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구역도 | |||
![]() |
개요
대경제국의 행정구역을 설명하는 문서이다.
구성
행정구역 등급
![]() 대경제국의 행정구역 | ||||||||||||||
관주(館州) · 특별자유시(特別自由市) · 자유시(自由市) | ||||||||||||||
주(州) · 준주(準州) | ||||||||||||||
시(市) · 군(郡) · 구(區) · 정(炡) · 령(領) | ||||||||||||||
읍(邑) · 면(面) · 동(洞) | ||||||||||||||
리(里) · 통(統) | ||||||||||||||
반(班) |
세부 구성
- 행정구역의 1급에는 관주와 특별자유시, 자유시가 있다. 특별자유시는 제국의 주요 요충지에 설치되는 광역자치단체로 청경에만 설치됐으나 제정 복고후 명경에도 설치됐다.
- 자유시는 특별자유시와 같은 1급에 위치하나 특별자유시에 비해 자유시는 상업, 군사 소규모 요충지에 설치되거나 인구가 많은 2급, 3급 행정구역이 승격된 것이고 구성도 특별자유시는 2급의 '주'가 존재하나 자유시는 '준주'도 거의 없어 특별자유시 와는 차별화된다.
- 관주는 조행개혁 때 설치된 행정구역으로 그 규모가 매우 큰 경우가 많다.
- 2급의 주는 3급 행정구역을 통솔하는 행정구역으로 주로 3개~4개씩 설치되는 경우가 관례이나 북방 강북의 3개의 관주는 2개씩 설치되고 유독 인구가 적은 송백관주는 1개가 설치된다.
- 준주는 주를 설치하기에는 애매하고 그렇다고 안 설치하기에는 행정력이 미치지 않는 곳에 설치되는 행정구역으로 강북에 많이 설치된다.
- 현재는 없지만 설치가 유력한 최북단의 도희준주가 독주주로 승격될 수 있는데 독주주는 1급 행정구역에 준하는 자치행정권이 부여된다. 물론 논의만 되고 있을 뿐 공식설치는 안되어 있다.
- 3급의 시는 상업 중심지나 인구 밀집지에 설치되는 3급 행정구역으로 관주에 속한 주와 준주에만 설치된다.
- 3급의 군은 농업, 중공업 중심지나 인구 저밀집지에 설치되는 3급 행정구역으로 관주에 속한 주와 준주에만 설치된다.
- 3급의 구는 특별자유시, 자유시에 설치되는 3급 행정구역으로 그 규모가 작은 경우가 많다.
- 3급의 정은 령과 일맥상통하며 주로 황실이나 귀족의 영지에 설치되는 행정구역으로 설치된 지역을 영지로 가진 이가 행정력을 가진다.
- 4급의 읍은 군에 설치되는 행정구역으로 군의 중심지이거나 인구 밀집지, 군의 요충지에 설치되어 군을 통솔한다.
- 4급의 면은 군이나 자유시에 설치되는 행정구역으로 설치되는 행정구역의 변경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 4급의 동은 특별자유시나 자유시에 설치되는 행정구역인데 면과는 달리 변경이라도 인구가 밀집되어 있거나 혹은 그 행정구역의 요충지가 있기도 하다.
- 5급의 리는 동을 제외한 모든 행정구역에 설치되는 최저급 행정구역으로 주로 농업 종사자들이거나 변두리 지역에 설치된다. 물론 예외도 있다.
- 5급의 통은 동에 설치되는 최저급 행정구역인데 상업 종사들이나 공업 종사자들이 산다.
- 6급의 반은 최최저급 행정구역으로 대경제국의 아주 기본이 되는 행정구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