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조선국 내명부

루이스1111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3일 (토) 02:34 판
내명부
內命婦
설립일 2022년 12월 10일
전신 궁내부
수장 왕비(王妃)

조선왕조.png 개요

내명부(內命婦)는 카국 대조선국 궁중에서 봉직한 여관(女官)의 총칭이다. 한반도의 경우 고려/조선시대에 여성을 대상으로 품계(品階)에 따라 봉작(封爵)을 주었던 명부(命婦)는 내명부(內命婦)와 외명부(外命婦)로 구분된다. 내명부는 궁중의 여관들을 품계에 따라 구분한 것이고, 외명부는 왕족이나 종친의 아내나 어머니, 문관과 무관의 아내나 어머니를 대상으로 남편이나 자식의 품계에 따라 부여되었다.

내명부(內命婦)는 조선시대 궁중에 있는 왕비와 후궁, 그리고 이들을 모시는 여자 관리(궁녀)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조선 초기에는 궁녀 조직을 내관(內官) 또는 여관(女官) 등으로 불렀으나 경국대전에서 내명부로 명시되었다. 내명부의 상대 개념으로 왕족과 관리의 아내를 일컫는 외명부(外命婦)가 있다. 임금의 딸인 공주와 옹주, 세자의 딸인 군주, 현주 등은 외명부에 속한다. 이러한 내·외명부의 최고 권한은 원래는 중전(中殿) 즉, 왕비에게 있기 때문에 국왕도 내명부 일에는 간섭하지 않는 것이 관례였다.

조선왕조.png 품계와 명칭

품계내명부(內命婦)세자궁(世子宮)
무품 극상(極上)대비(大妃)
무품 상(上)왕비(王妃)
무품 하(下)세자빈(世子嬪)
정1품빈(嬪)
종1품귀인(貴人)
정2품소의(昭儀)
종2품숙의(淑儀)양제(良娣)
정3품소용(昭容)
종3품숙용(淑容)양원(良媛)
정4품소원(昭媛)
종4품숙원(淑媛)승휘(承徽)
정5품제조상궁
종5품부제조상궁소훈(昭訓)
정6품승은상궁
종6품지밀상궁
정7품보모상궁
종7품시녀상궁
정8품나인
종8품견습나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