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조류, 날짐승) 鳥類 | Bird | ||
---|---|---|
학명 | Aves (Linnaeus, 1758) | |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계통군 | 석형류Sauropsida | |
상목 | 공룡상목Dinosauria | |
목 | 용반목Saurischia | |
아목 | 수각아목Theropoda | |
계통군 | 공미룡류Coelurosauria | |
계통군 | 수도룡류Maniraptora | |
계통군 | 아비알라이Avialae | |
계통군 | 에우로르니스류Euornithes | |
강 | 조강Aves |
개요
새 조류보다 더 넓은 범위인 조익류(이빨을 가진 새)나 그 조상인 펜나랍토라까지 새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또는 조류(鳥類)는 석형류 용반목 공룡은 용반목과 조반목으로 분류하고 둘 중 조반목은 골반이 현생 조류와 비슷하다고 조반목인데, 정작 새들은 용반목이라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의 전형적 예시다. 수각류 티라노사우루스, 벨로키랍토르 등으로 대표되는 대부분의 육식 공룡들과 같은 수각류다. 가운데 날개와 부리, 아주 짧게 퇴화된 꼬리가 특징인 동물을 가리킨다. 폐호흡을 하는 정온동물로서 깃털이 나 있고 가슴뼈가 발달하였으며, 한 쌍의 날개와 한 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고, 난생으로서 알을 낳는다.
또한 공중에서의 행동에 특화된 형태로 진화하여 대부분의 새는 비행이 가능하며, 타조나 펭귄처럼 오늘날 날 수 없는 새들도 과거에는 날 수 있었다가 지상/수중 생활에 적응해 비행 능력이 퇴화한 것이라 날개 등 흔적 기관이 남아있다.
날짐승이라고도 하며, 생물학적 분류로는 조류, 또는 조강(鳥綱, Aves)이라 불린다. 조강은 파충강과 함께 석형류를 구성한다. 다만 석형류(Sauropsida)는 도마뱀까지 포함하는 매우 광범위한 분류고, 조류가 악어와 함께 구성하는 생물분류군은 지배파충류(Archosauria)이다. 그러나 이렇게 되면 도마뱀보다 악어에 더 가까운 거북류의 위치가 애매해져서 악어, 거북, 새 그리고 이미 멸종한 양막류 척추 사지동물군을 묶어서 Archelosauria 혹은 지배파충양류(Archosauromorpha)라고 부른다.
한마디로 새(Ave)는 척추동물(Vertebrate)이고, 그 중 네발동물(tetrapods)이면서 양막류(amniote)인 동물들중에서 이궁류(Diapsid) 소속인 석형류(Sauropsid)이지만, 도마뱀보다는 거북에 가까운 Archelosauria이면서 악어와 함께 지배파충류로써 특성들을 공유하는 동물들중에서 날개, 부리 그리고 퇴화된 꼬리가 특징인 동물들을 뜻한다. 분류군이 이렇게 복잡한 이유는 지난 100년간 파충류, 즉 석형류의 분류가 거북류, 뱀류, 도마뱀류, 공룡(조류), 악어류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재발견으로 계속 변화했을 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특정 분류군에 넣기에 굉장히 애매한 동물들의 화석이 계속 출토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사용하는 생물 분류 단계는 오로지 현생 동물들만을 고려하여 만들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