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조선국 내명부

루이스1111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3일 (토) 03:03 판
내명부
內命婦
설립일 2022년 12월 10일
전신 궁내부
수장 왕비(王妃)
부수장 세자빈(世子嬪)

조선왕조.png 개요

내명부(內命婦)대조선국 궁중에서 봉직한 여관(女官)의 총칭이다. 여성을 대상으로 품계(品階)에 따라 봉작(封爵)을 주었던 명부(命婦)는 내명부(內命婦)와 외명부(外命婦)로 구분된다. 내명부는 궁중의 여관들을 품계에 따라 구분한 것이고, 외명부는 왕족이나 종친의 아내나 어머니, 문관과 무관의 아내나 어머니를 대상으로 남편이나 자식의 품계에 따라 부여되었다.

그중 내명부(內命婦)는 조선시대 궁중에 있는 왕비와 후궁, 그리고 이들을 모시는 여자 관리(궁녀)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이러한 내·외명부의 최고 권한은 원래는 중전(中殿) 즉, 왕비에게 있기 때문에 국왕도 내명부 일에는 간섭하지 않는 것이 관례였다.

조선왕조.png 품계와 명칭

품계내명부(內命婦)세자궁(世子宮)
무품 극상(極上)대비(大妃)
무품 상(上)왕비(王妃)
무품 하(下)세자빈(世子嬪)
정1품빈(嬪)
종1품귀인(貴人)
정2품소의(昭儀)
종2품숙의(淑儀)양제(良娣)
정3품소용(昭容)
종3품숙용(淑容)양원(良媛)
정4품소원(昭媛)
종4품숙원(淑媛)승휘(承徽)
정5품제조상궁
종5품부제조상궁소훈(昭訓)
정6품승은상궁
종6품지밀상궁
정7품보모상궁
종7품시녀상궁
정8품나인
종8품견습나인

국조오례의 서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 1품 빈, 귀인: 왕후를 보좌하고 부례(婦隸)를 논한다.
・ 2품 소의, 숙의: 비례(妃禮)를 찬도한다.
・ 3품 소용, 숙용: 제사와 빈객(賓客)을 맡는다.
・ 4품 소원, 숙원: 연침(燕寢)을 베풀고 사시(絲枲)를 다스려 해마다 헌공(獻功)한다.

부례는 아내의 행동규범을 말하며, 왕의 부인이 갖춰야 할 행동규범에 대해 왕후에게 진언하는 것이 이들의 직무였다. 2품의 역할도 1품과 크게 다른 것은 아니었는데 비례를 찬도한다는 것은 왕비가 갖춰야 할 행동규범에 대해 진언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반면 3품은 제사 및 손님맞이에 관한 사무를 처리하는데 왕후와 관련된 사안에 한정된다. 국가적인 제사나 손님맞이는 예조의 사무였기 때문이다. 4품은 왕과 왕후의 잠자리인 연침을 마련하고 사시, 즉 실을 준비한다. 담당 사무가 추상적이든 구체적이든 진짜로 육체노동을 한 것은 아닌데, 후궁들은 최종감독을 했다고 보는 것이 맞다.

조선왕조.png 부서 조직

상의원(尙衣院): 바느질 담당. 궁궐에서 쓰이는 모든 옷을 만든다.
세수간(洗手間): 세숫물과 목욕물을 담당한다. 내전을 청소하고, 요강이나 매화틀을 비운다.
생과방(生果房):식사 이외에 음료나 한과를 준비한다.
내소주방: 수라를 담당하는 곳이라 수라간이라 한다. 주식에 올라가는 각종 반찬류를 만든다.
외소주방: 각종 잔치나 제사에 들어가는 음식을 담당한다.

조선왕조.png 궁중여관(宮中女官)

종8품에서 정5품까지 8단계. 궁녀라는 말이 여기에서 나왔으며, 줄여서 궁인, 혹은 여관이라고도 한다

조선왕조.png 상궁