지게 되었고, 급행3번에서 빠진 저상버스는 다시 급행1번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현재 급행1번에서 저상버스는 5대 운행 중.
- 소요시간은 원내동 → 대전역이 37~48분, 대전역 → 원내동이 40~50분이다.
- 출퇴근시간대와 진잠중(대전공고 포함) 하교시간(16시 30~50분)에는 굉장히 붐빈다. 기사들이 201번을 타라고 권할 정도.
- 노선 대부분(진잠네거리 - 신안동종점 가기 전 삼거리)이 직선이다. 다만, 혼잡 구간이 많아 소요시간은 제법 걸린다.
- 2018년 10월부터 우진산전의 APOLLO 1100 1대가 운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