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시스 베이컨

Admin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9월 20일 (화) 21:39 판


Philosophy.png
프랜시스 베이컨
Francis Bacon
프랜시스 베이컨.jpg
철학자 정보
출생 1561년 1월 22일
스트랜드
사망 1626년 4월 9일
미들섹스
국적 잉글랜드 국기.png 영국
분야 서양 철학(근대 철학)
학파 경험주의, 귀납적 방법론
학력 트리니티 칼리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주요 작품
주요 저서 《수상록》, 《학문의 진보》, 《노붐 오르가눔》
프랜시스 베이컨 서명.png

개요

인간의 지식과 인간의 힘은 서로 다른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원인을 모른채로는 어떤 결과도 해석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연을 지배하고자 한다면 그것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자연계가 작동하는 데에는 항상 뭔가 원인이 있다. 그것이 법칙이다.
『신기관』

베이컨과 과학철학

베이컨은 ‘새로운 과학’의 내용을 창조한 과학자는 아니지만 ‘새로운 과학’의 중요한 방법론과 그것이 가져올 세계에 대한 개혁과 진보의 상을 제시하였다. 베이컨의 주된 관심 주제는 세 가지다. 학문의 새로운 가치에 대한 강조, 학문의 장애 요인에 대한 분석, 학문을 개혁하고 진보시키는 방법이다. 첫 번째 주제는 주로 기존의 낡은 사상과 학문에 대한 비판에 모아져 있다. 특히 지식의 실용적 활용과는 무관하게 세계에 대한 사변만을 강조하는 스콜라 철학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비판하고 있다. 두 번째 주제는 인간의 오성 자체에 깊이 내재하고 있는 정신의 혁신을 저해하는 생득적인 요소들에 관한 것인데, 잘못된 네 가지 우상을 명시하고 비판한다. 종족의 우상, 동굴의 우상, 시장의 우상, 극장의 우상이다. 세 번째 주제와 관련하여, 베이컨은 실험을 강조하고 올바른 과학적 사고 방법으로 귀납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관찰과 실험을 모든 과학적인 사고의 출발점으로 삼았던 베이컨주의의 방법론은 경험론을 강화시켰고, 경험론에 기반하는 근대 물리학의 실험적 전통을 형성하는 데에도 중요하게 기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