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반정

흐아아암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1월 30일 (목) 08:39 판
이산반정
李祘反正
시기
2023년 11월 29일 ~ 2023년 11월 30일
장소
조선 한성부 경복궁 및 인근
원인
판의금부사 임명 및 폐세자 모의 사건으로 인한 정치적 갈등
주요 인물
조선 왕실(진압군)
• 국왕 이역
• 왕세자빈 한씨
반정 세력(반란군)
• 영의정 윤원형
• 왕세자 이산
• 왕세손 이향
• 휘정공주
• 소용 고씨
• 이조판서 이현식
• 병조판서 황희
• 공조판서 피로연
• 대제학 한금청
• 도승지 김대건
• 집의 이영석
• 이조참판 최명일
• 상온 박헌영
결과
이역 폐위 및 이산 즉위
영향
영의정 윤원형의 권위 회복, 신권 강화

개요

이산반정(李祘反正)은 2023년 11월 29일(후인 95일) 당시 국왕 이역과 영의정 윤원형이 판의금부사 임명 문제를 두고, 폐세자 모의 사건의 2차 갈등이 발생하여 영의정 윤원형이 왕족, 문무관 대신들을 포섭하여 국왕 이역을 폐위시키고 왕세자 이산을 왕위에 옹립한 사건이다.

내부에서 왕위를 찬탈한 반정은 2016년 왕위계승전쟁 이후, 7년만에 발생한 것이며 근현대에선 최초의 반정이다.

배경

신권파가 반정을 일으킨 이유는 여러 이유가 있었다.
첫째로 영의정 윤원형은 피스톨을 판의금부사로 임명하고자 하였으나 주상 이역이 반대하고 과거시험을 보게하라며 경복궁에서 갈등이 있었다.

신권파에서도 여러 의견들이 오갔고, 주상과 타협하는것과 반정을 일으키는 의견으로 좁혀졌다.
윤원형은 주상 이역을 찾아가 타협을 요구했으나 주상 이역은 이를 거부하였다.

경과

11월 29일(반정 발발)

• 결국 영의정 윤원형은 폐세자 모의 사건에서 생겨난 신권파와 자신에 여러 측근들과 함께 반정을 일으켰다.
• 23시 35분경 한성에서 반정군들이 포착됐고, 소리를 지르며 경복궁으로 향하는것이 포착됐다.
• 병조판서 황희도 반정군에 합류했다.
• 23시 44분경 반정군과 그들의 수장 윤원형이 경복궁을 '점령'하는데 성공했다.

11월 30일(반정 종료)

• 0시 52분경 윤원형은 경복궁에서 이역을 폐위시키고
세자를 옹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