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가상국가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19일 (화) 20:25 판
동물
動物 | Animal
100%
학명 Animalia
(Linnaeus, 1758)
분류
진핵생물역Eukaryota
계통군 단편모생물군 Amorphea
후소무생물군 Obazoa
후편모생물군 Opisthokonta
전원생물군 Holozoa
권사생물군 Filozoa
영편모생물군 Choanozoa
동물계Animalia

개요

動物 / animal

진핵생물의 계(界)중 하나로, 진핵생물 중 종속영양을 하고, 운동성이 있고[1], 세포호흡을 하며[2], 유성생식이 가능하며, 배자 발생 시 포배가 생성되는 생물들을 일컫는 말. 동물계를 정의하는 기준이 운동성만으로 결정되지 않는다.[3]

다만 유전적으로 분류하는 현대 분류학에서 진핵생물 중 단편모 생물, 그중에서도 후편모 생물중에 다세포를 이루는 생물을 말한다.

어원

단어의 뜻을 풀어쓰자면 움직이는 생물을 뜻한다. 고전적인 개념에서는 운동성을 기준으로 '동물과 식물'만 분류했기 때문에 여기에 기인한 것.

분류의 역사

과거

아리스토텔레스가 최초로 구분한 생물의 계통에서 '감각이 있는지'(sensitive)를 기준으로 감각이 있는 것을 동물, 감각이 없는 것을 식물로 나누었다.[4] 이 동식물 분류 방식은 카를 폰 린네의 계급분류기준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을 정도로 명쾌히 구분된 대분류라 할 수 있다.

동양에서는 蟲(벌레)/魚(물고기)/獸(짐승)/鳥(새)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이들을 아우르는 개념은 없었다. 전통적인 분류를 오늘날의 생물학 분류로 치면 다음과 같다.

근대에 영어 'animal', 네덜란드어 'dier'와 같은 단어가 도입됨에 따라 '動物'라는 번역어가 생겨났다. 생성 시기를 추측하기는 어려우나 화란자휘(和蘭字彙, 1850?) #에서도 오늘날 같았으면 당연히 '動物'로 옮겼을 네덜란드어 'dier'에 대해서 '動物'로 옮기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 후대가 아닐까 추측해본다. 그리고 1896년 이웃 조선독립신문에서도 '동물'이라는 표현이 쓰이니 아무리 늦어도 그 이전에 보편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 이전 대에는 '活物'(활물)[5]이라는 단어가 쓰이기도 했다.하루마화해(ハルマ和解, 1796)[6] 동양에서 언제부터 '식물'을 '생물'로 보았는지까지 고려해서 '식물을 제외한 생물'을 지칭하는 표현이 언제 처음 등장했는지도 조사해볼 만한 소재이다.


  1. 2차성장 후 평생을 착생상태로 살아가는 동물들도 많으나 생활사 전체 중 아예 움직이지 못하는 종은 없다.
  2. 연어에 기생하는 Henneguya zschokkei라는 점액포자충강의 기생충은 유일하게 동물들 중에서 세포호흡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저 있다. 또 이 동물은 비범하게도 동물 중 유일하게 미토콘드리아게놈이 없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즉 미토콘드리아와 완전히 결합하여 세포기관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한다.
  3. 해면이나 산호는 움직이지 못하지만 이들은 동물이고, 식충식물들도 움직일 수 있지만 식물이다.
  4. 그리고 이성까지 갖추면 '사람'으로 보았다. 그렇게 bios / zoë / psuchë라는 각 단계의 영혼이 있어서 식물은 bios만 가지고, 동물은 bios와 zoë를, 인간은 bios, zoë, psuchë를 모두 가지고 있다고 서술했다. # 동물/식물의 구분과는 달리 동물/인간의 구분은 오늘날 쓰이지 않고 있다.
  5. 이 '活物'라는 단어는 오늘날 '살아있는 생물'의 의미로 식물까지 포함하여 '살아있는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미가 변화하였다.
  6. 이나무라 산파쿠(稻村三伯)가 만든 일본 최초의 네덜란드어-일본어 사전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